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해조류 유래 다당류와 장 건강
Seaweed Derived Oligosaccharides and its Health Beneficial Effects on Gut Health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6 no.7, 2016년, pp.465 - 475  

양효선 (제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윤경 (제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전 세계적으로 염증성 장질환의 발병률이 지속적인 증가추세를 보이는 가운데, 그 원인과 기전에 대한 적극적인 연구가 진행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 뚜렷한 치료제의 개발은 미비한 실정이다. 염증성 장질환의 원인에는 유전적, 후생유전적, 환경적 요인 외에도 숙주의 면역상태 등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으며 특히 환경적인 요인 중 식이는 장 건강에 큰 영향을 미친다. 인간의 소화 작용에 의해 분해되지 않고 장까지 도달하는 난소화성 식이 섬유소는 장내 미생물의 먹이로 사용되고 선택적으로 바람직한 장내 미생물인 프로바이오틱스(probiotics)의 성장에 영향을 주는 프리바이오틱스(prebiotics)의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장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고 알려져 있다. 최근 풍부한 식이 섬유소롤 함유하고 있는 해조류 유래 다당류의 프리바이오틱스로의 기능이 대두되면서 장 건강 증진을 위한 기능성 물질로써의 역할과 그 기전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총설에서는 해조류 유래 다당류, 주로 후코이단과 라미나린 등이 장 건강과 장내 미생물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 및 염증성 장질환의 재발과 치료를 위한 잠재적인 기능성 원료로써 가능성을 in vitro와 in vivo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논의해 보도록 하겠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incidence of inflammatory bowel disease(IBD) has increased continuously in worldwide, but no cure have been discovered. The etiology of IBD may include various factors such as genetics, epigenetic, environment as well as host immune system. Among the environmental factors of IBD, diet heavily 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해조류의 항염증과 관련된 연구들은 다양하게 보고되어 있으나, 해조류 추출물이 장내 염증과 특히 IBD의 재발 및 예방효과에 관련된 연구들은 제한적이며, 다양한 해조류 유래 다당류의 스크리닝보다는 이미 다른 건강증진 효과가 알려져있는 후코이단과 라미나린 등의 해조류 유래 다당류에 관련된 연구 결과들이 주를 이루고 있는 점과 해조류 혹은 해조류 유래 다당류 추출물을 대상으로 한 임상연구 결과가 아직은 미비하여 이에 대한 논의를 다루지 못하는 점 등이 본 연구의 한계점이라고 하겠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에서는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발병률이 크게 증가하고 있는 IBD의 증상개선과 빈번한 재발을 방지하기 위한 잠재적 치료적 차원의 기능성 원료 측면에서 해조류 유래 다당류의 연구 결과들과 다양한 연구 방법을 고찰함으로써 새로운 시각에서 해조류 유래 다당류의 개념을 제시하고자 한다.
  • 여러 가지 IBD의 원인들 중 환경적인 요인, 특히 본 총설의 초점인 식이의 경우 IBD의 병태생리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여겨지고 있는데, 지금까지 보고된 IBD 증상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식이/성분으로는 육류, 지방, 사탕, 과자 등의 가공식품 및 패스트푸드 등이 있으며, 반면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식품들로는 식이섬유, 과일, 채소, 오메가-3 지방산, 비타민D 등이 보고된 바 있다[9]. 보다 구체적인 다양한 식이와 IBD의 병태 생리에 대한 고찰은 선행 타 총설에서 보고된 바 있으며[9], 본 총설에서는 좀 더 세분화된 주제로 해조류 유래 다당류들의 잠재적인 IBD 증상 개선 및 재발을 방지하기 위한 예방적 차원의 접근에 대해 in vitro와 in vivo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논하도록 하겠다.
