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 문헌 및 도형사료 그리고 파초 식재실태의 분석 및 해석을 통하여 함의(含意)된 의미를 고찰함으로써 조선시대 파초 식재의 양상과 유풍을 실증적으로 파악하고자 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고사 및 시문의 해석>
첫째, 파초 관련 중국 고사에는 유가적·불가적 그리고 도가적 개념 등의 다양한 층위(層位) 개념이 내포되고 있으며 이러한 의미망(意味網)은 개별적으로 또는 상호 교융(交融)하면서 한국적 파초문화를 형성시킨 자양(自養)이 된 것으로 보인다. 이는 한자문화권의 오래된 문한(文翰) 인식 속에서 구축되어온 파초의 문화적 상징성 공유 결과의 하나로 판단된다.
둘째, 시문 내용의 분석 결과, 선비의 문취(文趣) 소재, 파초 잎을 통해 본 녹색하늘[綠天]의 비유, 술잔을 대신하는 풍류 객체, 빗소리를 통한 차청(借聽)의 아취(雅趣), 그리고 초엽제시(蕉葉題詩)와 관련한 시전지(詩箋紙) 등의 풍류적 속성이 내재되어 있다. 또한 파초의 생육 습성에서 터득한 철리(哲理), 자강불식(自强不息)과 군자의 덕성(德性)을 의미하는 성리학적 의미가 다양하게 담겨 있는 데 그 문화적 토양은 이미 고려시대 이전부터 형성된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시문에 담긴 파초는 기다림과 별리(別離), 선인(仙人)의 풍취, 봉황과 부귀의 상징, 그리고 친교(親交)의 증표 등의 상징성이 강조된 반면 조선 후기로 갈수록 식용·약용·섬유용·관상용 등 실용적 용도의 비중이 높아지고 있다. 또한 파초의 상징성은 불가적·유가적·도가적·민간적·실용적 측면에서 공감각적 의미를 담아 다층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중의적(衆意的) 표현을 통한 중첩 양상을 보이는 바 이러한 경향은 18세기 후반에 들어 비유가적(非儒家的) 내용을 담는 시의 비중에 높아지는 경향과 맥락을 같이한다. <그림의 분석 및 해석>
넷째, 정원풍경도 및 고사인물도(故事人物圖) 또는 계회도(契會圖) 등 화원화(畵院畵)와 문인화(文人畵)에 등장하는 파초는 정원의 탈속적 정취를 높이고 선비들의 아회(雅會)를 보다 품격화하기 위한 장치로 보이는 바 학(鶴)과 초록고사의 의미체인 사슴(鹿)이 높은 등장빈도를 보이는 것은 이러한 경향을 반증하고 있다. 또한 평생도(平生圖)·성시도(盛市圖)·경직도(耕織圖) 등의 도상 속 파초의 의미는 부귀와 번영을 염원한 것으로 판단되고, 불화(佛畵)에 그려진 파초는 인간사의 무상함을 환기(喚起)시키는 탈속적 의미와 믿음의 구법(求法)을 염원하는 매개체로 보인다. 또한 민화 속의 파초는 부귀와 선인(仙人)의 풍취 그리고 복(福)과 장수(長壽)를 염원하는 의미가 강하게 내재된 것으로 파악된다.
다섯째, 파초 식재를 통한 ...
국 문 초 록
옛 문헌 및 도형사료 그리고 파초 식재실태의 분석 및 해석을 통하여 함의(含意)된 의미를 고찰함으로써 조선시대 파초 식재의 양상과 유풍을 실증적으로 파악하고자 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고사 및 시문의 해석>
첫째, 파초 관련 중국 고사에는 유가적·불가적 그리고 도가적 개념 등의 다양한 층위(層位) 개념이 내포되고 있으며 이러한 의미망(意味網)은 개별적으로 또는 상호 교융(交融)하면서 한국적 파초문화를 형성시킨 자양(自養)이 된 것으로 보인다. 이는 한자문화권의 오래된 문한(文翰) 인식 속에서 구축되어온 파초의 문화적 상징성 공유 결과의 하나로 판단된다.
