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의 피부 미용 및 피부 관리의 범위는 입술부를 포함하는 넓은 영역으로까지 확대되었으며, 피부 미용에 활용되는 효과적인 재료를 통하여, 단순한 피부 미용 관리만이 아닌 건강관리 등의 포괄적인 부분을 함께 다루어 피부에 대한 효과를 높이는 데까지 확장되어 왔다. 본 연구는 입술부 질환의 피로와의 연계성을 보여주고, 그 관리를 통해 구각구순 구강점막을 피부 및 입술과 함께 피부미용 분야의 확장된 연구 범위와 관리 대상으로써의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구내염 및 입술피부 건강에 미치는 다양한 원인들 중, 피로함이나 스트레스의 평상시 신체 피로물질의 제거가 구내염 및 입술부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알고자 연구를 수행하였다. 구내염의 경우 대표적인 입술부 질환이지만 구내염의 발병 원인과 기전이 명확하지 않아 대증요법을 취하고 있다는 점, 또한 자연치유기간이 짧아 아무런 조취를 하지 않고 통증을 참는 문제점이 있음을 인지하여, 이를 피부 관리의 확장된 대상으로 인식하고, 향후 활용도를 고려하여 피로회복에 알려진 식초와 구강점막의 구성원인 ...
현대의 피부 미용 및 피부 관리의 범위는 입술부를 포함하는 넓은 영역으로까지 확대되었으며, 피부 미용에 활용되는 효과적인 재료를 통하여, 단순한 피부 미용 관리만이 아닌 건강관리 등의 포괄적인 부분을 함께 다루어 피부에 대한 효과를 높이는 데까지 확장되어 왔다. 본 연구는 입술부 질환의 피로와의 연계성을 보여주고, 그 관리를 통해 구각구순 구강점막을 피부 및 입술과 함께 피부미용 분야의 확장된 연구 범위와 관리 대상으로써의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구내염 및 입술피부 건강에 미치는 다양한 원인들 중, 피로함이나 스트레스의 평상시 신체 피로물질의 제거가 구내염 및 입술부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알고자 연구를 수행하였다. 구내염의 경우 대표적인 입술부 질환이지만 구내염의 발병 원인과 기전이 명확하지 않아 대증요법을 취하고 있다는 점, 또한 자연치유기간이 짧아 아무런 조취를 하지 않고 통증을 참는 문제점이 있음을 인지하여, 이를 피부 관리의 확장된 대상으로 인식하고, 향후 활용도를 고려하여 피로회복에 알려진 식초와 구강점막의 구성원인 콜라겐을 선별하고 이의 복합식이가 구내염의 치유 및 발생억제와 입술피부에의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총 3장으로 이루어졌으며, 1장은 구각구순 구강점막의 건강실태를 알아보기 위한 방법으로 1차 579명, 2차 460명의 설문조사를 하였다. 2장은 피로물질 제거와 구내염의 치유 촉진을 위한 임상실험으로써, 피로하고 구내염 발생 경험자 26명을 대상으로 식초와 콜라겐의 복합식이의 효과검증을 실시하였다. 식초군은 1일 동안 식초 15 mL를 2회 섭취하였고, 콜라겐 식초 복합식이군은 1일 동안 콜라겐 3 g을 식초 15 mL와 함께 2회 섭취하였다. 무처치군, 식초군, 콜라겐 식초 복합식이군은 실험전과 4주 섭취 후에 채혈하여 혈중 피로물질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12주 섭취 후에는 설문을 통하여 구강건강을 알아보았다. 3장은 1장 및 2장 결과의 적용사례로써 고피로도군에 있어서 구내염 발생과 인식, 대응 방법을 알아보고자 피부미용사 18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손발의 온도가 상대적으로 차고, 피로하면서 흡연이나 커피를 즐기는 사람, 식사량 감량, 단백질 섭취가 부족한 사람이 겨울이나 계절이 바뀔때 수면부족, 스트레스에 의해 구각구순염, 구내염의 발병이 상대적으로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피로도가 높을수록 구내염 발생정도가 많으며, 입술형태에 대한 자가관찰 평가가 좋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구내염 발생정도, 피로도가 높을수록 만성피로와 관련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임상실험에서 혈중 lactic acid, IL-6, cortisol, uric acid의 변화는 실험전보다 4주 섭취후에 감소효과가 있었다. 특히 콜라겐 식초 복합식이군에서 식초군보다 좀 더 높은 감소가 나타났다. 피부미용사는 일반인보다 구내염 발생과 만성피로가 높았으며, 피부미용과 관련성이 있다고 생각하였으나, 효과적인 대응방법에 대한 인식은 적었다. 본 연구와 다양한 선행연구를 통해 식초의 성분인 아세트산은 단쇄지방산으로서 다양한 전사인자들을 활성화, 염증반응이나 다양한 세포내 대사를 조절하고, 콜라겐은 세포외기질의 구성원으로 조직 재생에서 매우 중요하여 식초와 콜라겐의 복합식이는 구내염 및 구각구순염 등에 효과를 나타낸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를 통해 피부미용분야에서 입술부 및 구내염에 대한 피부 관리 접근 방법이 효과적으로 작용함을 알 수 있었으며, 식초와 콜라겐의 복합식이가 피로물질 제거를 통해 입술부 건강에 도움을 준다는 것과 이를 활용한 향후 고객서비스나 통증 완화, 예방 용도의 효과적인 적용의 가능성을 알 수 있었다.
