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인자살 예방전략에 관한 모색
Exploration of Prevention Strategies on Elderly Suicide 원문보기 논문타임라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1 no.3, 2011년, pp.309 - 317  

김형수 (호서대학교 사회복지학부 사회복지학) ,  허평화 (호서대학교 사회복지학부 사회복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노인자살에 관한 연구는 2000년 이후부터 증가하고 있다. 우리사회에서 노인자살이 심각한 노인문제의 영역으로 주목받고 있음을 의미하며 동시에 이에 대한 정책적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하지만 지금까지의 노인자살 연구들은 대부분이 노인자살에 관한 이론적 조망과 그에 따른 노인자살 요인들을 파악하는 데 집중되어 왔다. 그리하여 노인자살의 예방대책에 관한 논의는 개괄적이고 제안적인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노인자살에 관한 선행연구들에서 파악된 자살요인들과 이를 기초로 제시된 정책 제언들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효과적인 노인자살의 예방전략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한국학술진흥재단에 등재된 학회지 중에서, 노인자살과 관련된 논문들을 추출하여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로서 일반노인에게는 거시적 수준의 개입이 크게 요구되었으며, 잠재적 위험노인에게는 중간 수준과 미시적 수준 모두에서 노력이 요망되었다. 하지만 현실적인 측면에서 볼 때 무엇보다도 중간 수준의 2차적 개입이 우선되어야 함이 시사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우선적 예방전략에 기초하여 향후 연구에서는 어떠한 구체적인 정책과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어떻게 운영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논의가 수반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search on elderly suicide has increased since 2000. It indicates that elderly suicide is receiving a great attention as a part of elderly problems, and policy efforts are needed. However, most of existing research on elderly suicide focused on factors of elderly suicide. Therefore discussion abou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노인자살에 관한 기존 연구들에서 제언된 예방대책을 체계적으로 검토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들에서 제시된 예방대책 방안을 개입대상과 개입수준의 분석틀로 조사하였다. 먼저 자살의 위험정도를 내포하는 개입대상의 차원(1차, 2차, 3차 예방)에 정책대 안들을 분석한 후, 다음으로 거시, 중간, 미시 수준으로 각각 나누어 고찰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의 노인자살에 관한 연구에서 경험적으로나 이론적으로 확인된 자살요인들과 이를 토대로 제시된 정책제언들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노인자살의 예방전략과 그 우선적 전략을 모색하고자 한다. 즉, 노인자살예방을 위해 어떠한 수준에서 어떠한 노력이 요구되며, 우선적으로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할 것이 무엇인지를 살펴봄으로써 실제적인 노인자살예방에 기여하고자 한다.
  • 따라서 중간 개입수준의 이차적 예방을 진작하기 위한 몇 가지 제언을 하면서 본 연구를 맺고자 한다. 첫째, 노인자살의 예방 및 문제해결을 위한 지역사회의 인프라구축(노인전용 자살예방센터, 노인학대 상담센터, 정신보건센터, 노인복지시설 및 복지관, 일반의원, 상담서비스기관, 종교기관 등의 자살예방 관련 기관의 네트워크 구축)이 우선적으로 요구된다.
  • 본 연구는 노인자살에 관한 기존 연구논문들을 대상으로 자살예방에 관한 제언을 중심으로 내용분석을 한 후, 노인자살의 정책 제언과 그 우선순위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하여 점차 심각한 양상을 보이고 있는 우리나라 노인자살현상에 대한 예방실천의 가능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노인자살에 관한 기존 연구논문들을 대상으로 자살예방에 관한 제언을 중심으로 내용분석을 한 후, 노인자살의 정책 제언과 그 우선순위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하여 점차 심각한 양상을 보이고 있는 우리나라 노인자살현상에 대한 예방실천의 가능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노인자살연구의 내용분석의 결과를 통해 개입대상별 예방전략(1차-2차-3차)과 다차원적인 개입수준(미시-중간-거시)별 예방전략의 중요성을 확인하고, 자살위험의 정도에 따라 개입전략이 달라야 한다는 사실도 재확인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의 노인자살에 관한 연구에서 경험적으로나 이론적으로 확인된 자살요인들과 이를 토대로 제시된 정책제언들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노인자살의 예방전략과 그 우선적 전략을 모색하고자 한다. 즉, 노인자살예방을 위해 어떠한 수준에서 어떠한 노력이 요구되며, 우선적으로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할 것이 무엇인지를 살펴봄으로써 실제적인 노인자살예방에 기여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1차적 예방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Maltsberger(1991)는 자살의 위험정도를 내포하는 개입대상의 차원에서 제시한 1차적 예방, 2차적 예방, 3차적 예방으로 각각 나누어 고찰하였다. 1차적 예방이란 자살위험이 거의 없는 일반노인을 대상으로 향후 혹여 발생할 수 있는 자살의도를 원천적으로 방지하려는 예방전략을 의미하고, 2차적 예방은 자살의 잠재가능성이 있는 노인을 발굴하고 개입하여 자살시도를 미연에 막으려는 예방전략을 지칭하며, 3차 예방은 자살을 심각하게 고려하거나 자살을 시도한 적이 있는 고위험 노인을 대상으로 자살행위를 차단하거나 재발을 방지하려는 예방전략을 뜻한다. 3차적 예방은 사전예방이라기 보다는 사후개입적 대책의 성격이 강하다고 볼 수 있다.
노인자살의 예방대책에 관한 논의가 개괄적이고 제안적인 수준에 머무르고 있는 이유는? 우리사회에서 노인자살이 심각한 노인문제의 영역으로 주목받고 있음을 의미하며 동시에 이에 대한 정책적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하지만 지금까지의 노인자살 연구들은 대부분이 노인자살에 관한 이론적 조망과 그에 따른 노인자살 요인들을 파악하는 데 집중되어 왔다. 그리하여 노인자살의 예방대책에 관한 논의는 개괄적이고 제안적인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Conwell은 자살을 예방하기 위한 전략을 어떻게 분류하고 있는가? Conwell(2001)은 자살을 예방하기 위한 전략으로 개입수준에 따라 보편적인 예방(universal prevention), 선택적인 예방(selective prevention), 집중적인 예방(indicated prevention)으로 분류하고 있다. 이 때 보편적 예방이란 자살위험 정도와는 상관없이 전체 국민들을 대상으로 거시적인 차원에서 정부 주도의 예방전략을 의미하고, 선택적 예방은 자살의 잠재적 위험이 있는 사람들을 지역사회 차원에서 이들을 발굴하여 지원하는 예방전략을 내포하며, 집중적 예방이란 자살의 위험이 매우 높은 사람들에게 개별적으로 상담이나 치료를 제공하는 예방전략을 뜻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김수현, 최연희, "신체적 건강상태가 노인의 자살 생각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제27권, 제4호, pp.775-788, 2007. 

