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생활에서 한국어 모어 화자들이 발화시 종결어미 기능을 하는 연결어미를 사용하여 발화를 마무리하는 것을 자주 볼 수 있다. 본고는 의사소통 중심의 한국어 교육에 있어서 구어에 많이 나타나는 종결어미 역할을 하는 연결어미에 대한 중요성을 알리고 외국어로서 한국어를 공부하는 외국인에게 효과적인 교수방안을 제안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결어미를 사용하여 발화를 마무리하는 현상은 한국어 모어 화자들에게는 자연스러운 것이지만 한국어를 공부하고 있는 외국인 학습자들에게는 학습으로만 익혀야 하는 중요한 문법일 것이다. 이를 위하여, 먼저 2장에서는 연결어미와 종결어미의 개념에 대해 살펴보고 지금까지의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연결어미화 된 종결어미에 대한 개념을 살펴보았는데 논의에 따라 용어와 개념이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본고에서는 종결 어미 역할을 하는 연결어미 중에서 생략과 도치에 의해 나타나는 유형은 종결 기능 연결어미, 그 의미가 변화되어 사용된 유형은 종결어미화된 연결어미라고 정의하였다. 3장에서는 주요 대학기관에서 사용하고 있는 한국어 교재 3개를 분석하여 종결 어미의 기능을 하는 연결어미들의 사용 빈도와 양상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종결어미 역할을 하는 연결어미는 일반 문법 항목과 달리 그에 대한 설명이 명시적이고 상세하게 기술되어있지 않고 다양한 유형의 연습 또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에 4장에서는 분석한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종결어미 역할을 하는 연결어미 중 사용 빈도 상위 99%로 나타난 ‘-는데, -거든, -고, -던데, -다면서, -려고’를 한국어 교육용 종결어미화 된 연결어미로 선정하고 교수 방안을 제시하였다. 특히, 연결어미가 종결어미로 쓰이는 것에 대해 비교·분석에 머물지 않고 외국인 학습자가 종결어미 역할을 하는 연결어미에 대한 의미 기능을 이해하고 사용하기 위한 효과적인 교수-학습을 위하여 수업 모형을 함께 제시하였다. 그러나 한국어 교재 분석 시 3개의 교재만을 분석하였기 때문에 모든 한국어 교재를 일반화시킬 수 없는 점과 한국어 교육용 종결어미화 된 연결어미 선정 시 실제 한국어 모어 화자들의 발화를 같이 조사 분석하고 한국어 교재와 비교 분석하여 살펴보아야 하나 그렇지 못한 점, 마지막으로 제시한 교수 방안이 실제 교육 현장에서 얼마나 효과적인지 그 실효성을 증명하지 못한 점을 한계로 삼고 차후의 연구 과제로 남겨 두고자 한다. 앞으로 종결기능을 하는 연결어미에 대해 심도 있는 연구가 계속되기를 기대한다.It can be observed in daily life that Korean native speakers are increasingly ending their speaking with connective endings that function as final endings. This study aims to inform the importance of connective endings that play the role of final endings that are commonly used in colloquial language ...
