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실업 유도선수가 인식하는 직・간접적 보상시스템과 이에 따른 목표설정의 방향, 훈련몰입 정도의 세부요인 간의 영향력을 검증하고, 인과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실업 유도선수의 경기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보상시스템을 탐색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으며, 이는 실업 유도팀의 효과적 운영을 위한 실증자료 제공의 의의가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국내 실업팀에 소속되어 있는 남녀 유도선수 17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의 통계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실업 유도선수의 보상인식은 성별에 따라 여자 선수보다 남자 선수가 연봉 상승과 금전적 부상, 연금 보상과 장학제도의 ...
본 연구는 실업 유도선수가 인식하는 직・간접적 보상시스템과 이에 따른 목표설정의 방향, 훈련몰입 정도의 세부요인 간의 영향력을 검증하고, 인과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실업 유도선수의 경기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보상시스템을 탐색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으며, 이는 실업 유도팀의 효과적 운영을 위한 실증자료 제공의 의의가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국내 실업팀에 소속되어 있는 남녀 유도선수 17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의 통계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실업 유도선수의 보상인식은 성별에 따라 여자 선수보다 남자 선수가 연봉 상승과 금전적 부상, 연금 보상과 장학제도의 자기통제력 인식이 높다. 연령에 따라서는 나이가 적은 집단이 30세 이상의 연령 집단보다 연봉 상승에 대한 공정성 인식이 높으며, 학력에 따라 고학력 집단이 대학 재학 이하 학력 집단보다 연봉 상승에 대한 자기통제력 인식이 높다. 운동 경력에 따라서는 10년-13년 미만의 운동 경력 집단이 10년 미만 운동 경력 집단보다 연봉 상승에 대한 자기통제력 인식이 높고, 실업선수 경력에 따라 실업선수 경력 1년 미만 집단이 7년 이상의 경력 집단보다 연봉 상승에 대한 공정성 인식이 높다. 현재 소속 팀 경력에 따라서는 연봉 상승에 대한 공정성 인식 및 자기통제력 인식, 금전적 부상과 장학제도에 대한 공정성 인식에서 차이가 있으며, 1-2년 미만의 소속 경력 집단이 4년 이상 소속 경력 집단보다 연봉 상승에 대한 공정성 인식이 높다. 연봉 수준에 따라 2천만원대의 연봉 집단이 고연봉 집단보다 장학제도에 대한 공정성 인식이 높고, 포상금 수준에 따라서는 연봉 상승에 대한 자기통제력 인식과 금전적 부상에 대한 공정성 인식에서 차이가 있으며, 고액 포상금 수혜 집단이 200만원-500만원 미만의 포상금 수혜 집단보다 연봉 상승에 대한 자기통제력 인식이 높다. 소속팀에 따라서는 보상인식에 차이가 없다. 둘째, 실업 유도선수의 성취목표지향성은 성별, 연령, 학력, 운동경력, 실업선수 경력, 현재 팀 소속경력, 현재 소속팀, 그리고 올해 연봉과 전년도 포상금 총액에 따른 집단 간 차이가 없다. 셋째, 실업 유도선수의 훈련몰입은 성별에 따라 남자 선수가 여자 선수보다 훈련 성취감, 훈련 책임감, 훈련 만족감의 훈련몰입이 높다. 학력에 따라서는 학력이 높을수록 훈련 책임감과 생활과의 연관성의 훈련몰입이 높으며, 운동 경력에 따라 13년 이상 운동 경력 집단이 10년 미만의 운동 경력 집단보다 훈련 책임감과 생활과의 연관성의 훈련몰입이 높다. 실업선수 경력에 따라서는 7년 이상의 실업선수 경력 집단이 1-3년 미만의 집단보다 생활과의 연관성에 대한 훈련몰입이 높고, 현재 팀 경력에 따라 훈련 성취감의 훈련몰입이 차이가 있으며, 연봉 수준에 따라서는 고연봉 집단이 2천만원대의 연봉 집단보다 생활과의 연관성의 훈련몰입이 높다. 포상금 수준에 따라 고액 포상금 수혜 집단이 다른 집단보다 훈련 성취감의 훈련몰입이 높고, 200만원-500만원 미만의 포상금 수혜 집단보다 생활과의 연관성 훈련몰입이 높으며, 연령, 소속팀에 따라서는 훈련몰입에 차이가 없다. 넷째, 연봉 상승, 금전적 부상(포상금), 장학제도에 대한 실업 유도선수의 보상인식이 높을수록 성취목표지향성이 높으며, 이는 연봉 상승에 대한 자기통제력 인식의 영향력이 공정성 인식 수준보다 크다. 실업 유도선수의 성취목표지향성은 훈련몰입에 높은 연관성이 있으며, 이는 자아목표지향성보다 과제목표지향성이 보다 큰 영향을 갖는다. 또한 연금 보상에 대한 인식은 성취목표지향성과 훈련몰입에 정적 영향이 있으며, 이는 연금 보상에 대한 공정성 인식보다 자기통제력 인식 수준에 큰 영향을 받는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보다 많은 연구들이 지속적으로 수행되어 국내 유도선수들의 경기력 향상을 위한 체계적인 보상제도가 확립되고, 우리나라의 전통 효자종목인 유도의 위상을 유지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본 연구는 실업 유도선수가 인식하는 직・간접적 보상시스템과 이에 따른 목표설정의 방향, 훈련몰입 정도의 세부요인 간의 영향력을 검증하고, 인과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실업 유도선수의 경기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보상시스템을 탐색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으며, 이는 실업 유도팀의 효과적 운영을 위한 실증자료 제공의 의의가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국내 실업팀에 소속되어 있는 남녀 유도선수 17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의 통계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실업 유도선수의 보상인식은 성별에 따라 여자 선수보다 남자 선수가 연봉 상승과 금전적 부상, 연금 보상과 장학제도의 자기통제력 인식이 높다. 