본 연구는 독거노인들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종속변수인 자살생각과 독립변수인 인구사회학적, 경제적, 신체적 건강, 역할상실, 심리사회적 요인간의 관계들을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서울시와 경기도에 거주하고 있는 65세 이상의 독거노인 246명으로써 사전교육을 받은 노인돌보미와 요양보호사들의 1:1 면접조사를 통해 설문조사가 이뤄졌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독거노인들의 자살생각을 분석한 결과 평균 9.26점으로 자살위험군 여부점수인 9점 이상임을 알 수 있다. 이는 연구대상자들의 자살생각 정도가 심각하다는 사실과 함께 독거노인들의 자살을 예방하고 방지하기 위한 사회복지사업 개입 방안을 마련하고 실천전략 수립과 함께 실천적․정책적 제안이 시급히 이뤄져야 함을 의미한다. 둘째, 독거노인들의 인구사회학적 요인에 따른 자살생각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성별, 결혼상태, 절대적 빈곤상태(보호구분)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차이, 결혼상태에 따른 차이, 절대적 빈곤상태를 알 수 있는 보호구분에 따른 차이에 따라 자살생각이 상이했다. 셋째, 본 연구의 종속변수와 독립변수들 간의 ...
본 연구는 독거노인들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종속변수인 자살생각과 독립변수인 인구사회학적, 경제적, 신체적 건강, 역할상실, 심리사회적 요인간의 관계들을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서울시와 경기도에 거주하고 있는 65세 이상의 독거노인 246명으로써 사전교육을 받은 노인돌보미와 요양보호사들의 1:1 면접조사를 통해 설문조사가 이뤄졌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독거노인들의 자살생각을 분석한 결과 평균 9.26점으로 자살위험군 여부점수인 9점 이상임을 알 수 있다. 이는 연구대상자들의 자살생각 정도가 심각하다는 사실과 함께 독거노인들의 자살을 예방하고 방지하기 위한 사회복지사업 개입 방안을 마련하고 실천전략 수립과 함께 실천적․정책적 제안이 시급히 이뤄져야 함을 의미한다. 둘째, 독거노인들의 인구사회학적 요인에 따른 자살생각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성별, 결혼상태, 절대적 빈곤상태(보호구분)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차이, 결혼상태에 따른 차이, 절대적 빈곤상태를 알 수 있는 보호구분에 따른 차이에 따라 자살생각이 상이했다. 셋째, 본 연구의 종속변수와 독립변수들 간의 상관관계분석을 한 결과, 인구사회학적 요인에서는 성별, 결혼상태, 경제적 요인에서는 절대적 빈곤(보호구분)과 주관적 빈곤, 신체적 건강요인에서는 주관적 건강, 역할 상실 요인에서는 역할요인, 심리사회적 요인에서는 고독감, 사회적 지지요인이 자살생각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넷째, 독거노인들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의 영향을 분석한 결과, 고독감, 주관적 건강, 주관적 빈곤, 성별, 연령순으로 자살생각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곧 고독감이 클수록, 주관적 빈곤상태와 주관적 건강상태가 좋지 않을수록, 남성 독거노인일수록, 연령이 75세 이상일수록 자살생각을 많이 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상의 결과들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사회복지사업 개입방안과 실천적․정책적 제안을 하고자 한다. 첫째, 독거노인의 빈곤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절대적 기준뿐 아니라 주관적 기준에서의 지원이 이뤄져야 하며, 이를 위해 일자리 창출을 비롯한 연금 소득 강화, 기초노령과 같은 공공부조 강화가 필요하다. 또한 민과 관의 네트워크 구축을 통해 지속적이며 통합적인 경제적 지원이 이뤄지도록 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주관적 빈곤과 자살생각간의 유의미한 관계를 보였는데, 거시적 접근방법으로 차상위 또는 기초생활수급자뿐만 아니라 일반 독거노인들을 대상으로한 보편적 경제적 지원 또한 필요할 것으로 본다. 둘째, 신체적 건강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절대적 건강과 더불어 주관적 건강을 지원해야 한다. 이를 위해 건강예방체계 강화, 질병에 대한 예방, 치료방법 및 편견을 바로잡고 바른 이해를 도울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이 요구되어 지며 대상자 특성에 맞는 맞춤형 건강관리 프로그램 등이 제공되어야 한다. 특히 지역사회 내 위치한 다양한 자원 및 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독거노인의 건강을 증진할 수 있는 지원 또한 필요하다. 셋째, 독거노인의 무위의 문제인 역할상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가족의 기능과 사회적 지지기능을 강화해야 한다. 특히 독거노인의 경우 가정 내 자연스럽게 이뤄지는 부모, 조부모, 친척의 역할상실이 일반노인에 비해 심각한 현실이다. 따라서 이들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시스템을 구축하고 관리프로그램의 일환으로써 가족관계 개선 및 기능 강화가 이뤄지도록 한다. 또한 노인 동아리 활동, 종교활동, 공동작업장, 자원봉사단 등의 활동을 통해 미비했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돕는다. 넷째, 고독 및 심리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민과 관의 긴밀한 협력이 필요하다. 노년기에 겪는 당연한 심리로 여기고 방치하는 잘못된 인식을 바로잡고 올바른 심리적 치료 및 예방을 위해 지역사회 내 위치한 보건소와 정신보건센터 등에서 독거노인의 심리문제에 대한 경각심을 고취시키고 자살예방 캠페인을 적극 시행해야 한다. 이와 더불어 독거노인들을 전문적으로 상담해주는 전문 상담사를 양성하고 연계하여 모니터링 함으로써 독거노인의 자살을 예방할 수 있는 적극적 정책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독거노인들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종속변수인 자살생각과 독립변수인 인구사회학적, 경제적, 신체적 건강, 역할상실, 심리사회적 요인간의 관계들을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서울시와 경기도에 거주하고 있는 65세 이상의 독거노인 246명으로써 사전교육을 받은 노인돌보미와 요양보호사들의 1:1 면접조사를 통해 설문조사가 이뤄졌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독거노인들의 자살생각을 분석한 결과 평균 9.26점으로 자살위험군 여부점수인 9점 이상임을 알 수 있다. 이는 연구대상자들의 자살생각 정도가 심각하다는 사실과 함께 독거노인들의 자살을 예방하고 방지하기 위한 사회복지사업 개입 방안을 마련하고 실천전략 수립과 함께 실천적․정책적 제안이 시급히 이뤄져야 함을 의미한다. 