    상세보기
    인용구절

    인용 구절

    미시적인 개입 방안으로는 건강서비스 제공자들은 일반노인을 대상으로 노인자살을 예방하기 위하여 노인자살의 고위험군을 파악하고 고위험군에 대한 우울증과 자살생각을 스크리닝하며 필요시 적절한 의뢰와 예방 프로그램을 시행을 제언하였으며[1], 신체적 기능 변화에 따른 우울감이 중요 문제로 야기되면서 신체적 기능 감퇴에 따른 노년기 신체적 기능변화에 대한 대처[16]가 요구되었다.

  2. 김수현, 최연희, "노인의 자살사고에 대한 스트레스의 영향정도", 성인간호학회지, 제20권, 제2호, pp.200-208, 2008. 

    원문보기 상세보기 타임라인에서 보기
    인용구절

    인용 구절

    중간적인 개입 방안으로는 지역사회의 관계망 조직과 상호연대를 통한 사회적 원조망의 구축과 자살예방을 위한 자살 위험집단의 특징의 파악을 제안하기도 하였으며[9], 일반노인들이 신체적문제로 의료기관 방문시 노인들을 대상으로 고위험군 노인선별검사와 지역 사회 내 의료기관과 정신보건센터 및 정신건강관련기관의 노인 자살예방 중재를 제안하였고[2], 우리나라 노인의 특성에 맞는 우울과 자살률을 낮추기 위한 개입전략과 상담기법이 개발과 정신적 건강증진 프로그램을 치료중심에서 예방중심으로 전환을 제안하기도하였다[20].

