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남자 핸드볼 국가대표 선수들의 기능성 움직임 검사와 근신경계 기능간의 상관관계 Relationships between Functional Movement Screening and Neuromuscular Function in Male Korean National Handball Players원문보기
본 연구는 스포츠 현장에서 선수의 컨디셔닝의 수준을 평가하는 기능성 움직임 검사(Functional Movement Screening)와 등속성 근육 기능 및 균형감각과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실시되었다. 연구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남자 국가대표 핸드볼 선수들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모든 대상자는 최소 6개월 이내 근골격계 질환이 없고, 상지와 하지의 관절가동범위에 이상이 없는 선수들로 선정되었다. 핸드볼 선수들의 기능성 움직임 검사를 위해 미국의 기능성 움직임 검사(Functional Movement Screening)방법을 사용하여 7가지의 기능을 측정하였다. 관절 가동범위 측정은 ...
본 연구는 스포츠 현장에서 선수의 컨디셔닝의 수준을 평가하는 기능성 움직임 검사(Functional Movement Screening)와 등속성 근육 기능 및 균형감각과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실시되었다. 연구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남자 국가대표 핸드볼 선수들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모든 대상자는 최소 6개월 이내 근골격계 질환이 없고, 상지와 하지의 관절가동범위에 이상이 없는 선수들로 선정되었다. 핸드볼 선수들의 기능성 움직임 검사를 위해 미국의 기능성 움직임 검사(Functional Movement Screening)방법을 사용하여 7가지의 기능을 측정하였다. 관절 가동범위 측정은 고관절, 무릎, 발목에서 측정하였다. 근신경계의 기능 측정을 위해 무릎 관절에서 각각 60도 180도 240도의 속력으로 knee extension, flexion을 발목관절에서 30도 60도, 90도의 각속도로, ankle dorsiflexion, plantar flexion, inversion, eversion의 등속성 근기능 측정을 실시하였다. 균형감각 측정을 위해서는 바이오덱스 발란스장비를 이용해 발란스 인덱스(Index)와 발란스 테스트에 소요된 시간(TCT)을 측정하였다. 기능성 움직임 검사가 등속성 근기능 변인 그리고 균형감각 변인들과의 관계성을 분석하기 위해 피어슨 상관관계(Pearson Correlation)를 실시하였으며, 모든 통계적 유의 수준은 a=.05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FMS점수와 hip, knee, ankle의 flexion, extension 관절가동범위의 상관은 squat점수에서 hip flexion에 부적 상관을 보였고(r=-.502, p=.024) lunge점수에서는 knee flexion에서 중간상관을 보였다(r=.577, p-.008). 2. FMS점수와 hip, ankle의 internal rotation과 external rotation (Inversion, Eversion) 관절가동범위와의 상관은 유의하지 않았다. 3. FMS점수와 balance의 상관은 lunge점수에서 Balance_Ind(r=-.529, p=-.017), Balance_TCT(r=-.657, p=-.002)에서 모두 부적상관을 보였다. 4. FMS점수와 무릎관절 등속성 근기능과의 상관은 lunge점수에서 Flexion_60_PB(r=.452, p=.045), Flexion_180_PB(r=.491, p=.028), Flexion_ 240_PB (r=.458, p=.042), Flexion_240_WPB(r=.479, p=.033)에서 모두 중간상관을 보였다. leg raise점수에서는 Extension_60_PB(r=.455, p=.044), Extension_180_WPB(r=.463, p=.040), Flexion_240_PB(r=.509, p=.022)에서 모두 중간상관을 보였다. rotary점수에서는 Extension_60_WPB(r=.503, p=.024), Extension_180_PB(r=.659, p=.002) Extension_180_WPB(r=.667, p=.001), Extension_240_PB(r=.631, p=.003), Extension_240_WPB(r=.727, p=.000)에서 모두 상관을 보였다. final 점수에서 Extension_180_PB(r=.493, p=.0027), Extension_180_WPB(r=.552, p=.012), Extension_240_PB(r=.496, p=.026), Extension_240_WPB(t=.532, p=.016), Flexion_240_PB(r=.474, p=.035)에서 모두 상관을 보였다. 5. FMS점수와 무릎 기능성 등속성 근기능과의 