일상생활에서 한국어 모어 화자들이 발화시 종결어미 기능을 하는 연결어미를 사용하여 발화를 마무리하는 것을 자주 볼 수 있다. 본고는 의사소통 중심의 한국어 교육에 있어서 구어에 많이 나타나는 종결어미 역할을 하는 연결어미에 대한 중요성을 알리고 외국어로서 한국어를 공부하는 외국인에게 효과적인 교수방안을 제안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결어미를 사용하여 발화를 마무리하는 현상은 한국어 모어 화자들에게는 자연스러운 것이지만 한국어를 공부하고 있는 외국인 학습자들에게는 학습으로만 익혀야 하는 중요한 문법일 것이다. 이를 위하여, 먼저 2장에서는 연결어미와 종결어미의 개념에 대해 살펴보고 지금까지의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연결어미화 된 종결어미에 대한 개념을 살펴보았는데 논의에 따라 용어와 개념이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본고에서는 종결 어미 역할을 하는 연결어미 중에서 생략과 도치에 의해 나타나는 유형은 종결 기능 연결어미, 그 의미가 변화되어 사용된 유형은 종결어미화된 연결어미라고 정의하였다. 3장에서는 주요 대학기관에서 사용하고 있는 한국어 교재 3개를 분석하여 종결 어미의 기능을 하는 연결어미들의 사용 빈도와 양상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종결어미 역할을 하는 연결어미는 일반 문법 항목과 달리 그에 대한 설명이 명시적이고 상세하게 기술되어있지 않고 다양한 유형의 연습 또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에 4장에서는 분석한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종결어미 역할을 하는 연결어미 중 사용 빈도 상위 99%로 나타난 ‘-는데, -거든, -고, -던데, -다면서, -려고’를 한국어 교육용 종결어미화 된 연결어미로 선정하고 교수 방안을 제시하였다. 특히, 연결어미가 종결어미로 쓰이는 것에 대해 비교·분석에 머물지 않고 외국인 학습자가 종결어미 역할을 하는 연결어미에 대한 의미 기능을 이해하고 사용하기 위한 효과적인 교수-학습을 위하여 수업 모형을 함께 제시하였다. 그러나 한국어 교재 분석 시 3개의 교재만을 분석하였기 때문에 모든 한국어 교재를 일반화시킬 수 없는 점과 한국어 교육용 종결어미화 된 연결어미 선정 시 실제 한국어 모어 화자들의 발화를 같이 조사 분석하고 한국어 교재와 비교 분석하여 살펴보아야 하나 그렇지 못한 점, 마지막으로 제시한 교수 방안이 실제 교육 현장에서 얼마나 효과적인지 그 실효성을 증명하지 못한 점을 한계로 삼고 차후의 연구 과제로 남겨 두고자 한다. 앞으로 종결기능을 하는 연결어미에 대해 심도 있는 연구가 계속되기를 기대한다.It can be observed in daily life that Korean native speakers are increasingly ending their speaking with connective endings that function as final endings. This study aims to inform the importance of connective endings that play the role of final endings that are commonly used in colloquial language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focusing on communication, and to propose an effective teaching method for foreigners who wish to learn Korean as second language. It is natural for Korean native speakers to end their speaking using connective endings, but it is an important part of grammar that foreign learners can only master through learning. Accordingly, first in chapter 2, connective endings and final endings were examined as well as their concept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it was revealed that each scholar had different names and concepts for them. For the sake of this study, connective endings that play the role of final endings that arise from omission and inversion are called connective endings functioning as final endings(종결기능 연결어미), and connective endings whose meaning has changed are defined as connective endings in final endings form(종결어미화된 연결어미). In chapter 3, three Korean textbooks used in major universities were analyzed and the frequency of usage and aspect of connective endings that play the role of final endings were investigated. Results showed that explanation for connective endings that play the role of final endings is not as clear and detailed as other grammar topics and that practice items are not as various as those of other topics. In chapter 4, -는데 -neunde, -거든 -geodeun, -고 .go, -던데 .deonde, -다면서 . damyeonseo, -려고 .ryeogo, that make up the top 99% of use frequency among connective endings that play the role of final endings as analyzed in the textbooks were selected as connective endings in final endings form, and teaching method was proposed. The study is significant in proposing class model for effective teaching-learning that could facilitate better understanding of semantic function of connective endings as final endings, instead of simply comparing and analyzing connective endings being used as final endings. However, as only 3 textbooks were analyze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include the fact that not all Korean textbooks can be generalized and that this study failed to investigate speaking of Korean native speakers and conduct comparison analysis with Korean textbooks in selection of connective endings in final endings form for educating Korean, and finally, the fact that the effectiveness of proposed teaching method in actual education site was not verified. This study encourages further research on connective endings that function as final endings.