  3. 김승용, "한국 노인 자살률 변동과 사회구조적 요인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정책, 제19권, pp.181-205, 2004. 

    인용구절

    인용 구절

    사회적 완충장치로 사회복지서비스의 지원시스템과 관련하여서는 노인 양로 및 요양시설의 증대 등 시설의 사회화를 통한 보편화를 제언하였으며[3], 자살노인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정보 소득수준, 직업과 고용여부에 관련된 노인 취업알선센터의 기능 강화, 노인가족의 부양기능을 지원할 수 있는 가족복지서비스의 활성화, 노인여가인력 pool 제도의 도입, 기존 경로당의 통폐합을 통한 광역화 또는 대형화, 노인자원봉사 프로그램의 전담기구 설치 및 재정적 지원, 노인지킴이 자원봉사자의 지속적인 모니터링 등이 지적되었다.

    노인이나 그 자녀의 이혼이 증가하는 시기에 노인자살이 증가하기 때문에 국가는 민간프로그램을 강제하는 방법을 고려하여 이혼을 신청하는 부부에게 민간 상담 기관 혹은 가정법률상담기관에 의무적으로 이혼숙려과정(강제 방법)을 거치게 하여 노인의 불안감을 감소시킬 것[3]을 제언하였다.

  4. 김창진, 황진수, "노인성 질환과 우울증이 노인자살 생각에 미치는 영향의 연구", 한국노년학, 제28권, 제3호, pp.425-442, 2008. 

    상세보기
    인용구절

    인용 구절

    또한 노인자살예방을 위한 전문가 집단의 양성 즉 전문가집단의 조직화를 제언하였으며[4], 노인들의 자살의도에 영향하는 자살의도 측정도구의 개발[17]과 가족 관계의 경우 가족의 문제가 심각하기 전 단계에 가족관계 증진 프로그램 확대를 제언하였다[13].

    그리고 노인자살예방을 위한 전문가집단의 양성 즉 전문가집단의 조직화[4] 뿐만 아니라 노인자살 예방 및 문제해결을 위한 지역사회 인프라 구축과 관련하여 노인시설과 간호대학, 종교기관의 노인대학, 복지관, 노인학대 예방센터, 일반의원으로 연계된 지역사회 네트워크 구축이 제안되었다[13].

  5. 김현순, 김병석, "노인의 자살생각에 대한 경로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19권, 제3호, pp.801-818, 2007. 

    인용구절

    인용 구절

    아울러 신체적 질환이 있는 노인에게 정신건강 상태의 스크리닝과 상담이 질병치료와 동시에 이루어지는 체계적 관리의 병행과 노인에게 포괄적인 건강증진 프로그램을 적용하기 보다는 연령, 성별, 독거여부 등 을 고려한 개별화된 프로그램 개발 및 적응, 가구형태의 변화에 따른 건전건강습관의 변화를 파악하기 위한 코호트 조사를[24], 노년기의 자아존중감 증진을 위한 지역사회 프로그램의 개발과 집단 상담이나 개인 상담 등이[5] 대표적으로 제언되었다.

  6. 김형수, "노인자살의 이해와 일차적 예방", 한국인구학, 제23권, 제2호, pp.167-187, 2000. 

    인용구절

    인용 구절

    노인의 문제의 진단에서 노인들의 급격한 경제적 변화에 적응 할 수 있도록 사회적 조건의 개선으로 경제적 안정의 도모(공적연금의 사각지대 해소와 기초노령연금의 대상과 급여수준의 확대)와 관련하여서 건강보호 체계의 강화(장기요양보험제도와 노인성질환 관리시스템), 가족지원체계의 수립, 지역사회의 다양한 역할기회의 확충 등 자살 위험성이 높은 집단을 파악하여 사전에 자살을 예방할 수 있도록 정년 연령의 단계적 연장, 재고용제도와 근무연장제도 운영 등이 제안되었다[6].

  7. 김형수, "미국 노인자살과 예방대책의 연구 및 시사점", 사회보장연구, 제18권, 제1호, pp.163-182, 2002b. 

    인용구절

    인용 구절

    아울러 지역 내 우울 증세를 보이는 노인들을 확인하거나 발견하여 의뢰하거나 직접 치료하는 프로그램과 서비스의 체계적인 제공[7]이 요구되었다.

