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학교폭력 가해 청소년의 가해 경험에 대한 융합 연구
Bullying Experience of School Bullies on Convergence Study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0 no.2, 2019년, pp.349 - 359  

송열매 (연세대학교 간호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폭력 가해 청소년의 가해 경험에 대한 본질과 의미를 탐색하고 깊이 있게 이해하는 것이다. 자료는 심층적인 면담을 통해 수집하였고, Colaizzi의 현상학적 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학교폭력으로 인해 특별교육을 받고 있는 청소년 16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수집은 2018년 5월부터 8월까지 심층면담을 통해 이루어졌다. 분석결과는 학교폭력의 원인과 지속하게 하는 요인, 사건 이후의 경험을 중심으로 13개의 주제모음과 5개의 범주로 구조화되었다. 5개의 범주는 '타인을 공감하기 어려움', '통제되지 않는 분노행동', '미래에 대한 희망이 없음'. '폭력을 통해 이득을 얻음'. '일상이 주는 어려움'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학교폭력 가해 청소년에게 실질적인 도움과 지원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한 것에 의의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nd deeply understand the essence and meaning of the bullying experiences of school bullie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dividual interviews and analyzed using Colaizzi phenomenological analysis methodology.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16 adolesce...

주제어

표/그림 (1)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학교폭력이란 무엇인가? 학교폭력으로 인한 학생들의 자살 사건들이 이어지면서 학교폭력은 개인과 가정, 학교의 문제를 넘어 사회적으로 해결해야 할 문제로 여겨지고 있다. 학교폭력은 신체폭력뿐만 아니라, 힘의 불균형이 존재하는 관계에서 고의적으로 약한 상대를 반복해서 괴롭히는 특성을 갖는 행위를 뜻한다[1]. 그 동안 학교폭력을 예방하고 대처하기 위해서 다양한 제도 마련과 함께 처벌, 교육, 상담 프로그램 등이 논의되고 시행되어 왔으나 여전히 학교폭력 의 피해율은 3.
학교폭력 가해 청소년에게 적극적인 개입이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따라서 학교폭력 가해 청소년에게 분노 및 충동성 조절을 위한 적극적인 개입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충동적인 성향을 갖고 있지 않다고 하더라도 분노행동을 강화하는 상황적 요인 있을 수 있기 때문에, 분노를 유발 하기 쉬운 상황이나 대상에 대해 파악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분노 상황에 실질적으로 사용 할 수 있는 전략을 교육하고 충분한 연습을 통하여 자신에게 맞는 방법과 여러 상황에 맞는 다양한 방법을 찾아서 적용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학교폭력 가해 청소년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될 것이다.
공감능력의 분류와 각각의 특징은 무엇인가? 타인의 심리상태에 대한 낮은 이해는 공격적이고 폭력적인 행동을 유발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고 보고된 바 있다[20]. 공감능력은 인지적 공감과 정서적 공감 나누어지는데, 인지적 공감능력이 결핍되면 타인의 생각을 이해하고 상황을 인식하는 능력이 부족해지면서 적절한 태도를 취하지 못하게 되고, 정서적 공감능력이 결핍되면 타인을 배려하고 약자에 대한 동정심을 가지는 능력이 부족하게 되어 타인을 지배하고 학대하려는 경향을 보일 수 있다[21]. 유아기 시절에 마음이론이 충분히 발달되지 않으면 의도·사고·정서 등에 대한 추론과 공감에 영향을 미치게 되고, 이는 부모와의 애착이나 아동학대 등 가정적 요인이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2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 Coloroso. (2008). The bully, the bullied and the bystander. From pre-school to high school: How parents and educators can help break the cycle of violence. Updated ed. New York, NY: Collins Living. 

  2. The Foundation for Preventing Youth Violence. (2015). A survey of the nationwide school bullying in 2014. The Foundation for Preventing Youth Violence. 

  3. T. R. Nansel, W. Craig, M. D. Overpeck, G. Saluja & W. J. Ruan. (2004). Cross-national consisten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bullying behaviors and psychosocial adjustment. Archives of pediatrics & adolescent medicine, 158(8), 730-736. https://doi.org/10.1016/s0084-3970(08)70012-4 

  4. G. M. Glew, M. Y. Fan, W. Katon & F. P. Rivara. (2008). Bullying and school safety. The Journal of pediatrics, 152(1), 123-128. https://doi.org/10.1016/j.jpeds.2007.05.045 

  5. M. Eslea, E. Menesini, Y. Morita, M. O'Moore, J. A. Merchan, B. Pereira & P. K. Smith. (2004). Friendship and loneliness among bullies and victims: Data from seven countries. Aggressive behavior, 30(1), 71-83. https://doi.org/10.1002/ab.20006 

  6. K. Kumpulainen, E. Rasanen & K. Puura. (2001). Psychiatric disorders and the use of mental health services among children involved in bullying. Aggressive behavior, 27(2), 102-110. https://doi.org/10.1002/ab.3 

  7. K. Kumpulainen, E. Rasanen & I. Henttonen. (1999). Children involved in bullying: Psychological disturbance and the persistence of the involvement. Child abuse & neglect, 23(12), 1253-1262. https://doi.org/10.1016/s0145-2134(99)00098-8 

  8. D. Olweus. (1994). Bullying at school: Basic facts and effects of a school based intervention program.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35(7), 1171-1190. https://doi.org/10.1111/j.1469-7610.1994.tb01229.x 

  9. D. Alvarez-Garcia, T. Garcia & J. C. Nunez. (2015). Predictors of school bullying perpetration in adolescence: A systematic review. Aggression and Violent Behavior, 23, 126-136. https://doi.org/10.1016/j.avb.2015.05.007 

  10. H. Y. Kwon & H. M. Kim. (2009). The qualitative analysis on psycho-social factors of bullying adolescent at school violence. The Korean Journal of East West Science, 12(1), 1-12. 

