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광은 기본적으로 정보집약적 산업이며 오늘날 관광에서 관광정보는 필수불가결하고 중요한 요소이다. 이제 정보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잠재관광객은 원하는 관광지를 직접 방문하지 않고도 스마트폰 관광정보가 매개하는 간접경험을 통해 관광지에 대한 경험가치를 인식할 수 있으며, 해당 관광지에 대한 이미지와 관광정보에 대한 사용의도를 형성함으로써 관광지 방문에 대한 의사결정을 할 수 있게 되었다. 지금까지 선행연구는 주로 정보사용자의 새로운 정보기술 수용의 관점에서 이루어졌으며 정보소비자로서 관광객의 입장에서 정보의 활용을 연구한 사례는 거의 없었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스마트폰 관광정보 특성, 관광정보의 경험가치와 관광지 이미지, 관광정보 사용의도, 관광지 방문의도 간의 구조적 영향관계를 새로운 관점에서 조명하였다. 본 연구는 정보사용자가 스마트폰 관광정보를 통해 간접적으로 경험하는 가치 즉 스마트폰에 의해 매개되는 관광정보 경험가치에 주목하여, 경험가치라는 새로운 구성개념을 도입하고 이와 같은 가치를 인식하는 주체로서 잠재관광객의 정보매체를 통한 관광지에 대한 이미지 형성과 관광정보에 대한 사용의도, 관광지 방문의도를 형성하는 일련의 과정을 자극-유기체-반응(...
관광은 기본적으로 정보집약적 산업이며 오늘날 관광에서 관광정보는 필수불가결하고 중요한 요소이다. 이제 정보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잠재관광객은 원하는 관광지를 직접 방문하지 않고도 스마트폰 관광정보가 매개하는 간접경험을 통해 관광지에 대한 경험가치를 인식할 수 있으며, 해당 관광지에 대한 이미지와 관광정보에 대한 사용의도를 형성함으로써 관광지 방문에 대한 의사결정을 할 수 있게 되었다. 지금까지 선행연구는 주로 정보사용자의 새로운 정보기술 수용의 관점에서 이루어졌으며 정보소비자로서 관광객의 입장에서 정보의 활용을 연구한 사례는 거의 없었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스마트폰 관광정보 특성, 관광정보의 경험가치와 관광지 이미지, 관광정보 사용의도, 관광지 방문의도 간의 구조적 영향관계를 새로운 관점에서 조명하였다. 본 연구는 정보사용자가 스마트폰 관광정보를 통해 간접적으로 경험하는 가치 즉 스마트폰에 의해 매개되는 관광정보 경험가치에 주목하여, 경험가치라는 새로운 구성개념을 도입하고 이와 같은 가치를 인식하는 주체로서 잠재관광객의 정보매체를 통한 관광지에 대한 이미지 형성과 관광정보에 대한 사용의도, 관광지 방문의도를 형성하는 일련의 과정을 자극-유기체-반응(SOR) 모형을 기초로 개념화하고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온라인 경험가치와 오프라인 관광지 방문의도에 대한 영향관계를 연구모형을 통해 새롭게 통합하고 분석하였으며 스마트폰 관광정보의 특성을 선행연구를 토대로 새롭게 정리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주요 시사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스마트폰 관광정보의 특성으로 제시한 3개 특성 즉, 편재접속성, 상호작용성, 상황인식성이 각각 정보사용자의 경험가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실증적으로 확인하였다. 따라서 온라인 관광정보를 관리하는 관광마케터 혹은 실무자는 스마트폰 관광정보 특성을 감안하여 사용자의 경험가치를 최적화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우선 스마트폰 관광정보 사용자가 언제 어디서나 필요한 정보에 신속하게 접속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편재접속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또한 상호작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정보사용자가 정보제공자 혹은 정보를 이용하는 또 다른 사용자와 편리하고 신속하게 의견을 교환할 수 있도록 정보서비스를 기획하고 관리해야 한다. 특히, 스마트폰 관광정보 특성 중에 영향력이 가장 큰 상황인식성 개선을 위해 상황인식기반 정보서비스의 효율성과 잠재성을 새롭게 인식하고 서비스 활성화를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둘째, 스마트폰 관광정보의 경험가치는 교육적 경험가치, 심미적 경험가치, 일상탈출 경험가치로 나누어 볼 수 있으며 스마트폰 관광정보의 경험가치가 해당 관광지 이미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관광지 이미지 개선을 위해 관광정보 제공자는 마케팅활동에 스마트폰 관광정보 사용자의 경험가치가 최적화 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스마트폰을 통해 잠재관광객이 경험할 수 있는 가치의 다양한 차원을 고려하여 교육적 경험가치, 심미적 경험가치, 일상탈출 경험가치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즉, 스마트폰 관광정보를 제공하는 ‘스마트폰 앱’이나, ‘스마트폰 웹’을 통해 사용자가 경험하는 다양한 가치를 상세히 분석하고 해당 관광지의 특성과 매력에 대한 