  8. 김형수, "생애주기별 자살현황과 예방대책: 노인과 청소년 자살의 비교를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제34권, pp.271-292, 2006. 

    인용구절

    인용 구절

    우울과 스트레스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정신보건 프로그램 개발로는 노인 자살의 독특한 위기개입의 전략으로 지역 내 자살예방센터와 의료단체와의 긴밀한 협조체계를 구축하고 자살예방센터를 통해 의사들을 대상으로 우울증과 자살의 잠재요인을 지닌 노인환자의 진단과 치료에 관한 교육프로그램 개발의 시행과 위 교육을 이수한 의사들은 자살예방의 Gatekeeper로서 발견된 자살위험의 사례를 관련기관에 즉각적으로 의뢰 할 수 있는 공조체계의 필요성[8]이 제언되었다.

  9. 김효창, 손영미, "노인 자살의 특성과 자살유형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제12권, 제2호, pp.1-19, 2006. 

    인용구절

    인용 구절

    중간적인 개입 방안으로는 지역사회의 관계망 조직과 상호연대를 통한 사회적 원조망의 구축과 자살예방을 위한 자살 위험집단의 특징의 파악을 제안하기도 하였으며[9], 일반노인들이 신체적문제로 의료기관 방문시 노인들을 대상으로 고위험군 노인선별검사와 지역 사회 내 의료기관과 정신보건센터 및 정신건강관련기관의 노인 자살예방 중재를 제안하였고[2], 우리나라 노인의 특성에 맞는 우울과 자살률을 낮추기 위한 개입전략과 상담기법이 개발과 정신적 건강증진 프로그램을 치료중심에서 예방중심으로 전환을 제안하기도하였다[20].

  10. 박봉길, 전석균, "노인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우울증을 매개로 한 관련 요인 연구",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한국정신보건사회사업학회지, 제22권, pp.58-90, 2006. 

    인용구절

    인용 구절

    미시적 개입 방안으로는 성공적인 노화가 방해받는 대상자 진단, 즉 건강문제, 가족관계, 혹은 사회적 지지가 부족한 노인을 대상으로 자살위험에 대한 우선적 사정이 개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함을 지적하였고, 또한 노인자살을 예측하고 선별할 수 있는 도구의 개발과 우울증, 절망감 등의 심리적인 문제, 만성질환의 약화나 건강문제의 발현에 대한 면밀한 사정, 배우자와 사별한 노인에 대한 위기개입과 사별에 대처하는 비탄치료 (grief therapy) 등의 시급성[10]이 지적되었다.

  11. 반신환, "우리나라 노인자살 특징의 분석을 근거로 한 위기목회신학과 개입", 신학과 실천, 제15권, pp.155-180, 2008. 

    인용구절

    인용 구절

    3차 예방대책으로서 거시적 차원은 자살위험이 매우 높은 노인(예: 자살시도자)에게 더 이상 이방인이 아니라는 의식을 증진하기 위하여 그들 중 특히 열악한 상황에 있는 노인(예: 저소득층 독거노인과 건강악화 노인)의 생존과 안녕에 필수적인 사회적 지지서비스, 즉 공식적 정부 차원에서의 예산지원 확대와 서비스 제공[11]과 고위험군의 선별적 자살예방교육[21]이 제기되었다.

  12. 배지연, "노인자살에 관한 사례 분석: 신문기사 내용을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제23권, pp.65-82, 2004. 

    인용구절

    인용 구절

    이와 더불어 고령화 사회에서 노인의 자살은 개인 문제가 안이므로 국가가 주도적인 국가적 대응책 마련[25]이 요구되었으며, 전국 자살 전담 상담기관과 자살예방을 위한 긴급구호 상담소 안에 상담전화를 열고 건강한 가정을 유지하기 위한 각종 상담을 하며 생계형 자살을 막기 위해 24시간 상담전화를 개설하여 자살예방기구 시스템 구축(24시간 상담전화개설)[12]이 요청되었다.

  13. 배진희, 엄기욱, "노인의 자살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노년학, 제29권, 제4호, pp.1427-1444, 2009. 

    인용구절

    인용 구절

    이처럼 노인자살 요인과 관련한 연구는 최근 급증하고 있고 다양한 연구 방법과 분석대상으로 노인자살에 대한 다각적 이해를 도모하고 있다[13].