현대의 피부 미용 및 피부 관리의 범위는 입술부를 포함하는 넓은 영역으로까지 확대되었으며, 피부 미용에 활용되는 효과적인 재료를 통하여, 단순한 피부 미용 관리만이 아닌 건강관리 등의 포괄적인 부분을 함께 다루어 피부에 대한 효과를 높이는 데까지 확장되어 왔다. 본 연구는 입술부 질환의 피로와의 연계성을 보여주고, 그 관리를 통해 구각구순 구강점막을 피부 및 입술과 함께 피부미용 분야의 확장된 연구 범위와 관리 대상으로써의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구내염 및 입술피부 건강에 미치는 다양한 원인들 중, 피로함이나 스트레스의 평상시 신체 피로물질의 제거가 구내염 및 입술부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알고자 연구를 수행하였다. 구내염의 경우 대표적인 입술부 질환이지만 구내염의 발병 원인과 기전이 명확하지 않아 대증요법을 취하고 있다는 점, 또한 자연치유기간이 짧아 아무런 조취를 하지 않고 통증을 참는 문제점이 있음을 인지하여, 이를 피부 관리의 확장된 대상으로 인식하고, 향후 활용도를 고려하여 피로회복에 알려진 식초와 구강점막의 구성원인 콜라겐을 선별하고 이의 복합식이가 구내염의 치유 및 발생억제와 입술피부에의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총 3장으로 이루어졌으며, 1장은 구각구순 구강점막의 건강실태를 알아보기 위한 방법으로 1차 579명, 2차 460명의 설문조사를 하였다. 2장은 피로물질 제거와 구내염의 치유 촉진을 위한 임상실험으로써, 피로하고 구내염 발생 경험자 26명을 대상으로 식초와 콜라겐의 복합식이의 효과검증을 실시하였다. 식초군은 1일 동안 식초 15 mL를 2회 섭취하였고, 콜라겐 식초 복합식이군은 1일 동안 콜라겐 3 g을 식초 15 mL와 함께 2회 섭취하였다. 무처치군, 식초군, 콜라겐 식초 복합식이군은 실험전과 4주 섭취 후에 채혈하여 혈중 피로물질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12주 섭취 후에는 설문을 통하여 구강건강을 알아보았다. 3장은 1장 및 2장 결과의 적용사례로써 고피로도군에 있어서 구내염 발생과 인식, 대응 방법을 알아보고자 피부미용사 18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손발의 온도가 상대적으로 차고, 피로하면서 흡연이나 커피를 즐기는 사람, 식사량 감량, 단백질 섭취가 부족한 사람이 겨울이나 계절이 바뀔때 수면부족, 스트레스에 의해 구각구순염, 구내염의 발병이 상대적으로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피로도가 높을수록 구내염 발생정도가 많으며, 입술형태에 대한 자가관찰 평가가 좋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구내염 발생정도, 피로도가 높을수록 만성피로와 관련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임상실험에서 혈중 lactic acid, IL-6, cortisol, uric acid의 변화는 실험전보다 4주 섭취후에 감소효과가 있었다. 특히 콜라겐 식초 복합식이군에서 식초군보다 좀 더 높은 감소가 나타났다. 피부미용사는 일반인보다 구내염 발생과 만성피로가 높았으며, 피부미용과 관련성이 있다고 생각하였으나, 효과적인 대응방법에 대한 인식은 적었다. 본 연구와 다양한 선행연구를 통해 식초의 성분인 아세트산은 단쇄지방산으로서 다양한 전사인자들을 활성화, 염증반응이나 다양한 세포내 대사를 조절하고, 콜라겐은 세포외기질의 구성원으로 조직 재생에서 매우 중요하여 식초와 콜라겐의 복합식이는 구내염 및 구각구순염 등에 효과를 나타낸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를 통해 피부미용분야에서 입술부 및 구내염에 대한 피부 관리 접근 방법이 효과적으로 작용함을 알 수 있었으며, 식초와 콜라겐의 복합식이가 피로물질 제거를 통해 입술부 건강에 도움을 준다는 것과 이를 활용한 향후 고객서비스나 통증 완화, 예방 용도의 효과적인 적용의 가능성을 알 수 있었다.
The scope of modern skin beauty and skin care has been expanded into wide areas including lip parts, not to mention improving the effect of skin by dealing with a comprehensive part of health care, not only simple skin beauty and care through the effective materials used for skin beauty. This study ...
The scope of modern skin beauty and skin care has been expanded into wide areas including lip parts, not to mention improving the effect of skin by dealing with a comprehensive part of health care, not only simple skin beauty and care through the effective materials used for skin beauty. This study is intended to show the relationship between labial diseases and fatigue, inquire into the effect of the removal of usual physical fatigue stuff by fatigue and stress of various causes affecting stomatitis and labial skin health on stomatitis and labial health, and put forward the possibility as the research range and management objects of oral mucosa in angular mouth and lips with skin and lips in the field of skin beauty through skin care. It aims to determine the effect of complex ingestion of vinegar and collagen on the cure and incidence inhibition of stomatitis and labial skin health by selecting vinegar known as having an effect on fatigue recovery, and a constituent of oral mucosa, collagen in the light of future use as skin care. The stomatitis is a typical labial disease. But allopathy is taken due to the unclear cause