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의 목적은 국어 매체 교육의 주요 대상으로서 통신 매체가 만들어 낸 새로운 의사소통 공간에 대한 매체적 특성과 함께 통신 언어의 개념에 대해 교육하는 방안을 제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청소년들의 올바른 통신 언어 사용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통신 언어 표현 교육의 방법을 제시하여 통신 언어의 국어 교육적 수용 방안을 찾는 것이다. 과학기술의 발달과 통신 기술의 혁신으로 가상공간이라는 새로운 의사소통 공간이 마련되었고, 그에 적합한 새로운 의사소통 방식이 창출되었다. 가상공간에서의 의사소통은 통신 매체에 문자를 입력하고 그것이 상대방에게 전달되면서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의사소통 방식의 한계를 극복하고 더욱 효율적인 의사소통을 이루기 위해서 발생한 것이 바로 통신 언어이다. 가상공간에서의 의사소통 방식이 청소년들에게도 보편화 되면서 그들의 언어생활에서 통신 언어가 차지하는 비중이 날로 높아져 가고 있다. 통신 언어가 청소년들 사이에서 무분별하게 수용되면서 기성세대와의 의사소통 단절을 야기하고, 문법의식의 약화, 어문규범의 파괴, 청소년의 품성과 인성에 악영향을 주는 것에 대해 많은 사람들이 우려의 시선을 보내기도 한다. 하지만 통신 언어의 사용이 청소년들에게 부정적인 영향만을 미치는 것은 아니다. 청소년들은 통신 언어를 사용하여 나름대로 긍정적인 의사소통의 효과를 거두고 있고, 그들 스스로 언어적 상상력과 창의성을 동원하여 새로운 통신 언어를 만들거나 변형하여 사용하면서 우리말 사용의 다양성과 언어문화의 발전에 보탬이 되기도 한다. 따라서 이제는 이러한 양면성이 존재하는 청소년들의 통신 언어 사용 현상을 국어교육에서 어떻게 수용하여 다룰 것인 지에 대한 논의가 필요한 시점이다. 이러한 문제를 파악하고 통신 언어의 국어 교육적 수용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서 우선 2장에서는 통신 언어의 개념 및 발생 동기, 교육적 가치에 대해 알아보고, 국어과 교육 과정의 분석을 통해 현재 국어교육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통신 언어의 교육 현황을 검토하고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 3장에서는 통신 언어의 특성을 매체적 특성과 언어적 특성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통신 언어는 가상공간의 익명성과 비대면성, ...
이 연구의 목적은 국어 매체 교육의 주요 대상으로서 통신 매체가 만들어 낸 새로운 의사소통 공간에 대한 매체적 특성과 함께 통신 언어의 개념에 대해 교육하는 방안을 제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청소년들의 올바른 통신 언어 사용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통신 언어 표현 교육의 방법을 제시하여 통신 언어의 국어 교육적 수용 방안을 찾는 것이다. 과학기술의 발달과 통신 기술의 혁신으로 가상공간이라는 새로운 의사소통 공간이 마련되었고, 그에 적합한 새로운 의사소통 방식이 창출되었다. 가상공간에서의 의사소통은 통신 매체에 문자를 입력하고 그것이 상대방에게 전달되면서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의사소통 방식의 한계를 극복하고 더욱 효율적인 의사소통을 이루기 위해서 발생한 것이 바로 통신 언어이다. 가상공간에서의 의사소통 방식이 청소년들에게도 보편화 되면서 그들의 언어생활에서 통신 언어가 차지하는 비중이 날로 높아져 가고 있다. 통신 언어가 청소년들 사이에서 무분별하게 수용되면서 기성세대와의 의사소통 단절을 야기하고, 문법의식의 약화, 어문규범의 파괴, 청소년의 품성과 인성에 악영향을 주는 것에 대해 많은 사람들이 우려의 시선을 보내기도 한다. 하지만 통신 언어의 사용이 청소년들에게 부정적인 영향만을 미치는 것은 아니다. 청소년들은 통신 언어를 사용하여 나름대로 긍정적인 의사소통의 효과를 거두고 있고, 그들 스스로 언어적 상상력과 창의성을 동원하여 새로운 통신 언어를 만들거나 변형하여 사용하면서 우리말 사용의 다양성과 언어문화의 발전에 보탬이 되기도 한다. 따라서 이제는 이러한 양면성이 존재하는 청소년들의 통신 언어 사용 현상을 국어교육에서 어떻게 수용하여 다룰 것인 지에 대한 논의가 필요한 시점이다. 이러한 문제를 파악하고 통신 언어의 국어 교육적 수용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서 우선 2장에서는 통신 언어의 개념 및 발생 동기, 교육적 가치에 대해 알아보고, 국어과 교육 과정의 분석을 통해 현재 국어교육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통신 언어의 교육 현황을 검토하고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 3장에서는 통신 언어의 특성을 매체적 특성과 언어적 특성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통신 언어는 가상공간의 익명성과 비대면성, 상호작용성, 저장성과 전파성, 대중성과 개방성의 특성으로 인해 만들어지고, 확산되고 소멸되는 과정을 거친다. 또한 입말, 글말과의 비교를 통해 통신 언어는 ‘입말체 글말’이라는 특성을 지닌다는 결론을 내렸으며, 통신 언어의 표현 양상을 ‘음운, 표기, 어휘, 통사’ 네 가지 측면에서 유형별로 분류하고 그 담화적 기능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4장에서는 통신 언어 지도의 실제적인 방안에 대해 연구하였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통신 언어의 이해 2) 올바른 대화방 언어 표현 교육 3) 올바른 인터넷 게시판 언어 표현 교육 본 논문에서 제시한 ‘통신 언어 지도의 실제’는 국어 교과에서 통신 언어 교육을 위한 구체적인 지도 방안을 제공해 준다는 데 의의가 있다고 할 것이다. 특히 학생 스스로 통신 언어에 대한 정체성을 정립하고 잘못된 통신 언어 사용 습관을 발견하여 그것을 교정해 나가면서 담화 상황에 맞는 통신 언어 표현 능력을 길러 주어 청소년들의 올바른 언어문화 발전에 이바지 할 것으로 기대한다. 핵심어 : 통신 언어, 국어 교육, 매체 교육, 표현 교육
