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공감기반 학교폭력예방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공감능력 및 공격성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the Empathy based School Violence Prevention Program on Empathy ability and Aggression of Middle School Students원문보기
요약
공감기반 학교폭력예방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공감능력 및 공격성에 미치는 효과
본 연구는 중학생의 학교폭력 예방을 위해 중학생 수준에 맞는 공감을 기반으로 한 학교폭력예방 프로그램을 구안ㆍ적용 후 공감능력 및 폭력의 개인적 요인인 공격성과 공격성 하위영역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공감기반 학교폭력예방 프로그램은 중학생의 공감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 2. 공감기반 학교폭력예방 프로그램은 중학생의 공격성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가?
연구문제 3. 공감기반 학교폭력예방 프로그램은 공격성의 하위영역인 신체적 공격성, 간접적 공격성, 흥분성, 부정성, 언어적 공격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이와 같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C시 면소재지에 위치한 S중학교와 K중학교 1학년 17명씩 총 34명의 학생에게 공감능력 검사와 공격성 검사를 실시하여, 사전검사를 통해 공감 수준이 낮고 공격성 점수가 높은 S중학교 1학년 학급을 실험집단으로 선정하고, K중학교 1학급을 통제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사전검사를 통해 실험집단으로 선정된 S중학교 학생에게 매주 1회씩 8회기에 걸쳐 공감기반 학교폭력예방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통제집단에는 아무런 처치를 하지 않았고 평소 그대로의 수업이 유지되었다. 실험이 끝난 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대상으로 사후에 공감 검사와 공격성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검사 도구로는 공감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Davis(1980)의 ...
요약
공감기반 학교폭력예방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공감능력 및 공격성에 미치는 효과
본 연구는 중학생의 학교폭력 예방을 위해 중학생 수준에 맞는 공감을 기반으로 한 학교폭력예방 프로그램을 구안ㆍ적용 후 공감능력 및 폭력의 개인적 요인인 공격성과 공격성 하위영역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공감기반 학교폭력예방 프로그램은 중학생의 공감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 2. 공감기반 학교폭력예방 프로그램은 중학생의 공격성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가?
연구문제 3. 공감기반 학교폭력예방 프로그램은 공격성의 하위영역인 신체적 공격성, 간접적 공격성, 흥분성, 부정성, 언어적 공격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이와 같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C시 면소재지에 위치한 S중학교와 K중학교 1학년 17명씩 총 34명의 학생에게 공감능력 검사와 공격성 검사를 실시하여, 사전검사를 통해 공감 수준이 낮고 공격성 점수가 높은 S중학교 1학년 학급을 실험집단으로 선정하고, K중학교 1학급을 통제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사전검사를 통해 실험집단으로 선정된 S중학교 학생에게 매주 1회씩 8회기에 걸쳐 공감기반 학교폭력예방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통제집단에는 아무런 처치를 하지 않았고 평소 그대로의 수업이 유지되었다. 실험이 끝난 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대상으로 사후에 공감 검사와 공격성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검사 도구로는 공감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Davis(1980)의 IRI(조망하기, 상상하기, 공감적 관심)와 Bryant(1982)의 척도를 박성희(1997)가 번안하고 수정ㆍ보완한 공감능력 검사지를 사용하였고, 공격성을 측정하기 위해 Buss와 Durkee (1957)의 공격성 검사(BDHI)를 노안영(1983)이 번안하고 탁안희(2012)가 재수정한 것을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WIN 20.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집단 간 차이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자료를 기초로 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공감기반 학교폭력예방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학생들은 공감능력의 평균점수가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둘째, 공감기반 학교폭력예방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학생들은 통제집단의 학생에 비하여 공격성 전체점수가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셋째, 공감기반 학교폭력예방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학생들은 통제집단에 비해 신체적 공격성, 간접적 공격성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으나, 흥분성, 부정성, 언어적 공격성은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이상 연구 결과에서 공격성의 하위영역에 영향을 미치지 못한 원인을 살펴보면 제한된 시간에 17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한 모둠별 활동이나 학생들 간의 상호작용 시간이 충분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8회기 내에 심리적으로 위축되어 있거나 행동적 측면에서 공격성향이 두드러진 학생들에게 바람직한 행동의 습관화에 영향을 미치기에는 무리가 따른 것으로 보인다. 특히 공격성의 하위영역에서 쉽게 화를 내거나 모욕을 주는 행동의 흥분성과, 협동하기를 거부하거나 반항하는 반대 행동을 하는 부정성 그리고 상대에게 심리적, 사회적 해를 기치고자 하는 언어적 공격성은 오랜 습관으로 형성된 영역으로 개별상담이나 지속적인 관계를 통해 그 변화가 가능한 영역이라서 공격성 감소에 영향이 미치지 못한 것으로 해석된다.
