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의 목적은 특수교사의 학습 기회, 사회적 지지, 교육 신념, 수업 전문성 간의 구조적 분석을 통하여 특수교사의 수업 전문성을 향상시키는 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특수교사의 수업 전문성과 관련된 여러 가지 변수들 중에서 학습 기회와 사회적 지지를 독립변수로, 교육 신념을 ...
이 연구의 목적은 특수교사의 학습 기회, 사회적 지지, 교육 신념, 수업 전문성 간의 구조적 분석을 통하여 특수교사의 수업 전문성을 향상시키는 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특수교사의 수업 전문성과 관련된 여러 가지 변수들 중에서 학습 기회와 사회적 지지를 독립변수로, 교육 신념을 매개변수로 설정하여 인과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2013년 8월 30일부터 9월 13일까지 충남, 대전, 전북 소재의 공립 특수학교와 특수학급에 근무하는 특수교사에게 총 75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였고, 그 중 593부가 회수되어 79.1%의 회수율을 보였다. 수집된 설문지는 최초 593부 였으나 그 중에서 불성실하게 응답한 48부를 제외한 545부의 데이터를 검정하여 정규분포에 위배되는 42개의 데이터를 추가적으로 제외시켜 총 503개의 수집된 자료를 LISREL 8.54 프로그램을 이용한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통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가설 1>의 ‘특수교사의 학습 기회는 교육 신념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가설을 검증하였다. 검증 결과, <가설 1-1>의 ‘특수교사의 공식적 학습 기회는 교육 신념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는 기각되었고, <가설 1-2>의 ‘특수교사의 비공식적 학습 기회는 교육 신념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는 채택되었다. 따라서 공식적 학습 기회는 교육 신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있으나, 비공식적 학습 기회는 교육 신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설 2>의 ‘특수교사의 사회적 지지는 교육 신념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가설을 검증하였다. 검증 결과, <가설 2-1>의 ‘교장 지지는 교육 신념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와 <가설 2-2>의 ‘동료 지지는 교육 신념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는 기각되었고, <가설 2-3>의 ‘학부모 지지는 교육 신념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는 채택되었다. 따라서 교장 지지와 동료 지지는 교육 신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있으나 학부모 지지는 교육 신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특수 교사의 교육 신념은 수업 전문성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가설을 검증하였다. 검증결과, <가설 3-1> ‘특수교사의 교육 신념은 내용지식 및 학생이해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3-2> ‘특수교사의 교육 신념은 수업설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3-3> ‘특수교사의 교육 신념은 수업전략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3-4> ‘특수교사의 교육 신념은 의사소통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3-5> ‘특수교사의 교육 신념은 평가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3-6> ‘특수교사의 교육 신념은 수업반성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는 모두 채택되었다. 따라서 교육 신념은 내용지식 및 학생이해, 수업설계, 수업전략, 의사소통, 평가, 수업반성에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한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결과에 대한 종합적 결론은 수업 전문성 관련요인으로 학습 기회의 비공식적 학습 기회와 사회적 지지의 학부모 지지가 교육 신념에 영향을 미치고 교육 신념은 수업 전문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요약할 수 있다. 이 연구는 특수교사의 학습 기회, 사회적 지지, 교육 신념, 수업 전문성 간의 구조적 분석을 통하여 특수교사의 수업 전문성을 향상시키는 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지금까지의 내용을 바탕으로 후속 연구를 위해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첫째, 연구 대상의 표집 방법이 대전, 충남, 전북 지역에 재직하는 특수교사들을 대상으로 비확률적 표본추출 중 편의표본추출 방법을 활용하였다. 따라서 장애유형과 학교과정별 목적유층표집을 하지 못한 제한점이 있다. 후속연구에서는 대상의 표집에 있어 보다 객관적 표집방법을 선택하는 고른 선정의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장애영역, 장애정도, 학교급별 비교 등 특수 교사의 수업전문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대한 다양한 연구와 분석을 통하여 특수 교사의 수업전문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제도적 기준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이 연구는 특수교사의 수업 전문성 관련 변수들에 대해서 이론적인 고찰을 한 후에 선행연구의 측정도구들을 수정·보완하거나 새로 개발하였다. 추후 연구에서는 변수간의 인과관계를 설정함에 있어 외적인 측면의 변수보다 내적인 측면의 변수를 설정하여 특수교사의 성격이나 성향에 따른 교육 신념과 수업 전문성과의 관계를 알아보는 연구도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셋째, 특수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교육 신념의 관계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교장 지지나 동료교사 지지가 아닌 학부모 지지가 교육신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의 선행연구에서는 교장과 동료의 정서적 지지가 일반 교사의 교육 신념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 측면을 살펴보았는데, 특수교사의 교육 신념은 학부모 지지에 의해 영향을 받는 측면에 대해 특수교사와 학부모의 관계 형성은 잘 이루어지고 있는지 심층적으로 알아 볼 필요가 있다고 여겨진다. 넷째, 특수교사가 재직하고 있는 교육환경은 특수학교와 특수학급으로 구분되는데, 수업 전문성과 관련된 변인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서 특수교사의 배치환경의 특수성에 따른 변인을 고려하여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이와 더불어 특수교사의 수업 전문성 관련 요인에 관한 후속연구가 더욱 많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특수교사의 수업 전문성을 신장시키거나 저해하는 실증적인 이유를 심층적으로 알아보기 위하여 질적인 연구 방법을 적용해 볼 필요가 있다고 여겨진다.
이 연구의 목적은 특수교사의 학습 기회, 사회적 지지, 교육 신념, 수업 전문성 간의 구조적 분석을 통하여 특수교사의 수업 전문성을 향상시키는 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특수교사의 수업 전문성과 관련된 여러 가지 변수들 중에서 학습 기회와 사회적 지지를 독립변수로, 교육 신념을 매개변수로 설정하여 인과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2013년 8월 30일부터 9월 13일까지 충남, 대전, 전북 소재의 공립 특수학교와 특수학급에 근무하는 특수교사에게 총 75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였고, 그 중 593부가 회수되어 79.1%의 회수율을 보였다. 수집된 설문지는 최초 593부 였으나 그 중에서 불성실하게 응답한 48부를 제외한 545부의 데이터를 검정하여 정규분포에 위배되는 42개의 데이터를 추가적으로 제외시켜 총 503개의 수집된 자료를 LISREL 8.54 프로그램을 이용한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통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가설 1>의 ‘특수교사의 학습 기회는 교육 신념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가설을 검증하였다. 검증 결과, <가설 1-1>의 ‘특수교사의 공식적 학습 기회는 교육 신념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는 기각되었고, <가설 1-2>의 ‘특수교사의 비공식적 학습 기회는 교육 신념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는 채택되었다. 따라서 공식적 학습 기회는 교육 신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있으나, 비공식적 학습 기회는 교육 신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설 2>의 ‘특수교사의 사회적 지지는 교육 신념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가설을 검증하였다. 검증 결과, <가설 2-1>의 ‘교장 지지는 교육 신념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와 <가설 2-2>의 ‘동료 지지는 교육 신념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는 기각되었고, <가설 2-3>의 ‘학부모 지지는 교육 신념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는 채택되었다. 