이 연구의 목적은 국어 매체 교육의 주요 대상으로서 통신 매체가 만들어 낸 새로운 의사소통 공간에 대한 매체적 특성과 함께 통신 언어의 개념에 대해 교육하는 방안을 제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청소년들의 올바른 통신 언어 사용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통신 언어 표현 교육의 방법을 제시하여 통신 언어의 국어 교육적 수용 방안을 찾는 것이다. 과학기술의 발달과 통신 기술의 혁신으로 가상공간이라는 새로운 의사소통 공간이 마련되었고, 그에 적합한 새로운 의사소통 방식이 창출되었다. 가상공간에서의 의사소통은 통신 매체에 문자를 입력하고 그것이 상대방에게 전달되면서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의사소통 방식의 한계를 극복하고 더욱 효율적인 의사소통을 이루기 위해서 발생한 것이 바로 통신 언어이다. 가상공간에서의 의사소통 방식이 청소년들에게도 보편화 되면서 그들의 언어생활에서 통신 언어가 차지하는 비중이 날로 높아져 가고 있다. 통신 언어가 청소년들 사이에서 무분별하게 수용되면서 기성세대와의 의사소통 단절을 야기하고, 문법의식의 약화, 어문규범의 파괴, 청소년의 품성과 인성에 악영향을 주는 것에 대해 많은 사람들이 우려의 시선을 보내기도 한다. 하지만 통신 언어의 사용이 청소년들에게 부정적인 영향만을 미치는 것은 아니다. 청소년들은 통신 언어를 사용하여 나름대로 긍정적인 의사소통의 효과를 거두고 있고, 그들 스스로 언어적 상상력과 창의성을 동원하여 새로운 통신 언어를 만들거나 변형하여 사용하면서 우리말 사용의 다양성과 언어문화의 발전에 보탬이 되기도 한다. 따라서 이제는 이러한 양면성이 존재하는 청소년들의 통신 언어 사용 현상을 국어교육에서 어떻게 수용하여 다룰 것인 지에 대한 논의가 필요한 시점이다. 이러한 문제를 파악하고 통신 언어의 국어 교육적 수용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서 우선 2장에서는 통신 언어의 개념 및 발생 동기, 교육적 가치에 대해 알아보고, 국어과 교육 과정의 분석을 통해 현재 국어교육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통신 언어의 교육 현황을 검토하고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 3장에서는 통신 언어의 특성을 매체적 특성과 언어적 특성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통신 언어는 가상공간의 익명성과 비대면성, 상호작용성, 저장성과 전파성, 대중성과 개방성의 특성으로 인해 만들어지고, 확산되고 소멸되는 과정을 거친다. 또한 입말, 글말과의 비교를 통해 통신 언어는 ‘입말체 글말’이라는 특성을 지닌다는 결론을 내렸으며, 통신 언어의 표현 양상을 ‘음운, 표기, 어휘, 통사’ 네 가지 측면에서 유형별로 분류하고 그 담화적 기능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4장에서는 통신 언어 지도의 실제적인 방안에 대해 연구하였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통신 언어의 이해 2) 올바른 대화방 언어 표현 교육 3) 올바른 인터넷 게시판 언어 표현 교육 본 논문에서 제시한 ‘통신 언어 지도의 실제’는 국어 교과에서 통신 언어 교육을 위한 구체적인 지도 방안을 제공해 준다는 데 의의가 있다고 할 것이다. 특히 학생 스스로 통신 언어에 대한 정체성을 정립하고 잘못된 통신 언어 사용 습관을 발견하여 그것을 교정해 나가면서 담화 상황에 맞는 통신 언어 표현 능력을 길러 주어 청소년들의 올바른 언어문화 발전에 이바지 할 것으로 기대한다. 핵심어 : 통신 언어, 국어 교육, 매체 교육, 표현 교육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Korean language educational acceptance method of telecommunication language by suggesting a method of educating a concept of telecommunication language together with media features of a new communication space being created by communication media as a major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Korean language educational acceptance method of telecommunication language by suggesting a method of educating a concept of telecommunication language together with media features of a new communication space being created by communication media as a major target of Korean language media education and based on above, by suggesting a method of telecommunication language expression education for enhancing using ability of right telecommunication language of the youth. Owing to the development of scientific technology and innovation of communication technology, a new communication space such as virtual space was provided and a new communication method fit for such space was created. Communication in virtual space is achieved by transmitting text to the counterpart after entering such text in communication media and what's created in order to ensure more efficient communication by overcoming limitation of this communication method is exactly telecommunication language. As communication mode in virtual space is generalized among the youth, weight of telecommunication language in their language life is being increased day by day. As telecommunication language was indiscriminately accepted by the youth, communication severance with older generation was taken place and a lot of people are casting a worrisome eyes on weakened grammatical consciousness, destruction of language norm and adverse effect on personality of the youth. However, use of telecommunication language is not exerting just a negative effect on the youth. The youth experience their own positive effect