둘째, 시문 내용의 분석 결과, 선비의 문취(文趣) 소재, 파초 잎을 통해 본 녹색하늘[綠天]의 비유, 술잔을 대신하는 풍류 객체, 빗소리를 통한 차청(借聽)의 아취(雅趣), 그리고 초엽제시(蕉葉題詩)와 관련한 시전지(詩箋紙) 등의 풍류적 속성이 내재되어 있다. 또한 파초의 생육 습성에서 터득한 철리(哲理), 자강불식(自强不息)과 군자의 덕성(德性)을 의미하는 성리학적 의미가 다양하게 담겨 있는 데 그 문화적 토양은 이미 고려시대 이전부터 형성된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시문에 담긴 파초는 기다림과 별리(別離), 선인(仙人)의 풍취, 봉황과 부귀의 상징, 그리고 친교(親交)의 증표 등의 상징성이 강조된 반면 조선 후기로 갈수록 식용·약용·섬유용·관상용 등 실용적 용도의 비중이 높아지고 있다. 또한 파초의 상징성은 불가적·유가적·도가적·민간적·실용적 측면에서 공감각적 의미를 담아 다층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중의적(衆意的) 표현을 통한 중첩 양상을 보이는 바 이러한 경향은 18세기 후반에 들어 비유가적(非儒家的) 내용을 담는 시의 비중에 높아지는 경향과 맥락을 같이한다. <그림의 분석 및 해석>
넷째, 정원풍경도 및 고사인물도(故事人物圖) 또는 계회도(契會圖) 등 화원화(畵院畵)와 문인화(文人畵)에 등장하는 파초는 정원의 탈속적 정취를 높이고 선비들의 아회(雅會)를 보다 품격화하기 위한 장치로 보이는 바 학(鶴)과 초록고사의 의미체인 사슴(鹿)이 높은 등장빈도를 보이는 것은 이러한 경향을 반증하고 있다. 또한 평생도(平生圖)·성시도(盛市圖)·경직도(耕織圖) 등의 도상 속 파초의 의미는 부귀와 번영을 염원한 것으로 판단되고, 불화(佛畵)에 그려진 파초는 인간사의 무상함을 환기(喚起)시키는 탈속적 의미와 믿음의 구법(求法)을 염원하는 매개체로 보인다. 또한 민화 속의 파초는 부귀와 선인(仙人)의 풍취 그리고 복(福)과 장수(長壽)를 염원하는 의미가 강하게 내재된 것으로 파악된다.
다섯째, 파초 식재를 통한 기대 효과는 ‘파초우성(芭蕉雨聲)’ 즉 ‘비가 내릴 때 파초 잎을 울리는 소리경관’의 체험을 추구하고자 한 것으로 이는 넓은 잎을 지닌 (벽)오동나무 또한 가옥 근처에 빈번히 심었던 정황으로도 확인된다. 또한 식재장소는 주로 사랑채 중심의 전정(前庭)이나 측정(側庭)에 주로 심겨졌는데, 우경관(雨景觀)의 청음(聽音)이 용이한 침실의 위치와 관련되며, 주로 서쪽에 심어 음양 상생(相生)과 녹천의 의미 그리고 차광(遮光)의 목적이 담긴 것으로 판단된다.
여섯째, 파초 식재방식은 단식(單植)이 많은 반면 분식(盆植), 산식(散植), 열식(列植)은 미미하였는데, 중국과 같이 군식(群植) 방식이 거의 발견되지 않는 것은 생육조건의 차이 및 상징성 표현의 결과라 하겠다. 한편, 파초와 함께 등장하는 점경물은 특히 민화의 경우, 괴석(怪石) 또는 암석(巖石)과 함께 그려지는데 이는 의경(意景) 구축의 일환이자 상징미학적 의미 강화를 위한 조합적(組合的) 산물로 판단된다.