연령에 따라서는 나이가 적은 집단이 30세 이상의 연령 집단보다 연봉 상승에 대한 공정성 인식이 높으며, 학력에 따라 고학력 집단이 대학 재학 이하 학력 집단보다 연봉 상승에 대한 자기통제력 인식이 높다. 운동 경력에 따라서는 10년-13년 미만의 운동 경력 집단이 10년 미만 운동 경력 집단보다 연봉 상승에 대한 자기통제력 인식이 높고, 실업선수 경력에 따라 실업선수 경력 1년 미만 집단이 7년 이상의 경력 집단보다 연봉 상승에 대한 공정성 인식이 높다. 현재 소속 팀 경력에 따라서는 연봉 상승에 대한 공정성 인식 및 자기통제력 인식, 금전적 부상과 장학제도에 대한 공정성 인식에서 차이가 있으며, 1-2년 미만의 소속 경력 집단이 4년 이상 소속 경력 집단보다 연봉 상승에 대한 공정성 인식이 높다. 연봉 수준에 따라 2천만원대의 연봉 집단이 고연봉 집단보다 장학제도에 대한 공정성 인식이 높고, 포상금 수준에 따라서는 연봉 상승에 대한 자기통제력 인식과 금전적 부상에 대한 공정성 인식에서 차이가 있으며, 고액 포상금 수혜 집단이 200만원-500만원 미만의 포상금 수혜 집단보다 연봉 상승에 대한 자기통제력 인식이 높다. 소속팀에 따라서는 보상인식에 차이가 없다. 둘째, 실업 유도선수의 성취목표지향성은 성별, 연령, 학력, 운동경력, 실업선수 경력, 현재 팀 소속경력, 현재 소속팀, 그리고 올해 연봉과 전년도 포상금 총액에 따른 집단 간 차이가 없다. 셋째, 실업 유도선수의 훈련몰입은 성별에 따라 남자 선수가 여자 선수보다 훈련 성취감, 훈련 책임감, 훈련 만족감의 훈련몰입이 높다. 학력에 따라서는 학력이 높을수록 훈련 책임감과 생활과의 연관성의 훈련몰입이 높으며, 운동 경력에 따라 13년 이상 운동 경력 집단이 10년 미만의 운동 경력 집단보다 훈련 책임감과 생활과의 연관성의 훈련몰입이 높다. 실업선수 경력에 따라서는 7년 이상의 실업선수 경력 집단이 1-3년 미만의 집단보다 생활과의 연관성에 대한 훈련몰입이 높고, 현재 팀 경력에 따라 훈련 성취감의 훈련몰입이 차이가 있으며, 연봉 수준에 따라서는 고연봉 집단이 2천만원대의 연봉 집단보다 생활과의 연관성의 훈련몰입이 높다. 포상금 수준에 따라 고액 포상금 수혜 집단이 다른 집단보다 훈련 성취감의 훈련몰입이 높고, 200만원-500만원 미만의 포상금 수혜 집단보다 생활과의 연관성 훈련몰입이 높으며, 연령, 소속팀에 따라서는 훈련몰입에 차이가 없다. 넷째, 연봉 상승, 금전적 부상(포상금), 장학제도에 대한 실업 유도선수의 보상인식이 높을수록 성취목표지향성이 높으며, 이는 연봉 상승에 대한 자기통제력 인식의 영향력이 공정성 인식 수준보다 크다. 실업 유도선수의 성취목표지향성은 훈련몰입에 높은 연관성이 있으며, 이는 자아목표지향성보다 과제목표지향성이 보다 큰 영향을 갖는다. 또한 연금 보상에 대한 인식은 성취목표지향성과 훈련몰입에 정적 영향이 있으며, 이는 연금 보상에 대한 공정성 인식보다 자기통제력 인식 수준에 큰 영향을 받는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보다 많은 연구들이 지속적으로 수행되어 국내 유도선수들의 경기력 향상을 위한 체계적인 보상제도가 확립되고, 우리나라의 전통 효자종목인 유도의 위상을 유지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research is to verify influence on main factor among that semi-professional judo athletes understanding direct and indirect reward-system, and the course of goal-setting and a degree of training commitment. And to investigate causal relationship. This have an object search...
The purpose of the present research is to verify influence on main factor among that semi-professional judo athletes understanding direct and indirect reward-system, and the course of goal-setting and a degree of training commitment. And to investigate causal relationship. This have an object searching the most effective reward-system maximized performance in semi-professional judo athletes, and a significance of furnishing actual data to effective administration of semi-professional judo athletes. In order to achieve this research purpose, the present research carried out a questionnaire with the target of a total 172 of men and women judo athletes belonging to the domestic semi-professional judo team, and the surveyed result was analyzed. As a result, the following conclusion was obtained. In the first, according to sex, perception on reward of semi-professional judo athletes is men athletes higher than women athletes, in case of perception of self-control of annual salary and bounty, and pension system and scholarship system. According to age, perception of justice about annual salary is persons under 30 higher than persons over. According to level of education, perception