상관은 lunge점수에서 Flexion E_240_PB(r=.444, p=.050)는 중간상관을 보였다. shoulder점수에서 Extension C_60_PB(r=.451, p=.046), Extension C_60_WKB(r=.457, p=.043), Flexion E_60_WKB(r=.449, p=.047)는 중간상관을 보였다. leg raise점수는 Extension C_60_PB(r=.481, p=.032)에서 중간상관을 보였다. 6. FMS점수와 발목 inversion, eversion 등속성 근기능과의 상관은 lunge점수에서 Eversion_30_PB(r=.449, p=.047)는 중간상관을 보였다. 7. FMS점수와 발목 dorsiflexion, plantar flexion 등속성 근기능과의 상관관계를 나타낸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 FMS점수와 관절가동범위와의 관계는 squat와 inline lunge기능이 고관절의 굴곡가동범위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관절의 굴곡이 높을수록 스콰트의 기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무릎의 굴곡이 많을수록 inline lunge의 기능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균형감각기능과의 관계에서는 inline lunge의 기능이 좋은 선수들이 균형감각기능의 변인들(Index와 TCT)에서 더 좋은 점수를 보여준 것으로 나타났다. FMS와 무릎 등속성 근기능과의 관계에서는 무릎 굴곡기능이 높은 선수들이 inline lunge기능이 높은 양상으로 나타났고 무릎의 굴곡과 신전 근기능이 높은 선수들이 leg raise에서도 높은 점수를 나타내는 양상을 보여주었다. rotary stability기능은 무릎의 신전 근기능과 아주 밀접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FMS 종합점수는 특히 무릎 신전 근기능과 아주 밀접한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릎의 기능적인(Functional) 등속성 근 기능과의 관계에서는 무릎의 신장성 굴곡 근기능이 inline lunge와 중간정도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무릎의 단축성 수축 근기능이 leg raise와 중간정도의 상관관계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발목의 등속성 근기능과의 관계에서는 dorsiflexion, plantar flexion, inversion, eversion에서 모두 유의한 관계는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기능성 움직임 검사(Functional Movement Screening)가 운동수행능력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나타내는 것과 관련하여 앞으로 체력훈련 현장의 전문가들에게 유익한 자료로 사용되어 질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스포츠 현장에서 선수의 컨디셔닝의 수준을 평가하는 기능성 움직임 검사(Functional Movement Screening)와 등속성 근육 기능 및 균형감각과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실시되었다. 연구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남자 국가대표 핸드볼 선수들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모든 대상자는 최소 6개월 이내 근골격계 질환이 없고, 상지와 하지의 관절가동범위에 이상이 없는 선수들로 선정되었다. 핸드볼 선수들의 기능성 움직임 검사를 위해 미국의 기능성 움직임 검사(Functional Movement Screening)방법을 사용하여 7가지의 기능을 측정하였다. 관절 가동범위 측정은 고관절, 무릎, 발목에서 측정하였다. 근신경계의 기능 측정을 위해 무릎 관절에서 각각 60도 180도 240도의 속력으로 knee extension, flexion을 발목관절에서 30도 60도, 90도의 각속도로, ankle dorsiflexion, plantar flexion, inversion, eversion의 등속성 근기능 측정을 실시하였다. 균형감각 측정을 위해서는 바이오덱스 발란스장비를 이용해 발란스 인덱스(Index)와 발란스 테스트에 소요된 시간(TCT)을 측정하였다. 기능성 움직임 검사가 등속성 근기능 변인 그리고 균형감각 변인들과의 관계성을 분석하기 위해 피어슨 상관관계(Pearson Correlation)를 실시하였으며, 모든 통계적 유의 수준은 a=.05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FMS점수와 hip, knee, ankle의 flexion, extension 관절가동범위의 상관은 squat점수에서 hip flexion에 부적 상관을 보였고(r=-.502, p=.024) lunge점수에서는 knee flexion에서 중간상관을 보였다(r=.577, p-.008). 