  • 본 총설에서는 세포와 동물 기반의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현재까지 보고된 해조류 유래 다당류가 장 건강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과 그 기전을 살펴보았다. 현재까지 보고된 해조류 유래 다당류 중 장 건강에 대한 건강증진 효과 측면에서는 특히 갈조류에 속하며 다시마과에서 유래된 다당류가 주를 이루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 본 총설에서는 해조류 유래 다당류와 장 건강에 초점을 두어 in vitro와 in vivo 연구들을 바탕으로 해조류 유래 다당류의 잠재적인 장내 염증개선과 장 상피세포의 투과성 감소 등을 통한 장 건강 개선 효과에 대해 살펴보았다. 해조류의 항염증과 관련된 연구들은 다양하게 보고되어 있으나, 해조류 추출물이 장내 염증과 특히 IBD의 재발 및 예방효과에 관련된 연구들은 제한적이며, 다양한 해조류 유래 다당류의 스크리닝보다는 이미 다른 건강증진 효과가 알려져있는 후코이단과 라미나린 등의 해조류 유래 다당류에 관련된 연구 결과들이 주를 이루고 있는 점과 해조류 혹은 해조류 유래 다당류 추출물을 대상으로 한 임상연구 결과가 아직은 미비하여 이에 대한 논의를 다루지 못하는 점 등이 본 연구의 한계점이라고 하겠다.
  • 여러 가지 해조류 추출물이 장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아래와 같이 in vitro와 in vivo 연구 결과를 위주로 정리한 내용을 [표 1]과 같이 요약을 하였으며, 이들 연구 결과를 세부적으로 살펴보도록 하겠다.
  • 이에 본 총설에서는 염증성 장질환에 대해 살펴보고 해조류 유래 다당류의 종류와 현재까지 보고된 해조류의 장 염증 개선효과와 장 투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in vitro와 in vivo 실험 결과들을 정리하여 해조류 및 해조류 추출물이 제시하는 잠재적인 IBD의 예방과 개선 효과 및 그 조절기전에 대해 논하도록 하겠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장관의 역할은? 장관은 음식물 소화, 흡수, 배설의 기능 외에도 장관 점막의 면역학적 기능으로 관내 미생물 또는 이들의 부산물, 독소, 항원 등의 혈류로의 유입을 막는 방어벽으로의 이중적인 역할을 수행한다[1]. 건강한 장 점막 세포는 일정한 세포 사이 간격을 유지하지만, 자극이나 손상에 의해 세포 사이의 밀착연접(tight junction)의 기능 저하는 장 투과성을 증가시킨다[2].
염증성 장질환의 원인으로 보고된 요인에는 무엇이 있는가? 전 세계적으로 염증성 장질환의 발병률이 지속적인 증가추세를 보이는 가운데, 그 원인과 기전에 대한 적극적인 연구가 진행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 뚜렷한 치료제의 개발은 미비한 실정이다. 염증성 장질환의 원인에는 유전적, 후생유전적, 환경적 요인 외에도 숙주의 면역상태 등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으며 특히 환경적인 요인 중 식이는 장 건강에 큰 영향을 미친다. 인간의 소화 작용에 의해 분해되지 않고 장까지 도달하는 난소화성 식이 섬유소는 장내 미생물의 먹이로 사용되고 선택적으로 바람직한 장내 미생물인 프로바이오틱스(probiotics)의 성장에 영향을 주는 프리바이오틱스(prebiotics)의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장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고 알려져 있다.
전문가들이 바라본 우리나라 염증성 장 질환 발병률의 향후 동향은 어떨 것으로 예측되는가? 식생활의 서구화 및 비만인구의 증가와 더불어 세계적으로 그 발병률이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는 염증성 장 질환(inflammatory Bowel Disease, IBD)은 재발과 호전을 반복하는 만성적 위장관 염증질환으로, 아직까지 정확한 발생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으나 축척된 연구결과들에 의하면 IBD는 환경적, 후생유전적, 유전적 요인과 숙주의 면역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고 보고되어있다[4]. 과거 서구의 흔한 질병으로 알려져 온 IBD의 발병률이 최근 10년간 우리나라에서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전문가들은 우리나라의 IBD 발병률이 조만간 서구의 경우와 유사해질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5]. 현재 염증성 장질환의 치료에는 주로 아미노살리실레이트(aminosalicylates), 코르티코스테로이드(corticosteroids), TNF(tumor necrosis factor)-α 억제제 등의 항생제와 면역 억제제가 사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약제들로 근본적인 IBD의 치료가 어려운 한계점과 약물의 장기 복용에 따른 부작용 및 IBD의 재발과 나아가 대장암으로의 진행 등의 문제를 동반하고 있어 보다 근본적인 치료법 및 예방책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P. Bourlioux, B. Koletzko, and F. Guarner, "The Intestine and its Microflora are Partners for the Protection of the Host," Am J. of Clinical Nutrition, Vol.78, No.4, pp.675-683, 2003. 