둘째, 독거노인들의 인구사회학적 요인에 따른 자살생각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성별, 결혼상태, 절대적 빈곤상태(보호구분)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차이, 결혼상태에 따른 차이, 절대적 빈곤상태를 알 수 있는 보호구분에 따른 차이에 따라 자살생각이 상이했다. 셋째, 본 연구의 종속변수와 독립변수들 간의 상관관계분석을 한 결과, 인구사회학적 요인에서는 성별, 결혼상태, 경제적 요인에서는 절대적 빈곤(보호구분)과 주관적 빈곤, 신체적 건강요인에서는 주관적 건강, 역할 상실 요인에서는 역할요인, 심리사회적 요인에서는 고독감, 사회적 지지요인이 자살생각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넷째, 독거노인들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의 영향을 분석한 결과, 고독감, 주관적 건강, 주관적 빈곤, 성별, 연령순으로 자살생각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곧 고독감이 클수록, 주관적 빈곤상태와 주관적 건강상태가 좋지 않을수록, 남성 독거노인일수록, 연령이 75세 이상일수록 자살생각을 많이 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상의 결과들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사회복지사업 개입방안과 실천적․정책적 제안을 하고자 한다. 첫째, 독거노인의 빈곤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절대적 기준뿐 아니라 주관적 기준에서의 지원이 이뤄져야 하며, 이를 위해 일자리 창출을 비롯한 연금 소득 강화, 기초노령과 같은 공공부조 강화가 필요하다. 또한 민과 관의 네트워크 구축을 통해 지속적이며 통합적인 경제적 지원이 이뤄지도록 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주관적 빈곤과 자살생각간의 유의미한 관계를 보였는데, 거시적 접근방법으로 차상위 또는 기초생활수급자뿐만 아니라 일반 독거노인들을 대상으로한 보편적 경제적 지원 또한 필요할 것으로 본다. 둘째, 신체적 건강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절대적 건강과 더불어 주관적 건강을 지원해야 한다. 이를 위해 건강예방체계 강화, 질병에 대한 예방, 치료방법 및 편견을 바로잡고 바른 이해를 도울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이 요구되어 지며 대상자 특성에 맞는 맞춤형 건강관리 프로그램 등이 제공되어야 한다. 특히 지역사회 내 위치한 다양한 자원 및 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독거노인의 건강을 증진할 수 있는 지원 또한 필요하다. 셋째, 독거노인의 무위의 문제인 역할상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가족의 기능과 사회적 지지기능을 강화해야 한다. 특히 독거노인의 경우 가정 내 자연스럽게 이뤄지는 부모, 조부모, 친척의 역할상실이 일반노인에 비해 심각한 현실이다. 따라서 이들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시스템을 구축하고 관리프로그램의 일환으로써 가족관계 개선 및 기능 강화가 이뤄지도록 한다. 또한 노인 동아리 활동, 종교활동, 공동작업장, 자원봉사단 등의 활동을 통해 미비했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돕는다. 넷째, 고독 및 심리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민과 관의 긴밀한 협력이 필요하다. 노년기에 겪는 당연한 심리로 여기고 방치하는 잘못된 인식을 바로잡고 올바른 심리적 치료 및 예방을 위해 지역사회 내 위치한 보건소와 정신보건센터 등에서 독거노인의 심리문제에 대한 경각심을 고취시키고 자살예방 캠페인을 적극 시행해야 한다. 이와 더불어 독거노인들을 전문적으로 상담해주는 전문 상담사를 양성하고 연계하여 모니터링 함으로써 독거노인의 자살을 예방할 수 있는 적극적 정책이 요구된다.
This study analyzed relations between suicide ideation which is a dependent variable and socio-demographic, economical, physical health, role loss, and psychosocial factors which are independent variables to investigate factors to exert influence on suicide ideation among the elderly who lives alone...
This study analyzed relations between suicide ideation which is a dependent variable and socio-demographic, economical, physical health, role loss, and psychosocial factors which are independent variables to investigate factors to exert influence on suicide ideation among the elderly who lives alone. The respondents are 246 elderly men who live alone more than 65 years old, and reside in Seoul and Gyeonggi-do. It was carried out the survey through one-to-one interview investigation of people who provide elderly care service and geriatric care workers who received a prior education.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to analyze suicide ideation among the elderly who lives alone, the score was average 9.26, so it was possible to know that it was more than 9 points which applies suicide risk group. This means the fact that the degree of suicide ideation of the study participants is serious and to prepare the intervention plan to prevent suicide of the elderly who lives alone, and to advance practical and political suggestions as well as to establish practical strategies immediately. Second, as a result to examine the difference of suicide ideation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factor of the elderly who lives alone, it was appeared that gender, marital status and absolute poverty had significant influence. The suicide ideation depends on th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protection