and mechanism of stomatitis, and the pain without any actions is endured due to the short period of a spontaneous cure. This study was comprised of total 3 chapters. To explore the health status of oral mucosa in angular mouth and lips, the first survey and the second survey were carried out to 579 persons and 460 persons in the first chapter. To verify the effect of complex ingestion of vinegar and collagen, the clinical trial for promoting the removal of fatigue stuffs and the cure of stomatitis was carried out 26 stomatitis-experienced persons in the second chapter. The vinegar group ingested 15ml vinegar 2 times for 1 day, and the complex ingestion group of collagen and vinegar ingested 3g collagen with 15ml vinegar 2 times for 1 day in the clinical trial. The non-treatment group, vinegar group, and complex ingestion group of collagen and vinegar had their blood taken before the trial and after the ingestion for 4 weeks to examine the change of fatigue substances in their blood. A survey was carried out to inquire into oral health after the ingestion for 12 weeks. To explore the occurrance, perception of stomatitis and stomatitis-coping methods in high fatigue group, a survey was carried out to 188 estheticians in the third chapter, which was a case that applies the results of the first chapter and the second chapter.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Angular cheilitis and stomatitis highly occurred in people, who have relatively cold hands and feet, enjoy smoking or coffee despite fatigue, reduce meals and lack the ingestion of protein by insufficient sleep and stress during winter or the change of seasons. The high fatigue increased a incidence of stomatitis and a poor self observation evaluation of lip type. In particular, the high incidence of stomatitis and fatigue increased a relationship with chronic fatigue. The change of lactic acid, IL-6, cortisol and uric acid in their blood in the clinical trial decreased more highly after the ingestion for 4 weeks than before the trial, in particular, in the complex ingestion group of collagen and vinegar than in the vinegar group. The estheticians had a higher incidence of stomatitis and chronic fatigue than the public. They thought that they had a relationship with skin beauty, but they had a low perception of effective stomatitis- and chronic fatigue-coping methods. This study and various previous studies showed that an ingredient of vinegar, acetic acid didn't only activate various transcription factors, but regulate an inflammatory reaction or various intracellular metabolisms as a monoenoic fatty acid. The the collagen was very important in neogenesis as a constituent of extracellular matrix. The complex ingestion of collagen and vinegar were effective for stomatitis and angular cheilitis. Consequently, through this study, the approach to skin care of lip parts and stomatitis can be effectively worked in the field of skin beauty. The complex ingestion of vinegar and collagen can not only help the health of lips by removing fatigue stuffs, but be effectively applied to customer service or the relief and prevention of pain in the future.