  11. C. B. Cho. (2010). A study on the effect of family violence and parent-child interaction on adolescents' violence delinquency and the verification of the mediating effect of internet game addiction. Journal of Adolescent Welfare, 12(1), 93-121. 

  12. H. K. Shin. (2006). A study on the continual development of aggressive victims, passive victims, and bullies. Studies on Korean Youth, 17(1), 297-323. 

  13. S. G. Lee. (2005). Effects of eco-systemic factors on peer violence at middle school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hild Welfare(19), 141-170. 

  14. M. Kljakovic & C. Hunt. (2016). A meta-analysis of predictors of bullying and victimization in adolescence. Journal of adolescence, 49, 134-145. https://doi.org/10.1016/j.adolescence.2016.03.002 

  15. Y. S. Han. (2012). Study for the school bully's target-selection in school setting. Journal of Korean ciminological association, 6(1), 131-164. 

  16. M. Y. Lee & E. J. Chang (2015). A qualitative study on the context of school violence experienced by school violence perpetrators. The Korean Journal of Developmental Psychology, 28(3), 115-140. 

  17. P. F. Colaizzi. (1978). Psychological research as the phenomenologist views it. In R. Vaile & M. King (Eds.), Existential phenomenological alternatives for psychology.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8. E. G. Guba & Y. S. Lincoln (1981). Effective evaluation: Improving the usefulness of evaluation results through responsive and naturalistic approaches. San Francisco, CA: Jossey-Based. 

  19. Y. K. Lim & K. J. Oh. (2010). Comparative study of delinquent and non-delinquent adolescents with respect to thresholds for the recognition of facial expressions.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9(4), 1029-1046. https://doi.org/10.15842/kjcp.2010.29.4.007 

  20. B. H. Smith & S. Low. (2013). The role of social-emotional learning in bullying prevention efforts. Theory Into Practice, 52(4), 280-287. https://doi.org/10.1080/00405841.2013.829731 

  21. S. Kim, J. I. Kim, J. W. Choi, J. Lim & B. N. Kim. (2017). Effects of cognitive behavioral therapy-based program for the adolescent perpetrators of school violence.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56, 118-126. https://doi.org/10.4306/jknpa.2017.56.3.118 

  22. S. Shakoor, S. R. Jaffee, L. Bowes, I. Ouellet-Morin, P. Andreou, F. Happe, T. E. Moffitt & L. Arseneault. (2012). A prospective longitudinal study of children's theory of mind and adolescent involvement in bullying.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53(3), 254-261 http://dx.doi.org/10.1111/j.1469-7610.2011.02488.x. 

  23. M. T. Baker, V. B. Van Hasselt & A. H. Sellers. (2008). Validation of the novaco anger scale in an incarcerated offender population. Criminal Justice and behavior, 35(6), 741-754. https://doi.org/10.1177/0093854808316275 

  24. E. L. Feindler, S. A. Marriott & M. Iwata. (1984). Group anger control training for junior high school delinquents.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8(3), 299-311. https://doi.org/10.1007/bf01173000 

  25. M. Eisner & D. Ribeaud. (2003). Erklarung von jugendgewalt: Eeine ubersicht uber zentrale forschungsbefunde. In Kriminalitat und Gewalt im Jugendalter: Hell-und Dunkelfeldbefunde im Vergleich: Juventa. 

  26. H. J. Park, M. K. Jung & J. H. Park. (2007). Study on the validation of the supporting system for prevention and intervention of school bullying and violence. Korean Education Development Institute. 

  27. S. H. Park. (2015). Gewaltpravention an schulen mittels biographieforschung jugendlicher gewalttater. Theory and Practice of Education, 20(1), 33-57. 

  28. D. P. Farrington. (1993). Understanding and preventing bullying. Crime and justice, 17, 381-458. https://doi.org/10.1086/449217 

  29. Y. S. Kim, B. L. Leventhal, Y. J. Koh, A. Hubbard & W. T. Boyce. (2006). School bullying and youth violence: causes or consequences of psychopathologic behavior?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63(9), 1035-1041. https://doi.org/10.1001/archpsyc.63.9.1035 

  30. D. W. Foy, R. M. Eisler & S. Pinkston. (1975). Modeled assertion in a case of explosive rages. Journal of Behavior Therapy and Experimental Psychiatry, 6(2), 135-137. https://doi.org/10.1016/0005-7916(75)90038-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