classification which is able to know the difference according to gender, marital status and absolute poverty. Third, as a result to analyze correlation between dependent variable and independent variables of this study, and it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gender and marital status in population sociological factor, absolute poverty and subject poverty in economical factor, and subject health in physical health factor, role factor in role loss factor, and feeling of loneliness and social support factor in psychosocial factor. Fourth, as a result to analyze effects of variables to exert influence on suicide ideation among the elderly who lives alone, it was appeared to exert influence on suicide ideation in order of feeling of loneliness, subject health, subject poverty, gender, and age. This shows that the elderly thinks suicide more as the feeling of loneliness is bigger, subject poverty and subject physical condition is worse, and the elderly who lives alone is a male and the age is more than 75 years old.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ould be advanced practical and political suggestions, and intervention plan of social welfare service as following: First, to settle the problem of poverty of the elderly who lives alone, it should be supported not only absolute standard but also subject standard, and it requires reinforcement of public assistance such as reinforcement of annuity income and basic senior pension including job creation. In addition, it should be supported continuously, comprehensively and economically by constructing network between private and public organizations. In this study, it had significant relation between subject poverty and suicide ideation; it seems that it would require universal economic support for the elderly who lives alone as well as lower income elderly or recipient of national basic livelihood guarantees as a holistic approach. Second, to settle physical health problem, it should be support subject physical health as well as support. To this, it requires educational program to help proper comprehension and correct prejudice, prevention against diseases, reinforcement of health prevention system of existing health insurance, and long-term care insurance, and should be suggested customized health care program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Especially, it requires support to enhance the health condition of the elderly who lives alone through cooperation with various resources and organizations located in local community. Third, to settle role loss which is the problem with any rank of the elderly who lives alone, it should reinforce the function of family and social support system. Especially, in case of the elderly who lives alone, it is true that the role loss of parents, grandparents and relatives which would be natural in a family is serious. Therefore, it should be constructed the system to manage them comprehensively and reinforced functions and improvement of family relation as a part of management program. In addition, it should assist to perform incomplete roles through activities of elderly club activities, religious activities, group work space, and voluntary corps. Fourth, to settle isolation and psychological problems, it requires close cooperation between private and public organizations. It should be adjusted wrong cognition to leave it along by regarding it as a psychology at senescence, and arouse attention to the psychological problem of the elderly who lives alone at the public health center and mental health center located in local community for proper psychological treatment, and prevention, and perform campaign to prevent suicide attempts. In addition, it needs active policy to prevent suicide of the elderly who lives alone by cultivation professional counselor to counsel the elderly who lives alone professionally, and monitoring in connection with them.