따라서 교장 지지와 동료 지지는 교육 신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있으나 학부모 지지는 교육 신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특수 교사의 교육 신념은 수업 전문성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가설을 검증하였다. 검증결과, <가설 3-1> ‘특수교사의 교육 신념은 내용지식 및 학생이해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3-2> ‘특수교사의 교육 신념은 수업설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3-3> ‘특수교사의 교육 신념은 수업전략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3-4> ‘특수교사의 교육 신념은 의사소통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3-5> ‘특수교사의 교육 신념은 평가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3-6> ‘특수교사의 교육 신념은 수업반성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는 모두 채택되었다. 따라서 교육 신념은 내용지식 및 학생이해, 수업설계, 수업전략, 의사소통, 평가, 수업반성에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한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결과에 대한 종합적 결론은 수업 전문성 관련요인으로 학습 기회의 비공식적 학습 기회와 사회적 지지의 학부모 지지가 교육 신념에 영향을 미치고 교육 신념은 수업 전문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요약할 수 있다. 이 연구는 특수교사의 학습 기회, 사회적 지지, 교육 신념, 수업 전문성 간의 구조적 분석을 통하여 특수교사의 수업 전문성을 향상시키는 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지금까지의 내용을 바탕으로 후속 연구를 위해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첫째, 연구 대상의 표집 방법이 대전, 충남, 전북 지역에 재직하는 특수교사들을 대상으로 비확률적 표본추출 중 편의표본추출 방법을 활용하였다. 따라서 장애유형과 학교과정별 목적유층표집을 하지 못한 제한점이 있다. 후속연구에서는 대상의 표집에 있어 보다 객관적 표집방법을 선택하는 고른 선정의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장애영역, 장애정도, 학교급별 비교 등 특수 교사의 수업전문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대한 다양한 연구와 분석을 통하여 특수 교사의 수업전문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제도적 기준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이 연구는 특수교사의 수업 전문성 관련 변수들에 대해서 이론적인 고찰을 한 후에 선행연구의 측정도구들을 수정·보완하거나 새로 개발하였다. 추후 연구에서는 변수간의 인과관계를 설정함에 있어 외적인 측면의 변수보다 내적인 측면의 변수를 설정하여 특수교사의 성격이나 성향에 따른 교육 신념과 수업 전문성과의 관계를 알아보는 연구도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셋째, 특수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교육 신념의 관계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교장 지지나 동료교사 지지가 아닌 학부모 지지가 교육신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의 선행연구에서는 교장과 동료의 정서적 지지가 일반 교사의 교육 신념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 측면을 살펴보았는데, 특수교사의 교육 신념은 학부모 지지에 의해 영향을 받는 측면에 대해 특수교사와 학부모의 관계 형성은 잘 이루어지고 있는지 심층적으로 알아 볼 필요가 있다고 여겨진다. 넷째, 특수교사가 재직하고 있는 교육환경은 특수학교와 특수학급으로 구분되는데, 수업 전문성과 관련된 변인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서 특수교사의 배치환경의 특수성에 따른 변인을 고려하여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이와 더불어 특수교사의 수업 전문성 관련 요인에 관한 후속연구가 더욱 많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특수교사의 수업 전문성을 신장시키거나 저해하는 실증적인 이유를 심층적으로 알아보기 위하여 질적인 연구 방법을 적용해 볼 필요가 있다고 여겨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e provision of basic information required for the improvement of teaching professionalism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by a structural analysis on learning opportunity, social support, educational belief and teaching professionalism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Am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e provision of basic information required for the improvement of teaching professionalism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by a structural analysis on learning opportunity, social support, educational belief and teaching professionalism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Among the various variables related to the teaching professionalism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learning opportunity and social support were taken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educational belief was taken as the parameter for the investigation of causal relationship. A questionnaire survey was done from August 30th to September 13th of 2013 on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work in the public special education schools and special education classes located in Chungcheongnam-do, Daejeon and Jeollabuk-do. 750 sheets of questionnaire were given and 593 answer sheets were collected. 48 insincere answer sheets were excluded. Remaining 545 answer sheets were tested and 42 sheets were excluded as they are not in normal distribution. Consequently, 503 answer sheets were submitted to structure equation model analysis using LISREL 8.54 program. The result of analysis is as following. First, the , which is ‘the learning opportunity of special education teacher will have impact on educational belief’ was tested. The result suggested that the , which is ‘the formal learning opportunity of special education teacher will have impact on educational belief’ was rejected but the , which is ‘the informal learning opportunity of special education teacher will have impact on educational belief’ was adopted. Therefore, formal learning opportunity does not have impact on educational belief; however, informal learning opportunity h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educational belief. Second, the , which is ‘the social support of special education teacher will have impact on educational belief’ was tested. The result suggested that the , which is ‘the support by school principal will have impact on educational belief’ and , which is ‘the support by colleagues will have impact on educational belief’ were rejected. However, , which is ‘the support by school parents will have impact on educational belief’ was adopted. Therefore, the supports from school principal or colleagues do not have significant impact on educational belief; however, the support of school parents h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educational belief. Third, the hypothesis that ‘the educational belief of special education teacher will have impact on teaching professionalism’ was tested. The result suggested the , which is ‘the educational belief of special education teacher will have impact on content knowledge and understanding of student’, , which is ‘the educational