이상과 같이 공감기반 학교폭력예방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공감능력 향상과 공격성 감소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검증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사용한 공감 이외의 사회적 기술, 배려, 의사소통, 갈등해결, 자기존중감, 감정조절, 학교폭력 인식 및 대처 등의 요소를 포함한 학교폭력예방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단계적, 지속적으로 교육을 실시한다면 보다 더 학생들의 공격성을 감소시킴으로 중학생들의 전인적 발달과 긍정적인 대인관계에 도움이 될 것이다.
요약
공감기반 학교폭력예방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공감능력 및 공격성에 미치는 효과
본 연구는 중학생의 학교폭력 예방을 위해 중학생 수준에 맞는 공감을 기반으로 한 학교폭력예방 프로그램을 구안ㆍ적용 후 공감능력 및 폭력의 개인적 요인인 공격성과 공격성 하위영역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공감기반 학교폭력예방 프로그램은 중학생의 공감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 2. 공감기반 학교폭력예방 프로그램은 중학생의 공격성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가?
연구문제 3. 공감기반 학교폭력예방 프로그램은 공격성의 하위영역인 신체적 공격성, 간접적 공격성, 흥분성, 부정성, 언어적 공격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이와 같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C시 면소재지에 위치한 S중학교와 K중학교 1학년 17명씩 총 34명의 학생에게 공감능력 검사와 공격성 검사를 실시하여, 사전검사를 통해 공감 수준이 낮고 공격성 점수가 높은 S중학교 1학년 학급을 실험집단으로 선정하고, K중학교 1학급을 통제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사전검사를 통해 실험집단으로 선정된 S중학교 학생에게 매주 1회씩 8회기에 걸쳐 공감기반 학교폭력예방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통제집단에는 아무런 처치를 하지 않았고 평소 그대로의 수업이 유지되었다. 실험이 끝난 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대상으로 사후에 공감 검사와 공격성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검사 도구로는 공감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Davis(1980)의 IRI(조망하기, 상상하기, 공감적 관심)와 Bryant(1982)의 척도를 박성희(1997)가 번안하고 수정ㆍ보완한 공감능력 검사지를 사용하였고, 공격성을 측정하기 위해 Buss와 Durkee (1957)의 공격성 검사(BDHI)를 노안영(1983)이 번안하고 탁안희(2012)가 재수정한 것을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WIN 20.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집단 간 차이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자료를 기초로 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공감기반 학교폭력예방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학생들은 공감능력의 평균점수가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둘째, 공감기반 학교폭력예방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학생들은 통제집단의 학생에 비하여 공격성 전체점수가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셋째, 공감기반 학교폭력예방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학생들은 통제집단에 비해 신체적 공격성, 간접적 공격성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으나, 흥분성, 부정성, 언어적 공격성은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이상 연구 결과에서 공격성의 하위영역에 영향을 미치지 못한 원인을 살펴보면 제한된 시간에 17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한 모둠별 활동이나 학생들 간의 상호작용 시간이 충분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8회기 내에 심리적으로 위축되어 있거나 행동적 측면에서 공격성향이 두드러진 학생들에게 바람직한 행동의 습관화에 영향을 미치기에는 무리가 따른 것으로 보인다. 특히 공격성의 하위영역에서 쉽게 화를 내거나 모욕을 주는 행동의 흥분성과, 협동하기를 거부하거나 반항하는 반대 행동을 하는 부정성 그리고 상대에게 심리적, 사회적 해를 기치고자 하는 언어적 공격성은 오랜 습관으로 형성된 영역으로 개별상담이나 지속적인 관계를 통해 그 변화가 가능한 영역이라서 공격성 감소에 영향이 미치지 못한 것으로 해석된다.
