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남성 패션모델들의 자기관리가 모델몰입과 패션쇼 자신감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여 자기관리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고 직업에 대한 몰입을 이끌어 패션쇼를 수행함에 있어서 보다 나은 자신감을 얻을 수 있다는 이론적 근거를 얻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패션모델의 자기계발 및 역량향상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다 줄 수 있는 기초자료로서 남성 패션모델들을 위한 모델학의 교육 자료를 제공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 경기지역의 국내 컬렉션 패션쇼를 경험해본 남성 패션모델 250명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25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그 중 불성실 응답설문지를 제외한 243부의 설문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수집된 자료는 ...
본 연구는 남성 패션모델들의 자기관리가 모델몰입과 패션쇼 자신감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여 자기관리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고 직업에 대한 몰입을 이끌어 패션쇼를 수행함에 있어서 보다 나은 자신감을 얻을 수 있다는 이론적 근거를 얻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패션모델의 자기계발 및 역량향상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다 줄 수 있는 기초자료로서 남성 패션모델들을 위한 모델학의 교육 자료를 제공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 경기지역의 국내 컬렉션 패션쇼를 경험해본 남성 패션모델 250명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25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그 중 불성실 응답설문지를 제외한 243부의 설문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수집된 자료는 SPSS Windows Ver. 18.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 상관분석(Correlation Analysis), 그리고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가설검증을 위한 통계적 유의수준은 α<.05로 설정 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남성 패션모델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자기관리, 모델몰입, 패션쇼 자신감 차이 전반에는 모델몰입 요인에서는 연령, 모델 활동경력, 모델 활동만족도, 이미지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자기관리 요인에서는 군필 여부에 따라 자기관리의 하위요인인 정신관리, 신체관리에서, 패션쇼 경험횟수에 따라 자기관리의 하위요인인 연습관리요인에서, 그리고 모델 활동만족도에 따라 자기관리 하위요인인 정신관리, 생활관리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에 반해 신장, 체중, 평균수입에 따른 자기관리, 모델몰입, 패션쇼 자신감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남성 패션모델의 자기관리가 모델몰입에 미치는 영향 전반에는 남성 패션모델의 자기관리는 자기관리의 하위요인 중 신체관리를 제외한 정신관리, 연습관리, 생활관리가 모델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남성 패션모델의 자기관리가 패션쇼 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전반에는 남성 패션모델의 자기관리는 자기관리의 하위요인 중 연습관리, 신체관리를 제외한 정신관리, 생활관리가 패션쇼 자신감의 하위요인인 사회/환경적, 신체/정신적, 수행능력 자신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남성 패션모델의 모델몰입이 패션쇼 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전반에는 남성 패션모델의 모델몰입은 패션쇼 자신감의 하위요인인 사회/환경적, 신체/정신적, 수행능력 자신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제어: 남성 패션모델, 자기관리, 몰입, 자신감
본 연구는 남성 패션모델들의 자기관리가 모델몰입과 패션쇼 자신감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여 자기관리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고 직업에 대한 몰입을 이끌어 패션쇼를 수행함에 있어서 보다 나은 자신감을 얻을 수 있다는 이론적 근거를 얻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패션모델의 자기계발 및 역량향상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다 줄 수 있는 기초자료로서 남성 패션모델들을 위한 모델학의 교육 자료를 제공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 경기지역의 국내 컬렉션 패션쇼를 경험해본 남성 패션모델 250명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25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그 중 불성실 응답설문지를 제외한 243부의 설문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수집된 자료는 SPSS Windows Ver. 18.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 상관분석(Correlation Analysis), 그리고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가설검증을 위한 통계적 유의수준은 α<.05로 설정 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남성 패션모델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자기관리, 모델몰입, 패션쇼 자신감 차이 전반에는 모델몰입 요인에서는 연령, 모델 활동경력, 모델 활동만족도, 이미지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자기관리 요인에서는 군필 여부에 따라 자기관리의 하위요인인 정신관리, 신체관리에서, 패션쇼 경험횟수에 따라 자기관리의 하위요인인 연습관리요인에서, 그리고 모델 활동만족도에 따라 자기관리 하위요인인 정신관리, 생활관리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에 반해 신장, 체중, 평균수입에 따른 자기관리, 모델몰입, 패션쇼 자신감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남성 패션모델의 자기관리가 모델몰입에 미치는 영향 전반에는 남성 패션모델의 자기관리는 자기관리의 하위요인 중 신체관리를 제외한 정신관리, 연습관리, 생활관리가 모델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남성 패션모델의 자기관리가 패션쇼 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전반에는 남성 패션모델의 자기관리는 자기관리의 하위요인 중 연습관리, 신체관리를 제외한 정신관리, 생활관리가 패션쇼 자신감의 하위요인인 사회/환경적, 신체/정신적, 수행능력 자신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남성 패션모델의 모델몰입이 패션쇼 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전반에는 남성 패션모델의 모델몰입은 패션쇼 자신감의 하위요인인 사회/환경적, 신체/정신적, 수행능력 자신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제어: 남성 패션모델, 자기관리, 몰입, 자신감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oretical basis that self-management of male fashion models can get self-confidence on doing fashion show by making them aware of the importance of self-management and be immersed on their job by studying how self-management has an effect on the model immers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oretical basis that self-management of male fashion models can get self-confidence on doing fashion show by making them aware of the importance of self-management and be immersed on their job by studying how self-management has an effect on the model immersion and the confidence of the fashion show. Providing base line data for doing various studies related to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of male fashion models. The result was analyzed by characteristic of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intended for male fashion models. Therefore this study has an object in