2. FMS점수와 hip, ankle의 internal rotation과 external rotation (Inversion, Eversion) 관절가동범위와의 상관은 유의하지 않았다. 3. FMS점수와 balance의 상관은 lunge점수에서 Balance_Ind(r=-.529, p=-.017), Balance_TCT(r=-.657, p=-.002)에서 모두 부적상관을 보였다. 4. FMS점수와 무릎관절 등속성 근기능과의 상관은 lunge점수에서 Flexion_60_PB(r=.452, p=.045), Flexion_180_PB(r=.491, p=.028), Flexion_ 240_PB (r=.458, p=.042), Flexion_240_WPB(r=.479, p=.033)에서 모두 중간상관을 보였다. leg raise점수에서는 Extension_60_PB(r=.455, p=.044), Extension_180_WPB(r=.463, p=.040), Flexion_240_PB(r=.509, p=.022)에서 모두 중간상관을 보였다. rotary점수에서는 Extension_60_WPB(r=.503, p=.024), Extension_180_PB(r=.659, p=.002) Extension_180_WPB(r=.667, p=.001), Extension_240_PB(r=.631, p=.003), Extension_240_WPB(r=.727, p=.000)에서 모두 상관을 보였다. final 점수에서 Extension_180_PB(r=.493, p=.0027), Extension_180_WPB(r=.552, p=.012), Extension_240_PB(r=.496, p=.026), Extension_240_WPB(t=.532, p=.016), Flexion_240_PB(r=.474, p=.035)에서 모두 상관을 보였다. 5. FMS점수와 무릎 기능성 등속성 근기능과의 상관은 lunge점수에서 Flexion E_240_PB(r=.444, p=.050)는 중간상관을 보였다. shoulder점수에서 Extension C_60_PB(r=.451, p=.046), Extension C_60_WKB(r=.457, p=.043), Flexion E_60_WKB(r=.449, p=.047)는 중간상관을 보였다. leg raise점수는 Extension C_60_PB(r=.481, p=.032)에서 중간상관을 보였다. 6. FMS점수와 발목 inversion, eversion 등속성 근기능과의 상관은 lunge점수에서 Eversion_30_PB(r=.449, p=.047)는 중간상관을 보였다. 7. FMS점수와 발목 dorsiflexion, plantar flexion 등속성 근기능과의 상관관계를 나타낸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 FMS점수와 관절가동범위와의 관계는 squat와 inline lunge기능이 고관절의 굴곡가동범위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관절의 굴곡이 높을수록 스콰트의 기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무릎의 굴곡이 많을수록 inline lunge의 기능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균형감각기능과의 관계에서는 inline lunge의 기능이 좋은 선수들이 균형감각기능의 변인들(Index와 TCT)에서 더 좋은 점수를 보여준 것으로 나타났다. FMS와 무릎 등속성 근기능과의 관계에서는 무릎 굴곡기능이 높은 선수들이 inline lunge기능이 높은 양상으로 나타났고 무릎의 굴곡과 신전 근기능이 높은 선수들이 leg raise에서도 높은 점수를 나타내는 양상을 보여주었다. rotary stability기능은 무릎의 신전 근기능과 아주 밀접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FMS 종합점수는 특히 무릎 신전 근기능과 아주 밀접한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릎의 기능적인(Functional) 등속성 근 기능과의 관계에서는 무릎의 신장성 굴곡 근기능이 inline lunge와 중간정도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무릎의 단축성 수축 근기능이 leg raise와 중간정도의 상관관계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발목의 등속성 근기능과의 관계에서는 dorsiflexion, plantar flexion, inversion, eversion에서 모두 유의한 관계는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기능성 움직임 검사(Functional Movement Screening)가 운동수행능력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나타내는 것과 관련하여 앞으로 체력훈련 현장의 전문가들에게 유익한 자료로 사용되어 질 것으로 사료된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