이상과 같이 공감기반 학교폭력예방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공감능력 향상과 공격성 감소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검증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사용한 공감 이외의 사회적 기술, 배려, 의사소통, 갈등해결, 자기존중감, 감정조절, 학교폭력 인식 및 대처 등의 요소를 포함한 학교폭력예방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단계적, 지속적으로 교육을 실시한다면 보다 더 학생들의 공격성을 감소시킴으로 중학생들의 전인적 발달과 긍정적인 대인관계에 도움이 될 것이다.
ABSTRACT
The Effect of an Empathy-Based School Violence Prevention Program on the Empathy Ability and Aggress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Lee Eun-hee
Major in Counselling Psycholog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Transportation
This study set out to devise an empathy-ba...
ABSTRACT
The Effect of an Empathy-Based School Violence Prevention Program on the Empathy Ability and Aggress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Lee Eun-hee
Major in Counselling Psycholog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Transportation
This study set out to devise an empathy-based school violence prevention program fit for middle school students and apply it to schools in order to help to prevent school violence. The study also aimed to select empathy, which receives the greatest attention as the protection factor affecting aggression characterizing school violence offenders most, and investigate whether the application of such a program would have effects on middle school students' empathy abilities and aggression, a personal factor. For those purposes, the study set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Research Question 1. What kind of effects does an empathy-based school violence prevention program have on the empathy abilities of middle school students?
Research Question 2. What kind of effects does an empathy-based school violence prevention program have on the aggress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Research Question 3. What kind of effects does an empathy-based school violence prevention program have on the subareas of aggression, namely physical aggression, indirect aggression, excitability, negativity, and verbal aggression?
In an attempt to answer those questions, the investigator administered an empathy abilities and aggression test to total 34 students from a seventh-grade class in S Middle School in a myeon town of C City and also from a seventh-grade class in K Middle School in a similar environment to S Middle School. The experiment group included 17 students from S Middle School that recorded low empathy and aggression scores in the pre-test, whereas the control group included 17 students from K Middle School. The students from S Middle School who made the experiment group according to the pre-test results participated in an empathy-based school violence prevention program consisting of total eight sessions each of which lasted 45 minutes once a week. The control group received no treatments, taking usual classes. After the experiment, both the groups took a post-test on empathy and aggression.
The test tools include the empathy abilities inventory based on IRI(outlook, imagination, and empathetic interest) by Davis(1980) and the inventory by Bryant(1982) translated, revised, and supplemented by Park Seong-hee(1997) and the Buss & Durkee Hostility Inventory(BDHI) by Buss and Durkee(1957) translated by Noh An-yeong(1983) and re-revised by Tak An-hee.
For data treatment, t-test was performed on the experiment and control group with SPSS WIN(Ver. 20.0)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empathy-based school violence prevention program on the students' empathy abilities and aggression.
Based on the collected data, the study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 middle school students of the experiment group increased their mean scores of empathy abilities more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Secondly, the experiment group that participated in the empathy-based school violence prevention program significantly decreased in mean scores of aggression than the control group.
Finally, the experiment group that participated in the empathy-based school violence prevention program mad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 in physical and indirect aggression, but they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reduction in excitability, negativity, and verbal aggression at p>.05.
The program failed to influence some of the subareas of aggression because there was no enough time for group activities and interactions among students as 17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program within a limited period of time. Since the program was provided only in eight sessions, it had a difficulty affecting the desirable behavioral habituation of the students who were psychologically withdrawn or showed an apparent aggression tendency in actions. The program especially had no impacts on the reduction of aggression in such subareas as excitability, which involves getting mad easily and insulting, negativity, which involves rejecting or resisting collaboration, and verbal aggression, which involves psychological and social harm to others because they are formed by long years of habits and can be changed only through individual counseling or ongoing relationships.