잠재력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관련 정보에 대한 최적의 관리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셋째, 스마트폰 관광정보의 경험가치가 관광정보 사용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정보사용자의 관광정보에 대한 사용의도를 고취하기 위해서는 경험가치를 구성하는 세 가지 요인(교육적, 심미적, 일상탈출)을 감안하여 정보사용자의 사용의도를 효과적으로 제고시키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넷째, 스마트폰 관광정보의 경험가치가 방문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특정 관광지에 대한 관광객유치를 증진하기 위해서는 오프라인 마케팅 노력뿐만 아니라 온라인 마케팅 노력도 전개하여 스마트폰 관광정보에 의해 매개되는 정보사용자의 경험가치를 향상시켜야 할 것이다. 다섯째, 스마트폰 관광정보에 대한 사용자의 경험을 통해 형성된 관광지 이미지가 방문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제까지 관광지에 대한 이미지가 방문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스마트폰에 의한 간접경험을 통해 형성된 관광지 이미지로 확장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한 연구는 전례가 없으며 본 연구를 통해 새롭게 확인된 것이다. 따라서 온라인 마케팅 담당자는 마케팅전략 수립 단계에서부터 스마트폰 관광정보를 통해 관광지 이미지가 영향을 받는다는 사실을 인식하고 체계적인 정보콘텐츠 및 디자인 관리를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해야 할 것이다. 여섯째, 스마트폰 관광정보 사용의도가 관광지 이미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관광마케터의 관광지 이미지 개선 노력에는 다양한 오프라인 관광지 마케팅활동에 추가하여 체계적인 정보의 구성과 효율적인 관리를 통해 정보사용자의 사용의도를 촉진하기 위한 온라인 정보관리 및 마케팅활동을 전개해야 할 것이다. 끝으로 본 연구를 통해 스마트폰 관광정보의 사용의도가 해당 관광지에 대한 방문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잠재관광객의 관광지 방문의도를 촉진하기 위해 전개하는 마케팅활동은 오프라인에만 집중할 것이 아니라 온라인을 통한 고품질 정보제공으로 관광객의 관광지 방문의도를 자극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매력적인 스마트폰 관광정보를 꾸준히 개발, 확충하고 체계적으로 관리하면 보다 많은 관광객을 희망하는 관광지로 유치할 수 있으므로 관광마케터는 정보사용자의 사용의도를 제고시키기 위한 온라인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고 이에 따라 구체적인 마케팅 노력을 전개해야 할 것이다.
관광은 기본적으로 정보집약적 산업이며 오늘날 관광에서 관광정보는 필수불가결하고 중요한 요소이다. 이제 정보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잠재관광객은 원하는 관광지를 직접 방문하지 않고도 스마트폰 관광정보가 매개하는 간접경험을 통해 관광지에 대한 경험가치를 인식할 수 있으며, 해당 관광지에 대한 이미지와 관광정보에 대한 사용의도를 형성함으로써 관광지 방문에 대한 의사결정을 할 수 있게 되었다. 지금까지 선행연구는 주로 정보사용자의 새로운 정보기술 수용의 관점에서 이루어졌으며 정보소비자로서 관광객의 입장에서 정보의 활용을 연구한 사례는 거의 없었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스마트폰 관광정보 특성, 관광정보의 경험가치와 관광지 이미지, 관광정보 사용의도, 관광지 방문의도 간의 구조적 영향관계를 새로운 관점에서 조명하였다. 본 연구는 정보사용자가 스마트폰 관광정보를 통해 간접적으로 경험하는 가치 즉 스마트폰에 의해 매개되는 관광정보 경험가치에 주목하여, 경험가치라는 새로운 구성개념을 도입하고 이와 같은 가치를 인식하는 주체로서 잠재관광객의 정보매체를 통한 관광지에 대한 이미지 형성과 관광정보에 대한 사용의도, 관광지 방문의도를 형성하는 일련의 과정을 자극-유기체-반응(SOR) 모형을 기초로 개념화하고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온라인 경험가치와 오프라인 관광지 방문의도에 대한 영향관계를 연구모형을 통해 새롭게 통합하고 분석하였으며 스마트폰 관광정보의 특성을 선행연구를 토대로 새롭게 정리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주요 시사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스마트폰 관광정보의 특성으로 제시한 3개 특성 즉, 편재접속성, 상호작용성, 상황인식성이 각각 정보사용자의 경험가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실증적으로 확인하였다. 