This study analyzed relations between suicide ideation which is a dependent variable and socio-demographic, economical, physical health, role loss, and psychosocial factors which are independent variables to investigate factors to exert influence on suicide ideation among the elderly who lives alone. The respondents are 246 elderly men who live alone more than 65 years old, and reside in Seoul and Gyeonggi-do. It was carried out the survey through one-to-one interview investigation of people who provide elderly care service and geriatric care workers who received a prior education.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to analyze suicide ideation among the elderly who lives alone, the score was average 9.26, so it was possible to know that it was more than 9 points which applies suicide risk group. This means the fact that the degree of suicide ideation of the study participants is serious and to prepare the intervention plan to prevent suicide of the elderly who lives alone, and to advance practical and political suggestions as well as to establish practical strategies immediately. Second, as a result to examine the difference of suicide ideation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factor of the elderly who lives alone, it was appeared that gender, marital status and absolute poverty had significant influence. The suicide ideation depends on th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protection classification which is able to know the difference according to gender, marital status and absolute poverty. Third, as a result to analyze correlation between dependent variable and independent variables of this study, and it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gender and marital status in population sociological factor, absolute poverty and subject poverty in economical factor, and subject health in physical health factor, role factor in role loss factor, and feeling of loneliness and social support factor in psychosocial factor. Fourth, as a result to analyze effects of variables to exert influence on suicide ideation among the elderly who lives alone, it was appeared to exert influence on suicide ideation in order of feeling of loneliness, subject health, subject poverty, gender, and age. This shows that the elderly thinks suicide more as the feeling of loneliness is bigger, subject poverty and subject physical condition is worse, and the elderly who lives alone is a male and the age is more than 75 years old.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ould be advanced practical and political suggestions, and intervention plan of social welfare service as following: First, to settle the problem of poverty of the elderly who lives alone, it should be supported not only absolute standard but also subject standard, and it requires reinforcement of public assistance such as reinforcement of annuity income and basic senior pension including job creation. In addition, it should be supported continuously, comprehensively and economically by constructing network between private and public organizations. In this study, it had significant relation between subject poverty and suicide ideation; it seems that it would require universal economic support for the elderly who lives alone as well as lower income elderly or recipient of national basic livelihood guarantees as a holistic approach. Second, to settle physical health problem, it should be support subject physical health as well as support. To this, it requires educational program to help proper comprehension and correct prejudice, prevention against diseases, reinforcement of health prevention system of existing health insurance, and long-term care insurance, and should be suggested customized health care program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Especially, it requires support to enhance the health condition of the elderly who lives alone through cooperation with various resources and organizations located in local community. Third, to settle role loss which is the problem with any rank of the elderly who lives alone, it should reinforce the function of family and social support system. Especially, in case of the elderly who lives alone, it is true that the role loss of parents, grandparents and relatives which would be natural in a family is serious. Therefore, it should be constructed the system to manage them comprehensively and reinforced functions and improvement of family relation as a part of management program. In addition, it should assist to perform incomplete roles through activities of elderly club activities, religious activities, group work space, and voluntary corps. Fourth, to settle isolation and psychological problems, it requires close cooperation between private and public organizations. It should be adjusted wrong cognition to leave it along by regarding it as a psychology at senescence, and arouse attention to the psychological problem of the elderly who lives alone at the public health center and mental health center located in local community for proper psychological treatment, and prevention, and perform campaign to prevent suicide attempts. In addition, it needs active policy to prevent suicide of the elderly who lives alone by cultivation professional counselor to counsel the elderly who lives alone professionally, and monitoring in connection with them.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