<민속마을과 전통사찰의 식재유풍>
일곱째, 국가지정문화재 민속마을과 전통사찰을 대상으로 파초 식재 실태를 파악한 결과, 아산 외암마을과 성주 한개마을 등 한정된 정원에서 최소한의 유풍(遺風)이 전해지고 있다. 외암마을의 경우 건재고택(현재 고사), 참판댁, 설인방 등 3곳에서, 한개마을에는 북비고택, 하회댁, 교리댁, 진사댁 등에서 조사되었는데, 사랑채와 안채 정면에 단식 또는 3-5주 모아심기 하는 경향을 보여준다. 특히, 이러한 유풍의 제한적 수용 양상은 남방계 식물 파초의 유지관리 어려움, 의미경관과 실용적 가치의 퇴조 양상 등 확장성 결여 요인으로 추론할 수 있다.
여덟째, 파초 식재가 확인된 전통사찰은 총 42개소로 나타났는데, 통도사와 부속암자인 극락암에서는 단식, 산식, 군식 등 다양한 식재방식이 독특하게 반영되었다. 특히, 대웅(보)전과 관음전 등 석가모니불과 관세음보살을 모신 불전의 석계 좌우로는 모아심기로 대식(對植)하는 경향이 많이 나타났는데, 이는 믿음의 구법을 염원하는 매개체로서의 상징성 강화 개념으로 해석할 수 있다.
아홉째, 민가정원 및 전통사찰의 파초는 전라남도와 경상도 일원에 주로 식재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는데, 이는 남방계식물인 파초가 한반도의 등온선 분포와 상당히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즉, 연평균기온 12℃를 기준으로 파초의 식재분포(植栽分布)가 형성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국 문 초 록
옛 문헌 및 도형사료 그리고 파초 식재실태의 분석 및 해석을 통하여 함의(含意)된 의미를 고찰함으로써 조선시대 파초 식재의 양상과 유풍을 실증적으로 파악하고자 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고사 및 시문의 해석>
첫째, 파초 관련 중국 고사에는 유가적·불가적 그리고 도가적 개념 등의 다양한 층위(層位) 개념이 내포되고 있으며 이러한 의미망(意味網)은 개별적으로 또는 상호 교융(交融)하면서 한국적 파초문화를 형성시킨 자양(自養)이 된 것으로 보인다. 이는 한자문화권의 오래된 문한(文翰) 인식 속에서 구축되어온 파초의 문화적 상징성 공유 결과의 하나로 판단된다.
둘째, 시문 내용의 분석 결과, 선비의 문취(文趣) 소재, 파초 잎을 통해 본 녹색하늘[綠天]의 비유, 술잔을 대신하는 풍류 객체, 빗소리를 통한 차청(借聽)의 아취(雅趣), 그리고 초엽제시(蕉葉題詩)와 관련한 시전지(詩箋紙) 등의 풍류적 속성이 내재되어 있다. 또한 파초의 생육 습성에서 터득한 철리(哲理), 자강불식(自强不息)과 군자의 덕성(德性)을 의미하는 성리학적 의미가 다양하게 담겨 있는 데 그 문화적 토양은 이미 고려시대 이전부터 형성된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시문에 담긴 파초는 기다림과 별리(別離), 선인(仙人)의 풍취, 봉황과 부귀의 상징, 그리고 친교(親交)의 증표 등의 상징성이 강조된 반면 조선 후기로 갈수록 식용·약용·섬유용·관상용 등 실용적 용도의 비중이 높아지고 있다. 또한 파초의 상징성은 불가적·유가적·도가적·민간적·실용적 측면에서 공감각적 의미를 담아 다층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중의적(衆意的) 표현을 통한 중첩 양상을 보이는 바 이러한 경향은 18세기 후반에 들어 비유가적(非儒家的) 내용을 담는 시의 비중에 높아지는 경향과 맥락을 같이한다. <그림의 분석 및 해석>
넷째, 정원풍경도 및 고사인물도(故事人物圖) 또는 계회도(契會圖) 등 화원화(畵院畵)와 문인화(文人畵)에 등장하는 파초는 정원의 탈속적 정취를 높이고 선비들의 아회(雅會)를 보다 품격화하기 위한 장치로 보이는 바 학(鶴)과 초록고사의 의미체인 사슴(鹿)이 높은 등장빈도를 보이는 것은 이러한 경향을 반증하고 있다. 또한 평생도(平生圖)·성시도(盛市圖)·경직도(耕織圖) 등의 도상 속 파초의 의미는 부귀와 번영을 염원한 것으로 판단되고, 불화(佛畵)에 그려진 파초는 인간사의 무상함을 환기(喚起)시키는 탈속적 의미와 믿음의 구법(求法)을 염원하는 매개체로 보인다. 또한 민화 속의 파초는 부귀와 선인(仙人)의 풍취 그리고 복(福)과 장수(長壽)를 염원하는 의미가 강하게 내재된 것으로 파악된다.
