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의 통합성, 소진, 삶의 질 간의 관계와 간호사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간호사의 삶의 질 뿐 아니라 궁극적으로 간호의 질 향상을 위한 간호사의 소진 완화 및 통합성 증진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서술적 조사연구로 연구의 대상자는 서울특별시 소재의 2개 종합병원과 대전광역시 소재의 1개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 200명을 편의 추출 하여 자가 보고형 설문지를 이용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기간은 2013년 9월 25일부터 10월 4일까지였다. 소진은 Pines, Aronson와 Kafry가 개발하고 픽은희22)가 번역하여 수정. 보완한 도구, 통합성은 Antonovsky가 개발하고 서임선이 번역한 도구, 삶의 질은 노유자가 개발한 도구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8.0으로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빈도와 백분율, 측정도구의 신뢰도는 ...
본 연구는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의 통합성, 소진, 삶의 질 간의 관계와 간호사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간호사의 삶의 질 뿐 아니라 궁극적으로 간호의 질 향상을 위한 간호사의 소진 완화 및 통합성 증진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서술적 조사연구로 연구의 대상자는 서울특별시 소재의 2개 종합병원과 대전광역시 소재의 1개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 200명을 편의 추출 하여 자가 보고형 설문지를 이용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기간은 2013년 9월 25일부터 10월 4일까지였다. 소진은 Pines, Aronson와 Kafry가 개발하고 픽은희22)가 번역하여 수정. 보완한 도구, 통합성은 Antonovsky가 개발하고 서임선이 번역한 도구, 삶의 질은 노유자가 개발한 도구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8.0으로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빈도와 백분율, 측정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s alpha 값을 구하였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소진, 통합성과 삶의 질의 차이 는 정규성을 만족할 경우 T-test와 ANOVA, 정규성을 만족하지 않을 경우 Mann-Whitney와 Kruskal-Wallis로 분석 후 Scheffe test로 사후검정을 실시하였다. 소진, 통합성, 삶의 질 간의 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cient로 분석하고,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일반적 특성에서 인구 사회학적 특성으로 평균 연령은 29.02±6.47세로 25세 미만이 34.5%. 종교는 있다가 51%. 대졸이 47%, 미혼이 73%, 동거가족이 있는 경우 70.5%, 가족의 월수입은 400만원이상이 50%, 주관적 건강상태는 보통이다가 48%로 가장 많았다. 직무관련 특성으로 병동근무자가 68%, 현재 근무하고 있는 부서의 평균 경력은 2.83±1.26년으로 1년 이상 3년 미만 32.5%, 총 근무 경력 평균 은 3.34±1.31년으로 10년 이상이 28.5%, 교대 근무자가90%, 월 평균 밤 근무 일수는 평균 5.47±2.92일로 1일 이상 6일미만이 52.1%, 직무 만족도는 보통이다 52.2%로 가장 많았다. 2) 연구 대상자의 소진 문항평균은 2.9/5.0점으로 나타났고, 통합성은 문항평균 4.2/7.0점(총점 평균 122.7/203점)이며, 하위 영역별 문항평균은 관리력 4.4/7.0점, 의미부여 4.2/7.0점, 이해력 4.1/7.0점으로 나타났다. 삶의 질은 문항평균 2.93/5.0점으로 나타났다. 3)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검증한 결과, 소진은 연령(F=4.40, p<.05), 결혼 상태(t=2.05, p<.05), 주관적 건강 상태(F=16.93, p<.01), 총 근무경력(F=2.60, p<.05), 직무 만족도(F=15.93, p<.01)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합성은 학력(F=3.22, p<.05), 결혼상태(t=3.02, p<.05), 직무 만족도(x²=6.32, p<.05)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삶의 질은 연령(F=6.77, p<.01), 학력(x²=6.15, p<.05), 결혼 상태(t=6.23, p<.01), 동거가족(Z=-4.21, p<.01), 가족의 월수입(F=12.13, p<.01), 주관적 건강상태(F=10.12, p<.01), 현 부서 경력(F=2.70, p<.05), 총 근무 경력(F=4.80, p<.01) 밤 근무 일수(t=3.97, p<.01), 직무 만족도(F=8.96, p<.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연구 대상자의 소진, 통합성, 삶의 질 간의 관계는 소진과 삶의 질 간의 상관관계는 역 상관관계로 나타났다(r=-.16, p<.05). 통합성과 삶의 질 간의 상관관계는 순 상관관계로 나타났다(r=.44, p<.01). 통합성의 하위영역과 삶의 질 간의 상관관계는 이해력(r=.44, p<.01), 관리능력(r=.28, p<.01), 의미부여(r=.50, p<.01)는 순 상관관계를 나타났다. 소진과 통합성간의 상관관계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고(r=-.06, p>.05) 소진과 통합성의 하위영인 의미부여(r=-.24, p<.05)는 역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5) 연구 대상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요인은 의미부여(β=.34, p<.001), 주관적으로 건강한 상태(β=.24, p=.007), 주관적으로 보통의 건강상태(β=.18, p=.025) 밤 근무 일수(β=-.16, p=.021), 가족의 월수입(β=.15, p=.031), 이해성 (β=.15, p=.047), 동거가족(β=-.15 p=.022)의 순으로 나타났다. 통합성의 간호사의 삶의 질의 총 설명력은 40%(F=7.48, p=<.001)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종합병원 간호사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요인으로 개인의 성격유형 요인인 의미부여와 이해력, 건강관련 요인인 주관적 건강상태, 직무 관련요인인 밤 근무일수, 인구 사회학적 요인인 가족의 월수입, 동거가족등 다양한 요인이 삶의 질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종합병원 간호사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의미부여와 이해력등의 통합성 증진 전략과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을 제안한다.