따라서 온라인 관광정보를 관리하는 관광마케터 혹은 실무자는 스마트폰 관광정보 특성을 감안하여 사용자의 경험가치를 최적화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우선 스마트폰 관광정보 사용자가 언제 어디서나 필요한 정보에 신속하게 접속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편재접속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또한 상호작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정보사용자가 정보제공자 혹은 정보를 이용하는 또 다른 사용자와 편리하고 신속하게 의견을 교환할 수 있도록 정보서비스를 기획하고 관리해야 한다. 특히, 스마트폰 관광정보 특성 중에 영향력이 가장 큰 상황인식성 개선을 위해 상황인식기반 정보서비스의 효율성과 잠재성을 새롭게 인식하고 서비스 활성화를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둘째, 스마트폰 관광정보의 경험가치는 교육적 경험가치, 심미적 경험가치, 일상탈출 경험가치로 나누어 볼 수 있으며 스마트폰 관광정보의 경험가치가 해당 관광지 이미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관광지 이미지 개선을 위해 관광정보 제공자는 마케팅활동에 스마트폰 관광정보 사용자의 경험가치가 최적화 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스마트폰을 통해 잠재관광객이 경험할 수 있는 가치의 다양한 차원을 고려하여 교육적 경험가치, 심미적 경험가치, 일상탈출 경험가치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즉, 스마트폰 관광정보를 제공하는 ‘스마트폰 앱’이나, ‘스마트폰 웹’을 통해 사용자가 경험하는 다양한 가치를 상세히 분석하고 해당 관광지의 특성과 매력에 대한 잠재력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관련 정보에 대한 최적의 관리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셋째, 스마트폰 관광정보의 경험가치가 관광정보 사용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정보사용자의 관광정보에 대한 사용의도를 고취하기 위해서는 경험가치를 구성하는 세 가지 요인(교육적, 심미적, 일상탈출)을 감안하여 정보사용자의 사용의도를 효과적으로 제고시키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넷째, 스마트폰 관광정보의 경험가치가 방문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특정 관광지에 대한 관광객유치를 증진하기 위해서는 오프라인 마케팅 노력뿐만 아니라 온라인 마케팅 노력도 전개하여 스마트폰 관광정보에 의해 매개되는 정보사용자의 경험가치를 향상시켜야 할 것이다. 다섯째, 스마트폰 관광정보에 대한 사용자의 경험을 통해 형성된 관광지 이미지가 방문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제까지 관광지에 대한 이미지가 방문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스마트폰에 의한 간접경험을 통해 형성된 관광지 이미지로 확장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한 연구는 전례가 없으며 본 연구를 통해 새롭게 확인된 것이다. 따라서 온라인 마케팅 담당자는 마케팅전략 수립 단계에서부터 스마트폰 관광정보를 통해 관광지 이미지가 영향을 받는다는 사실을 인식하고 체계적인 정보콘텐츠 및 디자인 관리를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해야 할 것이다. 여섯째, 스마트폰 관광정보 사용의도가 관광지 이미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관광마케터의 관광지 이미지 개선 노력에는 다양한 오프라인 관광지 마케팅활동에 추가하여 체계적인 정보의 구성과 효율적인 관리를 통해 정보사용자의 사용의도를 촉진하기 위한 온라인 정보관리 및 마케팅활동을 전개해야 할 것이다. 끝으로 본 연구를 통해 스마트폰 관광정보의 사용의도가 해당 관광지에 대한 방문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잠재관광객의 관광지 방문의도를 촉진하기 위해 전개하는 마케팅활동은 오프라인에만 집중할 것이 아니라 온라인을 통한 고품질 정보제공으로 관광객의 관광지 방문의도를 자극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매력적인 스마트폰 관광정보를 꾸준히 개발, 확충하고 체계적으로 관리하면 보다 많은 관광객을 희망하는 관광지로 유치할 수 있으므로 관광마케터는 정보사용자의 사용의도를 제고시키기 위한 온라인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고 이에 따라 구체적인 마케팅 노력을 전개해야 할 것이다.
Keyword
#스마트폰 관광정보 특성 편재접속성 상호작용성 상황인식성 관광정보 경험가치 관광지 이미지 관광정보 사용의도 관광지 방문의도
학위논문 정보
저자
김조영
학위수여기관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학위구분
국내박사
학과
호텔관광학과 관광경영전공
지도교수
김정만,이충기
발행연도
2014
총페이지
ⅷ,170 p.
키워드
스마트폰 관광정보 특성 편재접속성 상호작용성 상황인식성 관광정보 경험가치 관광지 이미지 관광정보 사용의도 관광지 방문의도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