다섯째, 파초 식재를 통한 기대 효과는 ‘파초우성(芭蕉雨聲)’ 즉 ‘비가 내릴 때 파초 잎을 울리는 소리경관’의 체험을 추구하고자 한 것으로 이는 넓은 잎을 지닌 (벽)오동나무 또한 가옥 근처에 빈번히 심었던 정황으로도 확인된다. 또한 식재장소는 주로 사랑채 중심의 전정(前庭)이나 측정(側庭)에 주로 심겨졌는데, 우경관(雨景觀)의 청음(聽音)이 용이한 침실의 위치와 관련되며, 주로 서쪽에 심어 음양 상생(相生)과 녹천의 의미 그리고 차광(遮光)의 목적이 담긴 것으로 판단된다.
여섯째, 파초 식재방식은 단식(單植)이 많은 반면 분식(盆植), 산식(散植), 열식(列植)은 미미하였는데, 중국과 같이 군식(群植) 방식이 거의 발견되지 않는 것은 생육조건의 차이 및 상징성 표현의 결과라 하겠다. 한편, 파초와 함께 등장하는 점경물은 특히 민화의 경우, 괴석(怪石) 또는 암석(巖石)과 함께 그려지는데 이는 의경(意景) 구축의 일환이자 상징미학적 의미 강화를 위한 조합적(組合的) 산물로 판단된다.
<민속마을과 전통사찰의 식재유풍>
일곱째, 국가지정문화재 민속마을과 전통사찰을 대상으로 파초 식재 실태를 파악한 결과, 아산 외암마을과 성주 한개마을 등 한정된 정원에서 최소한의 유풍(遺風)이 전해지고 있다. 외암마을의 경우 건재고택(현재 고사), 참판댁, 설인방 등 3곳에서, 한개마을에는 북비고택, 하회댁, 교리댁, 진사댁 등에서 조사되었는데, 사랑채와 안채 정면에 단식 또는 3-5주 모아심기 하는 경향을 보여준다. 특히, 이러한 유풍의 제한적 수용 양상은 남방계 식물 파초의 유지관리 어려움, 의미경관과 실용적 가치의 퇴조 양상 등 확장성 결여 요인으로 추론할 수 있다.
여덟째, 파초 식재가 확인된 전통사찰은 총 42개소로 나타났는데, 통도사와 부속암자인 극락암에서는 단식, 산식, 군식 등 다양한 식재방식이 독특하게 반영되었다. 특히, 대웅(보)전과 관음전 등 석가모니불과 관세음보살을 모신 불전의 석계 좌우로는 모아심기로 대식(對植)하는 경향이 많이 나타났는데, 이는 믿음의 구법을 염원하는 매개체로서의 상징성 강화 개념으로 해석할 수 있다.
아홉째, 민가정원 및 전통사찰의 파초는 전라남도와 경상도 일원에 주로 식재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는데, 이는 남방계식물인 파초가 한반도의 등온선 분포와 상당히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즉, 연평균기온 12℃를 기준으로 파초의 식재분포(植栽分布)가 형성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A Study on the Symbolic Culture and it' s Custom of Musa basjoo
ABSTRACT
This research was begun with the questions, ‘What is the cultural phenomenon contained in boom of Musa basjoo as a planting ingredient in the Joseon era?’ and ‘what is the reason for Musa basjoo downfal...