본 연구는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의 통합성, 소진, 삶의 질 간의 관계와 간호사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간호사의 삶의 질 뿐 아니라 궁극적으로 간호의 질 향상을 위한 간호사의 소진 완화 및 통합성 증진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서술적 조사연구로 연구의 대상자는 서울특별시 소재의 2개 종합병원과 대전광역시 소재의 1개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 200명을 편의 추출 하여 자가 보고형 설문지를 이용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기간은 2013년 9월 25일부터 10월 4일까지였다. 소진은 Pines, Aronson와 Kafry가 개발하고 픽은희22)가 번역하여 수정. 보완한 도구, 통합성은 Antonovsky가 개발하고 서임선이 번역한 도구, 삶의 질은 노유자가 개발한 도구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8.0으로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빈도와 백분율, 측정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s alpha 값을 구하였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소진, 통합성과 삶의 질의 차이 는 정규성을 만족할 경우 T-test와 ANOVA, 정규성을 만족하지 않을 경우 Mann-Whitney와 Kruskal-Wallis로 분석 후 Scheffe test로 사후검정을 실시하였다. 소진, 통합성, 삶의 질 간의 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cient로 분석하고,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일반적 특성에서 인구 사회학적 특성으로 평균 연령은 29.02±6.47세로 25세 미만이 34.5%. 종교는 있다가 51%. 대졸이 47%, 미혼이 73%, 동거가족이 있는 경우 70.5%, 가족의 월수입은 400만원이상이 50%, 주관적 건강상태는 보통이다가 48%로 가장 많았다. 직무관련 특성으로 병동근무자가 68%, 현재 근무하고 있는 부서의 평균 경력은 2.83±1.26년으로 1년 이상 3년 미만 32.5%, 총 근무 경력 평균 은 3.34±1.31년으로 10년 이상이 28.5%, 교대 근무자가90%, 월 평균 밤 근무 일수는 평균 5.47±2.92일로 1일 이상 6일미만이 52.1%, 직무 만족도는 보통이다 52.2%로 가장 많았다. 2) 연구 대상자의 소진 문항평균은 2.9/5.0점으로 나타났고, 통합성은 문항평균 4.2/7.0점(총점 평균 122.7/203점)이며, 하위 영역별 문항평균은 관리력 4.4/7.0점, 의미부여 4.2/7.0점, 이해력 4.1/7.0점으로 나타났다. 삶의 질은 문항평균 2.93/5.0점으로 나타났다. 3)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검증한 결과, 소진은 연령(F=4.40, p<.05), 결혼 상태(t=2.05, p<.05), 주관적 건강 상태(F=16.93, p<.01), 총 근무경력(F=2.60, p<.05), 직무 만족도(F=15.93, p<.01)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합성은 학력(F=3.22, p<.05), 결혼상태(t=3.02, p<.05), 직무 만족도(x²=6.32, p<.05)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삶의 질은 연령(F=6.77, p<.01), 학력(x²=6.15, p<.05), 결혼 상태(t=6.23, p<.01), 동거가족(Z=-4.21, p<.01), 가족의 월수입(F=12.13, p<.01), 주관적 건강상태(F=10.12, p<.01), 현 부서 경력(F=2.70, p<.05), 총 근무 경력(F=4.80, p<.01) 밤 근무 일수(t=3.97, p<.01), 직무 만족도(F=8.96, p<.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연구 대상자의 소진, 통합성, 삶의 질 간의 관계는 소진과 삶의 질 간의 상관관계는 역 상관관계로 나타났다(r=-.16, p<.05). 통합성과 삶의 질 간의 상관관계는 순 상관관계로 나타났다(r=.44, p<.01). 통합성의 하위영역과 삶의 질 간의 상관관계는 이해력(r=.44, p<.01), 관리능력(r=.28, p<.01), 의미부여(r=.50, p<.01)는 순 상관관계를 나타났다. 소진과 통합성간의 상관관계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고(r=-.06, p>.05) 소진과 통합성의 하위영인 의미부여(r=-.24, p<.05)는 역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5) 연구 대상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요인은 의미부여(β=.34, p<.001), 주관적으로 건강한 상태(β=.24, p=.007), 주관적으로 보통의 건강상태(β=.18, p=.025) 밤 근무 일수(β=-.16, p=.021), 가족의 월수입(β=.15, p=.031), 이해성 (β=.15, p=.047), 동거가족(β=-.15 p=.022)의 순으로 나타났다. 통합성의 간호사의 삶의 질의 총 설명력은 40%(F=7.48, p=<.001)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종합병원 간호사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요인으로 개인의 성격유형 요인인 의미부여와 이해력, 건강관련 요인인 주관적 건강상태, 직무 관련요인인 밤 근무일수, 인구 사회학적 요인인 가족의 월수입, 동거가족등 다양한 요인이 삶의 질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종합병원 간호사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의미부여와 이해력등의 통합성 증진 전략과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을 제안한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