  2. D. Hollander, "Intestinal Permeability, Leaky Gut, and Intestinal Disorders," Current Gastroenterology Reports, Vol.1, No.5, pp.410-416, 1999. 

  3. M. Silverman and M. Ostro, "Bacterial Endotoxin in Human Disease," Princeton, NJ: KPMG, Vol.35, 1999. 

  4. E. Y. Choi, K. K. Cho, and I. S. Choi, "Inflammatory Bowel Disease and Cytokine," J Life Sciences, Vol.23, No.3, pp.448-461, 2013. 

  5. 장병익, "염증성 장질환의 최신지견," 영남의대학술지, 제24권, 제2호, pp.S221-S233, 2007. 

  6. R. Rahimi, S. Nikfar, and M. Abdollahi, "Induction of Clinical Response and Remission of Inflammatory Bowel Disease by use of Herbal Medicines: A Meta-Analysis," World J gastroenterol, Vol.19, No.34, pp.5738-5749, 2003. 

  7. L. J. Dixon, A. Kabi, and K. P. Nickerson, "Combinatorial effects of diet and genetics inflammatory bowel disease pathogenesis," Inflammatory bowel diseases, Vol.21, pp.912-922, 2015. 

  8. G. D. Wu, J. Chen, and C. Hoffmann, "Linking Long-Term Dietary Patterns with Gut Microbial Enterotypes," Science, Vol.334, No.6052, pp.105-108, 2011. 

  9. D. E. Serban, "Microbiota in inflammatory bowel disease pathogenesis and therapy: Is it all about diet?," Nutrition in Clinical Practice, Vol.30, pp.760-779, 2015. 

  10. P. Louis, G. L. Hold, and H. J. Flint, "The Gut Microbiota, Bacterial Metabolites and Colorectal Cancer," Nature reviews Microbiology, Vol.12, pp.661-672, 2014 

  11. G. R. Glenn and M. B. Roberfroid, "Dietary modulation of the human colonic microbiota," J of nutrition, Vol.125, No.6, pp.1401-1412, 1995. 

  12. P. R. Marteau, M. de Vrese, and C. J. Cellier, "Protection from Gastrointestinal Diseases with the use of Probiotics," The American J of Clinical Nutrition, Vol.73, No.2, pp.430S-436S, 2001. 

  13. 이신지, 이명종, 정지은, "장내 상피세포 점막 투과성에 대한 유산균 및 금은화의 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제41권, 제7호, pp.881-887, 2012. 

  14. S. U. Kadam, B. K. Tiwari, and C. P. O'Donnell, "Extraction, Structure and Biofunctional Activities of Laminarin from Brown Algae," International J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ol.50, No.1, pp.24-31, 2015 

  15. J. Kang, M. Khan, and N. Park, "Antipyretic, Analgesic,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the Seaweed Sargassum Fulvellum and Sargassum Thunbergii in Mice," J of Ethnopharmacology, Vol.116, No.1, pp.187-190, 2008. 

  16. Y. V. Yuan and N. A. Walsh, "Antioxidant and Antiproliferative Activities of Extracts from a Variety of Edible Seaweeds," Food and Chemical Toxicology, Vol.44, No.7, pp.1144-1150, 2006. 

  17. A. Val, G. Platas, and A. Basilio, "Screening of Antimicrobial Activities in Red, Green and Brown Macroalgae from Gran Canaria," International Microbiology, Vol.4, No.1, pp.35-40, 2001. 

  18. W. A. Pushpamali, C. Nikapitiya, and M. De Zoysa, "Isolation and Purification of an Anticoagulant from Fermented Red Seaweed Lomentaria Catenata," Carbohydrate Polymers, Vol.73, No.2, pp.274-279, 2008. 

  19. L. O'Sullivan, B. Murphy, and P. McLoughlin, "Prebiotics from Marine Macroalgae for Human and Animal Health Applications," Marine drugs, Vol.8, No.7, pp.2038-2064, 2010. 

  20. E. V. Loftus, "Clinical Epidemiology of Inflammatory Bowel Disease: Incidence, Prevalence, and Environmental Influences," Gastroenterology, Vol.126, No.6, pp.1504-1517, 2004. 

  21. D. H. Shin, D. H. Sinn, and Y. Kim, "Increasing Incidence of Inflammatory Bowel Disease among Young Men in Korea between 2003 and 2008," Digestive Diseases and Science, Vol.56, No.4, pp.1154-1159, 2011. 

  22. W. Strober, I. Fuss, and P. Mannon, "The Fundamental Basis of Inflammatory Bowel Disease," J of Clinical Investigation, Vol.117, No.3, pp.514-521, 2007. 

  23. S. Wirtz and M. F. Neurath, "Mouse models of inflammatory bowel disease," Advanced Drug Delivery Reviews, Vol.59, No.11, pp.1073-1083, 2007. 