belief of special education teacher will have impact on class design’, the , which is ‘the educational belief of special education teacher will have impact on class strategy’, , which is ‘the educational belief of special education teacher will have impact on communication’, , which is ‘the educational belief of special education teacher will have impact on evaluation’ and , which is ‘the educational belief of special education teacher will have impact on self-examination of teaching’ were all adopted. Therefore, educational belief has statistically very significant impact on content knowledge, understanding of students, class design, class strategy, communication, evaluation and self-examination of teaching. The comprehensive conclusion on abov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that ‘the informal learning opportunity among learning opportunities and school parents’ support among social supports have impact on educational belief as the teaching professionalism related factors; while educational belief has impact on teaching professionalism. This study has its significance in providing the basic information required for the improvement of teaching professionalism of special education teacher by analyzing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opportunity, social support, educational belief and teaching professionalism. Based on the study results, following are suggested for future studies. First,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special education teachers working in Daejeon, Chungcheongnam-do and Jeollabuk-do. Sampling method was convenient sampling among non-probability sampling methods. Therefore, this study has the limitation of not having done purpose-stratified sampling by disability type and by school class. Studies with even choice by objective sampling method is required in the future. In addition, it is required to establish a system standard to improve the teaching professionalism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the future by various studies and analyses on the variables, which have impact on teaching professionalism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such as disability area, disability extent and comparison by school grade. Second, this study first did theoretical investigation on the variables related to teaching professionalism of special education teacher and then revised, complemented or newly developed the measurement tools in existing studies. More future studies are required on lear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ing professionalism and educational belief dependent on the character or propensity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by setting up internal aspect variables than external aspect variables when establishing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Third,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al belief and social support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e support of school parents has impact; while supports of school principal or colleagues do not have impact. The existing studies explored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al belief of general teachers and the emotional support of school principal and colleagues. Since the educational belief of special education teacher gets impact from the support of school parents, it is necessary to learn whether the relation formation between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school parents are properly formed or not. Fourth, the educational environment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can be classified into special school and school class. Future studies are suggested to be done by considering the variables dependent on the specialty of assignment environment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so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ing professionalism and the variables related to it would be learned. In addition, more studies are required on the factors related to teaching professionalism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It is believed that there is the necessity of applying a qualitative study method so that the empirical reasons, which enhances or interferes with the teaching professionalism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can be learned in-dept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e provision of basic information required for the improvement of teaching professionalism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by a structural analysis on learning opportunity, social support, educational belief and teaching professionalism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Among the various variables related to the teaching professionalism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learning opportunity and social support were taken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educational belief was taken as the parameter for the investigation of causal relationship. A questionnaire survey was done from August 30th to September 13th of 2013 on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work in the public special education schools and special education classes located in Chungcheongnam-do, Daejeon and Jeollabuk-do. 750 sheets of questionnaire were given and 593 answer sheets were collected. 