providing the educational material on Model Study for male fashion models as a base line data having an effect on self-improvement and improvement of capacity by fashion models. To get to the purpose, the survey was conducted by 250 male fashion models who have experienced domestic collection fashion show at Seoul and Gyeonggi area. 243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analysis excluding unreliable responses questionnaires. For hypothesis verification, the date was collected by Frequency Analysis,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rough SPSS Windows Ver. 18.0. The level of statistical significance for hypothesis verification was set up as α<.05 and the result came out as below. First, there was meaningful difference on age, model activity career, model activity satisfaction and image in model-immersion factors and self-management, model-immersion and fashion show confidence according by demographic characteristic by male fashion models. In self-management factor, there was meaningful difference; depending on military service there was meaningful difference in mind-management, physical-management which are subordinate factors, depending on experience frequency of fashion show in practice-management factor which is subordinate factor and depending on level of satisfaction on model activity in mind-management, life-management factors which are subordinate factors. On the contrary, there was no meaningful difference on self-management, model-immersion and self-confidence on fashion show according by height, weight and the average income. Second of all, in the effect on model-immersion by self-management of male fashion models, generally the mind-management, training-management and life-management were the factors as subordinate factors of self-management except for physical-management. Thirdly, in the effect on fashion show confidence by self-management of male fashion models, mind-management and mind-management as a subordinate factor affect life-management as a subordinate factor of social/environmental and physical/mental ability confidence. Forth, in the effect on fashion show confidence by model-immersion of male models, the model-immersion has an effect on social/environmental and physical/mental ability confidence as a subordinate factor of fashion show confidence. Key words: Male Fashion Model, Self-Management, Flow, Confid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oretical basis that self-management of male fashion models can get self-confidence on doing fashion show by making them aware of the importance of self-management and be immersed on their job by studying how self-management has an effect on the model immersion and the confidence of the fashion show. Providing base line data for doing various studies related to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of male fashion models. The result was analyzed by characteristic of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intended for male fashion models. Therefore this study has an object in providing the educational material on Model Study for male fashion models as a base line data having an effect on self-improvement and improvement of capacity by fashion models. To get to the purpose, the survey was conducted by 250 male fashion models who have experienced domestic collection fashion show at Seoul and Gyeonggi area. 243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analysis excluding unreliable responses questionnaires. For hypothesis verification, the date was collected by Frequency Analysis,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rough SPSS Windows Ver. 18.0. The level of statistical significance for hypothesis verification was set up as α<.05 and the result came out as below. First, there was meaningful difference on age, model activity career, model activity satisfaction and image in model-immersion factors and self-management, model-immersion and fashion show confidence according by demographic characteristic by male fashion models. In self-management factor, there was meaningful difference; depending on military service there was meaningful difference in mind-management, physical-management which are subordinate factors, depending on experience frequency of fashion show in practice-management factor which is subordinate factor and depending on level of satisfaction on model activity in mind-management, life-management factors which are subordinate factors. On the contrary, there was no meaningful difference on self-management, model-immersion and self-confidence on fashion show according by height, weight and the average income. Second of all, in the effect on model-immersion by self-management of male fashion models, generally the mind-management, training-management and life-management were the factors as subordinate factors of self-management except for physical-management. Thirdly, in the effect on fashion show confidence by self-management of male fashion models, mind-management and mind-management as a subordinate factor affect life-management as a subordinate factor of social/environmental and physical/mental ability confidence. Forth, in the effect on fashion show confidence by model-immersion of male models, the model-immersion has an effect on social/environmental and physical/mental ability confidence as a subordinate factor of fashion show confidence. Key words: Male Fashion Model, Self-Management, Flow, Confidence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