of self-control about annual salary is well-educated group higher than educated group below college. According to sports career, perception of self-control about annual salary is 10 to 13 years group higher than less 10 years group. According to semi-professional athletes career, perception of justice about annual salary is less 1 years semi-professional athletes career higher than over 7 years career group. According to the belonged career now, there is a difference in perception of justice and perception of self-control about annual salary, and perception of justice about bounty and scholarship system. And perception of justice about annual salary is below 1 to 2 years group higher than over 4 years group. According to annual salary level, perception of justice about scholarship system is annual salary group of about twenty million won higher than high annual salary group. According to bounty level, there is a difference in perception of self-control about annual salary and perception of justice about bounty. And perception of self-control about annual salary is high bounty beneficiary group higher than bounty beneficiary group of less two to five million won. Second, there is no difference in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of semi-professional judo athletes according to background parameters. Third, according to training commitment of semi-professional judo athlete, training fulfillment, training responsibility, and training satisfaction are male athlete higher than female athlete. According to level of education, the more well-educated group, the more high training responsibility and connection with life. According to sports career, training responsibility and connection with life is over 13 years group higher than less 10 years group. According to semi-professional athletes career, perception of justice about annual salary is over 7 years career group higher than less 1 years career. According to the belonged career now, there is a difference in training fulfillment. According to annual salary level, connection with life is high annual salary group higher than annual salary group of about twenty million won. According to bounty level, training fulfillment is high bounty beneficiary group higher than other group, and connection with life is high bounty beneficiary group higher than bounty beneficiary group of less two to five million won, and there is no difference in degree of training commitment in age and belonged team. At last, the more high perception on reward of semi-professional judo athletes about annual salary, bounty and scholarship system, the more high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influence of perception of self-control about annual salary is higher than perception of justice standard.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of semi-professional judo athletes is a high correlation of training commitment. And task-involving goal-oriented has a greater effect than ego-involving goal-oriented. Also perception of pension system has a static effect on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training commitment. And this has a greater effect on perception of self-control than perception of justice about pension system.