48 insincere answer sheets were excluded. Remaining 545 answer sheets were tested and 42 sheets were excluded as they are not in normal distribution. Consequently, 503 answer sheets were submitted to structure equation model analysis using LISREL 8.54 program. The result of analysis is as following. First, the , which is ‘the learning opportunity of special education teacher will have impact on educational belief’ was tested. The result suggested that the , which is ‘the formal learning opportunity of special education teacher will have impact on educational belief’ was rejected but the , which is ‘the informal learning opportunity of special education teacher will have impact on educational belief’ was adopted. Therefore, formal learning opportunity does not have impact on educational belief; however, informal learning opportunity h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educational belief. Second, the , which is ‘the social support of special education teacher will have impact on educational belief’ was tested. The result suggested that the , which is ‘the support by school principal will have impact on educational belief’ and , which is ‘the support by colleagues will have impact on educational belief’ were rejected. However, , which is ‘the support by school parents will have impact on educational belief’ was adopted. Therefore, the supports from school principal or colleagues do not have significant impact on educational belief; however, the support of school parents h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educational belief. Third, the hypothesis that ‘the educational belief of special education teacher will have impact on teaching professionalism’ was tested. The result suggested the , which is ‘the educational belief of special education teacher will have impact on content knowledge and understanding of student’, , which is ‘the educational belief of special education teacher will have impact on class design’, the , which is ‘the educational belief of special education teacher will have impact on class strategy’, , which is ‘the educational belief of special education teacher will have impact on communication’, , which is ‘the educational belief of special education teacher will have impact on evaluation’ and , which is ‘the educational belief of special education teacher will have impact on self-examination of teaching’ were all adopted. Therefore, educational belief has statistically very significant impact on content knowledge, understanding of students, class design, class strategy, communication, evaluation and self-examination of teaching. The comprehensive conclusion on abov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that ‘the informal learning opportunity among learning opportunities and school parents’ support among social supports have impact on educational belief as the teaching professionalism related factors; while educational belief has impact on teaching professionalism. This study has its significance in providing the basic information required for the improvement of teaching professionalism of special education teacher by analyzing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opportunity, social support, educational belief and teaching professionalism. Based on the study results, following are suggested for future studies. First,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special education teachers working in Daejeon, Chungcheongnam-do and Jeollabuk-do. Sampling method was convenient sampling among non-probability sampling methods. Therefore, this study has the limitation of not having done purpose-stratified sampling by disability type and by school class. Studies with even choice by objective sampling method is required in the future. In addition, it is required to establish a system standard to improve the teaching professionalism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the future by various studies and analyses on the variables, which have impact on teaching professionalism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such as disability area, disability extent and comparison by school grade. Second, this study first did theoretical investigation on the variables related to teaching professionalism of special education teacher and then revised, complemented or newly developed the measurement tools in existing studies. More future studies are required on lear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ing professionalism and educational belief dependent on the character or propensity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by setting up internal aspect variables than external aspect variables when establishing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Third,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al belief and social support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e support of school parents has impact; while supports of school principal or colleagues do not have impact. The existing studies explored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al belief of general teachers and the emotional support of school principal and colleagues. Since the educational belief of special education teacher gets impact from the support of school parents, it is necessary to learn whether the relation formation between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school parents are properly formed or not. Fourth, the educational environment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can be classified into special school and school class. Future studies are suggested to be done by considering the variables dependent on the specialty of assignment environment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so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ing professionalism and the variables related to it would be learned. In addition, more studies are required on the factors related to teaching professionalism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It is believed that there is the necessity of applying a qualitative study method so that the empirical reasons, which enhances or interferes with the teaching professionalism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can be learned in-depth.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