    또한 노인자살예방을 위한 전문가 집단의 양성 즉 전문가집단의 조직화를 제언하였으며[4], 노인들의 자살의도에 영향하는 자살의도 측정도구의 개발[17]과 가족 관계의 경우 가족의 문제가 심각하기 전 단계에 가족관계 증진 프로그램 확대를 제언하였다[13].

    우울증에 대한 사정 및 개입으로 우울증 위험군에 대한 조기발견과 개입이 중요성[13]과 자살예방을 위한 지역 내 우울증세가 보이는 노인을 확인, 발견, 의뢰하는 간호중재 프로그램과 연계한 시스템의 개발과 실시[23]가 요청되었다.

    그리고 노인자살예방을 위한 전문가집단의 양성 즉 전문가집단의 조직화[4] 뿐만 아니라 노인자살 예방 및 문제해결을 위한 지역사회 인프라 구축과 관련하여 노인시설과 간호대학, 종교기관의 노인대학, 복지관, 노인학대 예방센터, 일반의원으로 연계된 지역사회 네트워크 구축이 제안되었다[13].

  14. 양순미, 임춘식, "농촌노인들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우울의 효과", 노인복지연구, 제32권, pp.377-396, 2006. 

    인용구절

    인용 구절

    또한 우울 증세가 있는 노인의 사회통합을 강화하는 사회복지차원의 지원시스템(말벗 결연지원 시스템, 상담 및 안부확인 전화시스템 등 사회안전망 확충[14], 사회복지 차원에서 지역사회 전체 노인들을 대상으로 자살관련 요인을 사정하는 전략적인 도구 마련[15], 가족응집력의 기능이 낮을 시 나타나는 가족적인 위험요인의 가족지지[18]와 자살의 징후가 있는 가정을 대상으로 도우미 파견(가족의 수발 부담을 경감시킴)으로 가족의 부담을 경감시키는 노인돌보미 서비스의 확충, 노인부양 가족원의 최소한의 사회적 보상이나 개호휴직 등의 기회의 제공[23] 등이 제언되었다.

  15. 엄태완, "노인 자살관련 요인: 무망감과 우울증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사회적 지지와 자아통제감의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 제59권, 제2호, pp.355-379, 2007. 

    원문보기 상세보기 crossref 타임라인에서 보기
    인용구절

    인용 구절

    또한 우울 증세가 있는 노인의 사회통합을 강화하는 사회복지차원의 지원시스템(말벗 결연지원 시스템, 상담 및 안부확인 전화시스템 등 사회안전망 확충[14], 사회복지 차원에서 지역사회 전체 노인들을 대상으로 자살관련 요인을 사정하는 전략적인 도구 마련[15], 가족응집력의 기능이 낮을 시 나타나는 가족적인 위험요인의 가족지지[18]와 자살의 징후가 있는 가정을 대상으로 도우미 파견(가족의 수발 부담을 경감시킴)으로 가족의 부담을 경감시키는 노인돌보미 서비스의 확충, 노인부양 가족원의 최소한의 사회적 보상이나 개호휴직 등의 기회의 제공[23] 등이 제언되었다.

  16. 조계화, "간호사의 함께 있음 프로그램이 만성질환 노인의 자살 예방에 미치는 효과", 대한간호학회지, 제37권, 제7호, pp.1027-1038, 2007. 

    인용구절

    인용 구절

    미시적인 개입 방안으로는 건강서비스 제공자들은 일반노인을 대상으로 노인자살을 예방하기 위하여 노인자살의 고위험군을 파악하고 고위험군에 대한 우울증과 자살생각을 스크리닝하며 필요시 적절한 의뢰와 예방 프로그램을 시행을 제언하였으며[1], 신체적 기능 변화에 따른 우울감이 중요 문제로 야기되면서 신체적 기능 감퇴에 따른 노년기 신체적 기능변화에 대한 대처[16]가 요구되었다.

  17. 최서희, 최연희, 김희숙, "도시 재가 노인의 자살 의도와 관련요인 연구", 지역사회간호학회지, 제19권, 제1호, pp.5-12, 2008. 