The purpose of the present research is to verify influence on main factor among that semi-professional judo athletes understanding direct and indirect reward-system, and the course of goal-setting and a degree of training commitment. And to investigate causal relationship. This have an object searching the most effective reward-system maximized performance in semi-professional judo athletes, and a significance of furnishing actual data to effective administration of semi-professional judo athletes. In order to achieve this research purpose, the present research carried out a questionnaire with the target of a total 172 of men and women judo athletes belonging to the domestic semi-professional judo team, and the surveyed result was analyzed. As a result, the following conclusion was obtained. In the first, according to sex, perception on reward of semi-professional judo athletes is men athletes higher than women athletes, in case of perception of self-control of annual salary and bounty, and pension system and scholarship system. According to age, perception of justice about annual salary is persons under 30 higher than persons over. According to level of education, perception of self-control about annual salary is well-educated group higher than educated group below college. According to sports career, perception of self-control about annual salary is 10 to 13 years group higher than less 10 years group. According to semi-professional athletes career, perception of justice about annual salary is less 1 years semi-professional athletes career higher than over 7 years career group. According to the belonged career now, there is a difference in perception of justice and perception of self-control about annual salary, and perception of justice about bounty and scholarship system. And perception of justice about annual salary is below 1 to 2 years group higher than over 4 years group. According to annual salary level, perception of justice about scholarship system is annual salary group of about twenty million won higher than high annual salary group. According to bounty level, there is a difference in perception of self-control about annual salary and perception of justice about bounty. And perception of self-control about annual salary is high bounty beneficiary group higher than bounty beneficiary group of less two to five million won. Second, there is no difference in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of semi-professional judo athletes according to background parameters. Third, according to training commitment of semi-professional judo athlete, training fulfillment, training responsibility, and training satisfaction are male athlete higher than female athlete. According to level of education, the more well-educated group, the more high training responsibility and connection with life. According to sports career, training responsibility and connection with life is over 13 years group higher than less 10 years group. According to semi-professional athletes career, perception of justice about annual salary is over 7 years career group higher than less 1 years career. According to the belonged career now, there is a difference in training fulfillment. According to annual salary level, connection with life is high annual salary group higher than annual salary group of about twenty million won. According to bounty level, training fulfillment is high bounty beneficiary group higher than other group, and connection with life is high bounty beneficiary group higher than bounty beneficiary group of less two to five million won, and there is no difference in degree of training commitment in age and belonged team. At last, the more high perception on reward of semi-professional judo athletes about annual salary, bounty and scholarship system, the more high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influence of perception of self-control about annual salary is higher than perception of justice standard.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of semi-professional judo athletes is a high correlation of training commitment. And task-involving goal-oriented has a greater effect than ego-involving goal-oriented. Also perception of pension system has a static effect on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training commitment. And this has a greater effect on perception of self-control than perception of justice about pension system.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