The scope of modern skin beauty and skin care has been expanded into wide areas including lip parts, not to mention improving the effect of skin by dealing with a comprehensive part of health care, not only simple skin beauty and care through the effective materials used for skin beauty. This study is intended to show the relationship between labial diseases and fatigue, inquire into the effect of the removal of usual physical fatigue stuff by fatigue and stress of various causes affecting stomatitis and labial skin health on stomatitis and labial health, and put forward the possibility as the research range and management objects of oral mucosa in angular mouth and lips with skin and lips in the field of skin beauty through skin care. It aims to determine the effect of complex ingestion of vinegar and collagen on the cure and incidence inhibition of stomatitis and labial skin health by selecting vinegar known as having an effect on fatigue recovery, and a constituent of oral mucosa, collagen in the light of future use as skin care. The stomatitis is a typical labial disease. But allopathy is taken due to the unclear cause and mechanism of stomatitis, and the pain without any actions is endured due to the short period of a spontaneous cure. This study was comprised of total 3 chapters. To explore the health status of oral mucosa in angular mouth and lips, the first survey and the second survey were carried out to 579 persons and 460 persons in the first chapter. To verify the effect of complex ingestion of vinegar and collagen, the clinical trial for promoting the removal of fatigue stuffs and the cure of stomatitis was carried out 26 stomatitis-experienced persons in the second chapter. The vinegar group ingested 15ml vinegar 2 times for 1 day, and the complex ingestion group of collagen and vinegar ingested 3g collagen with 15ml vinegar 2 times for 1 day in the clinical trial. The non-treatment group, vinegar group, and complex ingestion group of collagen and vinegar had their blood taken before the trial and after the ingestion for 4 weeks to examine the change of fatigue substances in their blood. A survey was carried out to inquire into oral health after the ingestion for 12 weeks. To explore the occurrance, perception of stomatitis and stomatitis-coping methods in high fatigue group, a survey was carried out to 188 estheticians in the third chapter, which was a case that applies the results of the first chapter and the second chapter.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Angular cheilitis and stomatitis highly occurred in people, who have relatively cold hands and feet, enjoy smoking or coffee despite fatigue, reduce meals and lack the ingestion of protein by insufficient sleep and stress during winter or the change of seasons. The high fatigue increased a incidence of stomatitis and a poor self observation evaluation of lip type. In particular, the high incidence of stomatitis and fatigue increased a relationship with chronic fatigue. The change of lactic acid, IL-6, cortisol and uric acid in their blood in the clinical trial decreased more highly after the ingestion for 4 weeks than before the trial, in particular, in the complex ingestion group of collagen and vinegar than in the vinegar group. The estheticians had a higher incidence of stomatitis and chronic fatigue than the public. They thought that they had a relationship with skin beauty, but they had a low perception of effective stomatitis- and chronic fatigue-coping methods. This study and various previous studies showed that an ingredient of vinegar, acetic acid didn't only activate various transcription factors, but regulate an inflammatory reaction or various intracellular metabolisms as a monoenoic fatty acid. The the collagen was very important in neogenesis as a constituent of extracellular matrix. The complex ingestion of collagen and vinegar were effective for stomatitis and angular cheilitis. Consequently, through this study, the approach to skin care of lip parts and stomatitis can be effectively worked in the field of skin beauty. The complex ingestion of vinegar and collagen can not only help the health of lips by removing fatigue stuffs, but be effectively applied to customer service or the relief and prevention of pain in the future.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