In short, the study demonstrated that the empathy-based school violence prevention program was effective for improving empathy abilities and reducing aggression. Therefore, if you implement education continuously and stepwisely by developing a school violence prevention program including such elements as social skills, consideration, communication, conflict resolution, self-esteem, emotion regulation, and perception and coping of school violence in addition to empathy, it will help the well-formed development of middle shool students and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m through the decrese in the aggression among students.
ABSTRACT
The Effect of an Empathy-Based School Violence Prevention Program on the Empathy Ability and Aggress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Lee Eun-hee
Major in Counselling Psycholog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Transportation
This study set out to devise an empathy-based school violence prevention program fit for middle school students and apply it to schools in order to help to prevent school violence. The study also aimed to select empathy, which receives the greatest attention as the protection factor affecting aggression characterizing school violence offenders most, and investigate whether the application of such a program would have effects on middle school students' empathy abilities and aggression, a personal factor. For those purposes, the study set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Research Question 1. What kind of effects does an empathy-based school violence prevention program have on the empathy abilities of middle school students?
Research Question 2. What kind of effects does an empathy-based school violence prevention program have on the aggress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Research Question 3. What kind of effects does an empathy-based school violence prevention program have on the subareas of aggression, namely physical aggression, indirect aggression, excitability, negativity, and verbal aggression?
In an attempt to answer those questions, the investigator administered an empathy abilities and aggression test to total 34 students from a seventh-grade class in S Middle School in a myeon town of C City and also from a seventh-grade class in K Middle School in a similar environment to S Middle School. The experiment group included 17 students from S Middle School that recorded low empathy and aggression scores in the pre-test, whereas the control group included 17 students from K Middle School. The students from S Middle School who made the experiment group according to the pre-test results participated in an empathy-based school violence prevention program consisting of total eight sessions each of which lasted 45 minutes once a week. The control group received no treatments, taking usual classes. After the experiment, both the groups took a post-test on empathy and aggression.
The test tools include the empathy abilities inventory based on IRI(outlook, imagination, and empathetic interest) by Davis(1980) and the inventory by Bryant(1982) translated, revised, and supplemented by Park Seong-hee(1997) and the Buss & Durkee Hostility Inventory(BDHI) by Buss and Durkee(1957) translated by Noh An-yeong(1983) and re-revised by Tak An-hee.
For data treatment, t-test was performed on the experiment and control group with SPSS WIN(Ver. 20.0)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empathy-based school violence prevention program on the students' empathy abilities and aggression.
Based on the collected data, the study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 middle school students of the experiment group increased their mean scores of empathy abilities more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Secondly, the experiment group that participated in the empathy-based school violence prevention program significantly decreased in mean scores of aggression than the control group.
Finally, the experiment group that participated in the empathy-based school violence prevention program mad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 in physical and indirect aggression, but they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reduction in excitability, negativity, and verbal aggression at p>.05.
The program failed to influence some of the subareas of aggression because there was no enough time for group activities and interactions among students as 17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program within a limited period of time. Since the program was provided only in eight sessions, it had a difficulty affecting the desirable behavioral habituation of the students who were psychologically withdrawn or showed an apparent aggression tendency in actions. The program especially had no impacts on the reduction of aggression in such subareas as excitability, which involves getting mad easily and insulting, negativity, which involves rejecting or resisting collaboration, and verbal aggression, which involves psychological and social harm to others because they are formed by long years of habits and can be changed only through individual counseling or ongoing relationships.
In short, the study demonstrated that the empathy-based school violence prevention program was effective for improving empathy abilities and reducing aggression. Therefore, if you implement education continuously and stepwisely by developing a school violence prevention program including such elements as social skills, consideration, communication, conflict resolution, self-esteem, emotion regulation, and perception and coping of school violence in addition to empathy, it will help the well-formed development of middle shool students and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m through the decrese in the aggression among students.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