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국 혁명과정에서 공산당-대중 개조체계의 형성과 변화 원문보기


김판수 (중앙대학교 대학원 사회학과 사회학전공 국내박사)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논문은 당-대중 개조체계의 형성과 변화를 통해 공산당이 중국 혁명 과정에서 어떻게 대중을 정치적 주체로 변화시킴으로써 권력을 확장하고 공고화하려 했는지 분석한다. 중국 혁명 과정에서 공산당은 대중의 자율적 정치에 의존하여 관료주의를 극복하려 했고, 관리할 수 있는 역량 내에서 계속적으로 대중 정치를 급진화했으며, 이를 통해서만 혁명적 ʻ정신ʼ을 견지하며 새로운 국가 건설을 주도할 수 있다고 믿었다. 중국 혁명 경험을 통해 우리는 대중 정치를 배제하고 억압함으로써만 지배 권력을 유지하려는 권위주의적 통치 프레임의 한계를 비판할 수 있고, 또 새로운 국가를 만들기 위한 아래로부터의 실천적 대안들을 모색할 수 있다.
이 논문은 중국 혁명 과정에서 대중을 정치적으로 대상화하는 두 가지 시각인 대중 동원 접근과 대중노선 접근의 문제점들을 비판한다. 전자는 대중을 계몽되어야만 하는 대상 및 권력 확장을 위한 도구로 규정했고, 후자는 공산당이 동원 효과를 제고하기 위해 대중 정치를 대상화하는 정치적 기술에 한정했다. 또 이러한 시각들은 1949년 혁명 성공 이후 중국 사회주의 시기의 대중 정치를 해석하는 데 많은 한계를 드러낸다. 한 쪽에서는 공산당이 혁명 과정에서 권력을 독점했기에 사회주의 시기 대중을 손쉽게 도구화할 수 있었다고 주장하는 반면, 다른 쪽에서는 1949년 이후의 정치사회적 모순과 사회주의적 경험을 중심으로 대중의 자율적 정치와 아래로부터의 변혁 흐름을 강조한다. 그러므로 중국 혁명 과정에서 대중을 정치적으로 대상화하는 문제 및 사회주의 시기 대중 정치에 대한 해석의 모순을 해소하기 위해, 우리는 혁명 과정에서의 당과 대중 간의 정치사회적 관계에 대해 새로운 시각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
혁명 과정에서 공산당 지도자들은 당·간부·대중의 자율성과 혁명성을 제고하는 것을 ʻ개조ʼ라고 규정했다. 공산당은 주로 개인의 도덕·태도·사상 등 정신적 요소를 혁명적으로 변화시키기 위해 다음과 같이 세 가지 형태의 조직적·제도적 층위의 ʻ개조 실천ʼ을 강조했다. 첫째, 전통적인 정치사회적 관계를 변혁하는 것, 둘째, 간부와 대중을 대상화하지 않는 것, 셋째, 당·간부·대중 관계의 일방적 위계화를 지양하는 것이다. 모든 정치집단이 그렇듯 공산당도 전쟁과 내전 상황에서 합리적인 조직과 제도를 만들기 위해 노력했지만, 그 방식은 당·간부·대중 각각의 ʻ자기개조ʼ라는 독특한 방식으로 전개되었다. 공산당은 수차례의 시행착오 끝에 대중의 자기개조에 의존함으로써 조직적·제도적 층위의 개조 실천을 성공적으로 관리할 수 있었고, 이 과정에서 ʻ당-대중 개조체계ʼ가 형성되었다.
중국 혁명 과정에서 당-대중 개조체계의 형성 및 변화 분석은 다음과 같다.
첫째, 1919년 5·4운동 이후 개조론은 아래로부터의 새로운 국가 만들기 담론으로 등장했지만, 이후 코민테른 등 외재적 요인으로 인해 당 중심의 개조기제가 구성되었다.
i) 중국에서 근대적 개조 개념의 사용은 1919년 5·4운동 시기까지 지연되었다. 1919년 5·4운동 이후 많은 중국 지식인들은 러시아 혁명처럼 아래로부터 변혁을 통해 근대국가를 건설할 수 있다고 확신했고, 이 때문에 개조론은 점차 대중 정치를 중요시했던 공산당의 정치 담론으로 수렴되었다. ii) 공산당의 초기 개조론은 대중 정치를 통한 급진적 사회 변혁을 주장하는 것이었지만, 1924년 국공합작 이후 조직 중심의 혁명 담론에 의해 억제되었다. 이는 ...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plores how the Chinese Communist Party(CCP) expanded and consolidated its power by changing the mass into political agency through formation and change of gaizao system. By analysing gaizao system, we can criticize an authoritarian frame, which results in maintaining dominant power only...

학위논문 정보

저자 김판수
학위수여기관 중앙대학교 대학원
학위구분 국내박사
학과 사회학과 사회학전공
지도교수 백승욱
발행연도 2014
총페이지 iii, 205 p.
언어 kor
원문 URL http://www.riss.kr/link?id=T13545658&outLink=K
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