    원문보기 상세보기
    인용구절

    인용 구절

    또한 노인자살예방을 위한 전문가 집단의 양성 즉 전문가집단의 조직화를 제언하였으며[4], 노인들의 자살의도에 영향하는 자살의도 측정도구의 개발[17]과 가족 관계의 경우 가족의 문제가 심각하기 전 단계에 가족관계 증진 프로그램 확대를 제언하였다[13].

  18. 최연희, 김수현, "재가 노인의 우울에 따른 자살 생각과 관련 요인", 한국노년학, 제28권, 제2호, pp.345-355, 2008. 

    인용구절

    인용 구절

    또한 우울 증세가 있는 노인의 사회통합을 강화하는 사회복지차원의 지원시스템(말벗 결연지원 시스템, 상담 및 안부확인 전화시스템 등 사회안전망 확충[14], 사회복지 차원에서 지역사회 전체 노인들을 대상으로 자살관련 요인을 사정하는 전략적인 도구 마련[15], 가족응집력의 기능이 낮을 시 나타나는 가족적인 위험요인의 가족지지[18]와 자살의 징후가 있는 가정을 대상으로 도우미 파견(가족의 수발 부담을 경감시킴)으로 가족의 부담을 경감시키는 노인돌보미 서비스의 확충, 노인부양 가족원의 최소한의 사회적 보상이나 개호휴직 등의 기회의 제공[23] 등이 제언되었다.

  19. 배지연, 김원형, 윤경이, "노인의 우울 및 자살생각에 있어서 사회적 지지의 완충효과", 한국노년학회, 제25권, 제3호, pp.59-73, 2005. 

    인용구절

    인용 구절

    아울러 범국가적인 시스템구축을 통한 자살예방프로그램의 시행도 제시되었다[19].

  20. 황미구, 김은주, "노인의 주관적인 삶의 질과 자아존중감이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 우울을 매개변이로 하여", 한국노년학회, 제28권, 제4호, pp.865-885, 2008. 

    인용구절

    인용 구절

    중간적인 개입 방안으로는 지역사회의 관계망 조직과 상호연대를 통한 사회적 원조망의 구축과 자살예방을 위한 자살 위험집단의 특징의 파악을 제안하기도 하였으며[9], 일반노인들이 신체적문제로 의료기관 방문시 노인들을 대상으로 고위험군 노인선별검사와 지역 사회 내 의료기관과 정신보건센터 및 정신건강관련기관의 노인 자살예방 중재를 제안하였고[2], 우리나라 노인의 특성에 맞는 우울과 자살률을 낮추기 위한 개입전략과 상담기법이 개발과 정신적 건강증진 프로그램을 치료중심에서 예방중심으로 전환을 제안하기도하였다[20].

  21. 한삼성, 강성욱, 유왕근, 피영구, "노인의 자살생각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제29권, 제1호, pp.192-212, 2009. 

    인용구절

    인용 구절

    3차 예방대책으로서 거시적 차원은 자살위험이 매우 높은 노인(예: 자살시도자)에게 더 이상 이방인이 아니라는 의식을 증진하기 위하여 그들 중 특히 열악한 상황에 있는 노인(예: 저소득층 독거노인과 건강악화 노인)의 생존과 안녕에 필수적인 사회적 지지서비스, 즉 공식적 정부 차원에서의 예산지원 확대와 서비스 제공[11]과 고위험군의 선별적 자살예방교육[21]이 제기되었다.

  22. 박현식, 배지연, 이선형, 문영희, "충남지역 노인 자살 실패와 예방대책", 한국지역사회복지학, 제31권, pp.119-137, 2009. 

    인용구절

    인용 구절

    그리고 노인 자살예방을 위한 유해물질 안전관리 방안(농약, 독극물, 등으로 인한 자살 실태 및 관리, 농약 안전관리)[22]과 청․장년시절부터 노후에 발생할 변화에 문제 대비, 정상적인 노화과정에 관한 올바른 인식과 올바른 죽음의 개념정립과 더불어 성공적인 노화의 방해 요인을 수정·제거하는 노력 등이 권고되었으며, 또한 노인들이 노년기에 경험할 수 있는 부정적 생활사건에 대하여 인식하고 대처하는 방법에 대한 지속적 교육과 훈련 등이 제기 되었다.