  24. J. O. Clarke and G. E. Mullin, "A Review of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Approaches to Immunomodulation," Nutrition in Clinical Practice, Vol.23, No.1, pp.49-62, 2008. 

  25. A. Iraha, H. Chinen, and A. Hokama, "Fucoidan Enhances Intestinal Barrier Function by Upregulating the Expression of Claudin-1," World J of Gastroenterology, Vol.19, No.33, pp.5500-5507, 2013. 

  26. G. Rogler, "Gastrointestinal and Liver Adverse Effects of Drugs used for Treating IBD," Best Practice & Research Clinical Gastroenterology, Vol.24, No.2, pp.157-165, 2010. 

  27. S. Matsumoto, M. Nagaoka, and T. Hara, "Fucoidan Derived from Cladosiphon Okamuranus Tokida Ameliorates Murine Chronic Colitis through the Down Regulation of IL-6 Production on Colonic Epithelial Cells," Clinical and Experimental Immunology, Vol.136, No.3, pp.432-439, 2004. 

  28. C. Deville, M. Gharbi, and G. Dandrifosse, "Study on the Effects of Laminarin, a Polysaccharide from Seaweed, on Gut Characteristics," J of the Science of Food and Agriculture, Vol.87, No.9, pp.1717-1725, 2007. 

  29. P. Reilly, J. O'doherty, and K. Pierce, "The Effects of Seaweed Extract Inclusion on Gut Morphology, Selected Intestinal Microbiota, Nutrient Digestibility, VFA Concentrations and the Immune Status of the Weaned Pig," Animal, Vol.2, No.10, pp.1465-1473, 2008. 

  30. T. Tanoue, Y. Nishitani, and K. Kanazawa, "In Vitro Model to Estimate Gut Inflammation using Co-Cultured Caco-2 and RAW264. 7 Cells," Biochemical and Biophysical ResearchCommunications, Vol.374, No.3, pp.565-569, 2008. 

  31. A. G. Smith, J. O'Doherty, and P. Reilly, "The Effects of Laminarin Derived from Laminaria Digitata on Measurements of Gut Health," British J of Nutrition, Vol.105, No.5, pp.669-677, 2011. 

  32. S. J. Ko, Y. Bu, and J. Bae, "Protective Effect of Laminaria Japonica with Probiotics on Murine Colitis," Mediators of Inflammation, Vol.2014, pp.1-10, 2014. 

  33. M. Lahaye, "Marine Algae as Sources of Fibres: Determination of Soluble and Insoluble Dietary Fibre Contents in some 'sea Vegetables'," Journal of Science of Food and Agriculture, Vol.54, No.4, pp.587-594, 1991. 

  34. M. Miyata, T. Koyama, and T. Kamitani, "Anti-Obesity Effect on Rodents of the Traditional Japanese Food, Tororokombu, Shaved Laminaria," Bioscience, Biotechnology, and Biochemistry, Vol.73, No.10, pp.2326-2328, 2009. 

  35. A. Jimenez-Escrig and F. Sanchez-Muniz, "Dietary Fibre from Edible Seaweeds: Chemical Structur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Effects on Cholesterol Metabolism," Nutritional Research, Vol.20, No.4, pp.585-598, 2000. 

  36. E. Gomez-Ordonez, A. Jimenez-Escrig, and P. Ruperez, "Dietary Fibre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everal Edible Seaweeds from the Northwestern Spanish Coast," Food Research International, Vol.43, No.9, pp.2289-2294, 2010. 

  37. 이명숙, 이윤경, "해조류의 섭취가 비만과 식이섭취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12호, pp.478-485, 2014. 

  38. J. Y. Oh, Bioactivity of secondary metabolites and growth activity of lactic acid bacteria (LAB) under modified seaweed culture medium, MS Thesis, Jeju National University, 2014. 

  39. T. Debnath, D. H. Kim, and B. O. Lim, "Natural products as a source of anti-inflammatory agents associated with inflammatory bowel disease," Molecules, Vol.18, No.6, pp.7253-7270, 2013. 

  40. J. H. Cummings, "Short chain fatty acids in the human colon," Gut, Vol.22, No.9, pp.763-779, 1981. 

  41. D. R. Donohoe, G. Nikhil, and X. Zhang, "The Microbiome and Butyrate Regulate Energy Metabolism and Autophagy in the Mammalian Colon," Cell Metabolism, Vol.13, No.5, pp.517-526, 20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