일상생활에서 한국어 모어 화자들이 발화시 종결어미 기능을 하는 연결어미를 사용하여 발화를 마무리하는 것을 자주 볼 수 있다. 본고는 의사소통 중심의 한국어 교육에 있어서 구어에 많이 나타나는 종결어미 역할을 하는 연결어미에 대한 중요성을 알리고 외국어로서 한국어를 공부하는 외국인에게 효과적인 교수방안을 제안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결어미를 사용하여 발화를 마무리하는 현상은 한국어 모어 화자들에게는 자연스러운 것이지만 한국어를 공부하고 있는 외국인 학습자들에게는 학습으로만 익혀야 하는 중요한 문법일 것이다. 이를 위하여, 먼저 2장에서는 연결어미와 종결어미의 개념에 대해 살펴보고 지금까지의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연결어미화 된 종결어미에 대한 개념을 살펴보았는데 논의에 따라 용어와 개념이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본고에서는 종결 어미 역할을 하는 연결어미 중에서 생략과 도치에 의해 나타나는 유형은 종결 기능 연결어미, 그 의미가 변화되어 사용된 유형은 종결어미화된 연결어미라고 정의하였다. 3장에서는 주요 대학기관에서 사용하고 있는 한국어 교재 3개를 분석하여 종결 어미의 기능을 하는 연결어미들의 사용 빈도와 양상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종결어미 역할을 하는 연결어미는 일반 문법 항목과 달리 그에 대한 설명이 명시적이고 상세하게 기술되어있지 않고 다양한 유형의 연습 또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에 4장에서는 분석한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종결어미 역할을 하는 연결어미 중 사용 빈도 상위 99%로 나타난 ‘-는데, -거든, -고, -던데, -다면서, -려고’를 한국어 교육용 종결어미화 된 연결어미로 선정하고 교수 방안을 제시하였다. 특히, 연결어미가 종결어미로 쓰이는 것에 대해 비교·분석에 머물지 않고 외국인 학습자가 종결어미 역할을 하는 연결어미에 대한 의미 기능을 이해하고 사용하기 위한 효과적인 교수-학습을 위하여 수업 모형을 함께 제시하였다. 그러나 한국어 교재 분석 시 3개의 교재만을 분석하였기 때문에 모든 한국어 교재를 일반화시킬 수 없는 점과 한국어 교육용 종결어미화 된 연결어미 선정 시 실제 한국어 모어 화자들의 발화를 같이 조사 분석하고 한국어 교재와 비교 분석하여 살펴보아야 하나 그렇지 못한 점, 마지막으로 제시한 교수 방안이 실제 교육 현장에서 얼마나 효과적인지 그 실효성을 증명하지 못한 점을 한계로 삼고 차후의 연구 과제로 남겨 두고자 한다. 앞으로 종결기능을 하는 연결어미에 대해 심도 있는 연구가 계속되기를 기대한다.It can be observed in daily life that Korean native speakers are increasingly ending their speaking with connective endings that function as final endings. This study aims to inform the importance of connective endings that play the role of final endings that are commonly used in colloquial language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focusing on communication, and to propose an effective teaching method for foreigners who wish to learn Korean as second language. It is natural for Korean native speakers to end their speaking using connective endings, but it is an important part of grammar that foreign learners can only master through learning. Accordingly, first in chapter 2, connective endings and final endings were examined as well as their concept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it was revealed that each scholar had different names and concepts for them. For the sake of this study, connective endings that play the role of final endings that arise from omission and inversion are called connective endings functioning as final endings(종결기능 연결어미), and connective endings whose meaning has changed are defined as connective endings in final endings form(종결어미화된 연결어미). In chapter 3, three Korean textbooks used in major universities were analyzed and the frequency of usage and aspect of connective endings that play the role of final endings were investigated. Results showed that explanation for connective endings that play the role of final endings is not as clear and detailed as other grammar topics and that practice items are not as various as those of other topics. In chapter 4, -는데 -neunde, -거든 -geodeun, -고 .go, -던데 .deonde, -다면서 . damyeonseo, -려고 .ryeogo, that make up the top 99% of use frequency among connective endings that play the role of final endings as analyzed in the textbooks were selected as connective endings in final endings form, and teaching method was proposed. The study is significant in proposing class model for effective teaching-learning that could facilitate better understanding of semantic function of connective endings as final endings, instead of simply comparing and analyzing connective endings being used as final endings. However, as only 3 textbooks were analyze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include the fact that not all Korean textbooks can be generalized and that this study failed to investigate speaking of Korean native speakers and conduct comparison analysis with Korean textbooks in selection of connective endings in final endings form for educating Korean, and finally, the fact that the effectiveness of proposed teaching method in actual education site was not verified. This study encourages further research on connective endings that function as final endings.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