of communication by using telecommunication language and it sometimes contributes to diversity in using our language and development of language culture while using it by creating a new telecommunication language or transforming it in a way of mobilizing linguistic imagination and creativity of their own accord. Therefore, now is the time to start discussion on how to accept and handle a phenomenon of using telecommunication language by the youth having this ambivalence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order to identify this problem and to provide Korean language educational acceptance method of telecommunication language, in chapter 2, first, concept of telecommunication language, its occurrence motive and educational value were explored and current education status of telecommunication language that is currently being performe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rough an analysis of curriculum for Korean language subject was reviewed and its improvement direction was suggested. In chapter 3, features of telecommunication language was explored by dividing it into media features and linguistic features. Telecommunication language is created based on features of anonymity, non-confrontation, interaction, storage, propagation, popularity and openness of virtual space and it passes through a process of spread and disappearance. In addition, through comparison of word-of-mouth and linguistic word, it was concluded that telecommunication language has features of 'linguistic word of word-of-mouth style' and by classifying expression pattern of telecommunication language by each type in terms of 'phoneme, writing, vocabulary, syntax', its narrative function was observed. Based on this contents, in chapter 4, practical method of telecommunication language education was researched and its contents is as follows. 1) Understanding of telecommunication language 2) Expression education of right chatting room language 3) Expression education of right internet bulletin board language Significance of 'reality of telecommunication language education' being presented in this study is that a concrete teaching method for telecommunication language education is provided in Korean language textbook. In particular, it is expected that telecommunication language education would be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right language culture of the youth by having them establish an identity for telecommunication language and cultivate expression ability of telecommunication language suitable for conversation situation while discovering and correcting wrong using habit of telecommunication language of their own accord. Keywords: telecommunication language, Korean language education, media education, expression education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Korean language educational acceptance method of telecommunication language by suggesting a method of educating a concept of telecommunication language together with media features of a new communication space being created by communication media as a major target of Korean language media education and based on above, by suggesting a method of telecommunication language expression education for enhancing using ability of right telecommunication language of the youth. Owing to the development of scientific technology and innovation of communication technology, a new communication space such as virtual space was provided and a new communication method fit for such space was created. Communication in virtual space is achieved by transmitting text to the counterpart after entering such