  23. 김형수, 김상호, "노인 가족 동반자살에 관한연구: 살해 후 자살을 중심으로", 한국노인복지학회, 제46권, pp.157-172, 2009. 

    인용구절

    인용 구절

    또한 우울 증세가 있는 노인의 사회통합을 강화하는 사회복지차원의 지원시스템(말벗 결연지원 시스템, 상담 및 안부확인 전화시스템 등 사회안전망 확충[14], 사회복지 차원에서 지역사회 전체 노인들을 대상으로 자살관련 요인을 사정하는 전략적인 도구 마련[15], 가족응집력의 기능이 낮을 시 나타나는 가족적인 위험요인의 가족지지[18]와 자살의 징후가 있는 가정을 대상으로 도우미 파견(가족의 수발 부담을 경감시킴)으로 가족의 부담을 경감시키는 노인돌보미 서비스의 확충, 노인부양 가족원의 최소한의 사회적 보상이나 개호휴직 등의 기회의 제공[23] 등이 제언되었다.

    우울증에 대한 사정 및 개입으로 우울증 위험군에 대한 조기발견과 개입이 중요성[13]과 자살예방을 위한 지역 내 우울증세가 보이는 노인을 확인, 발견, 의뢰하는 간호중재 프로그램과 연계한 시스템의 개발과 실시[23]가 요청되었다.

  24. 김영주, "남녀별 독거노인과 동거노인의 건강습관, 스트레스, 우울, 자살생각 비교", 대한기본간호학회, 제16권, 제3호, pp.333-344, 2009. 

    인용구절

    인용 구절

    아울러 신체적 질환이 있는 노인에게 정신건강 상태의 스크리닝과 상담이 질병치료와 동시에 이루어지는 체계적 관리의 병행과 노인에게 포괄적인 건강증진 프로그램을 적용하기 보다는 연령, 성별, 독거여부 등 을 고려한 개별화된 프로그램 개발 및 적응, 가구형태의 변화에 따른 건전건강습관의 변화를 파악하기 위한 코호트 조사를[24], 노년기의 자아존중감 증진을 위한 지역사회 프로그램의 개발과 집단 상담이나 개인 상담 등이[5] 대표적으로 제언되었다.

  25. 김근영, 황미구, "노인의 노화지식수준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노인에 대한 태도, 자아존중감 및 우울을 매개로 하여", 상담학연구, 제10권, 제2호, pp.651-668, 2009. 

    인용구절

    인용 구절

    이와 더불어 고령화 사회에서 노인의 자살은 개인 문제가 안이므로 국가가 주도적인 국가적 대응책 마련[25]이 요구되었으며, 전국 자살 전담 상담기관과 자살예방을 위한 긴급구호 상담소 안에 상담전화를 열고 건강한 가정을 유지하기 위한 각종 상담을 하며 생계형 자살을 막기 위해 24시간 상담전화를 개설하여 자살예방기구 시스템 구축(24시간 상담전화개설)[12]이 요청되었다.

    중간 차원에서는 자살위험이 높은 노인을 위한 지속적 평가와 적극적 치료, 집중적 사례관리 실시하거나 의료기관 응급실을 방문한 자살시도자를 위한 정신과적 치료와 지역사회 정신보건시설과 연계망 구축이 정책적 제언으로 제시되었으며 자살시도 직전에 도움을 청할 수 있는 24시 전화 상담이나 자살충동을 느낀 노인이 상담프로그램에 참여 할 수 있게 노인상담 전문가 양성 및 노인 자살예방 상담센터의 활성화[25]를 제언하였다.

  26. 보건복지부, 자살보도자료, 2010. 

    인용구절

    인용 구절

    그 중 자살은 사회문제의 하나로 우리사회에서 자살이 위험수위를 넘어섰으며 인구 10만 명당 자살자 수를 뜻하는 자살률은 2008년을 기준으로 26명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1위 자리를 6년째 지켰다[26].

  27. Y. Conwell, "Suicide in later life: a review and recommendation for prevention," Suicide & Life-Threatening Behavior, Vol.31, No.1, pp.32-47, 2001. 

  28. J. T. Maltsberger, "The prevention of suicide in adults", in Leenaars A.(eds.), Life Span Perspectives of Suicide, pp.295-307, New York, 199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