text in communication media and what's created in order to ensure more efficient communication by overcoming limitation of this communication method is exactly telecommunication language. As communication mode in virtual space is generalized among the youth, weight of telecommunication language in their language life is being increased day by day. As telecommunication language was indiscriminately accepted by the youth, communication severance with older generation was taken place and a lot of people are casting a worrisome eyes on weakened grammatical consciousness, destruction of language norm and adverse effect on personality of the youth. However, use of telecommunication language is not exerting just a negative effect on the youth. The youth experience their own positive effect of communication by using telecommunication language and it sometimes contributes to diversity in using our language and development of language culture while using it by creating a new telecommunication language or transforming it in a way of mobilizing linguistic imagination and creativity of their own accord. Therefore, now is the time to start discussion on how to accept and handle a phenomenon of using telecommunication language by the youth having this ambivalence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order to identify this problem and to provide Korean language educational acceptance method of telecommunication language, in chapter 2, first, concept of telecommunication language, its occurrence motive and educational value were explored and current education status of telecommunication language that is currently being performe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rough an analysis of curriculum for Korean language subject was reviewed and its improvement direction was suggested. In chapter 3, features of telecommunication language was explored by dividing it into media features and linguistic features. Telecommunication language is created based on features of anonymity, non-confrontation, interaction, storage, propagation, popularity and openness of virtual space and it passes through a process of spread and disappearance. In addition, through comparison of word-of-mouth and linguistic word, it was concluded that telecommunication language has features of 'linguistic word of word-of-mouth style' and by classifying expression pattern of telecommunication language by each type in terms of 'phoneme, writing, vocabulary, syntax', its narrative function was observed. Based on this contents, in chapter 4, practical method of telecommunication language education was researched and its contents is as follows. 1) Understanding of telecommunication language 2) Expression education of right chatting room language 3) Expression education of right internet bulletin board language Significance of 'reality of telecommunication language education' being presented in this study is that a concrete teaching method for telecommunication language education is provided in Korean language textbook. In particular, it is expected that telecommunication language education would be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right language culture of the youth by having them establish an identity for telecommunication language and cultivate expression ability of telecommunication language suitable for conversation situation while discovering and correcting wrong using habit of telecommunication language of their own accord. Keywords: telecommunication language, Korean language education, media education, expression education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