A Study on the Symbolic Culture and it' s Custom of Musa basjoo
ABSTRACT
This research was begun with the questions, ‘What is the cultural phenomenon contained in boom of Musa basjoo as a planting ingredient in the Joseon era?’ and ‘what is the reason for Musa basjoo downfall as a planting ingredient?’, moreover, this research sought to examine the cross section of Korea’s Musa basjoo planting ingredient culture by focusing on Musa basjoo and its usage as a planting ingredient through analysis of Musa basjoo-related poems, calligraphy, drawings handed down following the period of three states through to the beginning of the Japanese colonial era. This research attempted to examine the undertone and the inner consciousness of Musa basjoo in Korea through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f ancient history related to Musa basjoo, poetry of Joseon era, and drawings, as well as surmise the current state of Musa basjoo and its significance;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empirically identify the custom of Musa basjoo and to guess its aspect and significance in the Joseon era, in terms of traditional landscaping, by studying the relevant literatures and historical pictorial data, analyzing the current state of planing of Musa basjoo, and studying its implied meanings and significance of planting. The results are as below.
Firstly, in the Chinese ancient history related to Musa basjoo, the Confucian, Buddhistic, and Taoistic concepts are implied in various ways. It was confirmed that such semantic network became nutriment that established the Korean culture of Musa basjoo, individually or integratedly. This appears to be the result of Musa basjoo's cultural symbolism established in history of literary arts of Chinese writing culture.
Secondly,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poetry’s content, several aspects of Confucianism were revealed: substitute that displays a scholar’s Moonchwi(文趣); ‘green sky(綠天)’ seen through the perspective of Musa basjoo leaves, object of poetry that substitutes wine glasses, realization of ‘Pachowooseong(芭蕉雨聲: listening to the rain drops on the leaves of plantain in summer)'s elegance(雅趣) through the sound of rain; poetical significance of writers’ Sijeonji(詩箋紙: Ornamental letter-paper) through Choyeopjaesi(焦葉題詩); ‘reason of philosophy(哲理)’ obtained from growth; and ‘ceaseless endeavors’ and noble men’s virtue; the origin is set on aforementioned China’s ancient history and it is assumed that the cultural ground was already formed in the Goryeo era.
Thirdly, the significance of Musa basjoo in poetry includes waiting and parting; phoenix, which possesses virtuous men’s elegance, and symbol of affluence and mementos of friendly relationship, which is significance in the sense of common man; towards the end of the Joseon era, there is a greater proportion of poetry which consists of pragmatic significance and usage for such areas as planting, medicine, textile, and ornaments. Furthermore, the following emotions may be discovered such as the following: futility of ‘Musangmuah(無常無我)’ in life and death; spirit of ‘Weibupmanggoo Bulsuksinmyung(爲法忘軀 不惜身命)’ for ‘Eypsulgoobup(立雪求法)’, and Buddhistic significance symbolizes punitive justice and boundaries of desire; however, given that the authors of the poems are scholoars, the frequency was insignificant.
Fourthly, Musa basjoo, which appears in painting of cultural scene in garden, Painting of legendary scene(故事人物圖), Painting of literati gathering(契會圖), Painting of Huayuan(畵院) or Painting of munin(文人), is viewed as a mechanism to enhance the members’ unworldly taste and raise the quality of scholar’s aesthetic sentiments; frequent appearance of swan and deer, object of meaning for historical facts of ‘Green deer(蕉鹿)’ reflects such tendency. The significance of Musa basjoo in drawings such as Pyeongsaeng-do(平生圖), Seongsi-do(盛市圖), Kyŏngjik-do(耕織圖) appears to be desire for wealth and prosperity; as well, it is seen as a medium longing for unworldliness to remind life’s meaninglessness and mustering of faith. Moreover, Musa basjoo in folk painting is presumed to represent affluence, virtuous men’s elegance, luck and longevity.
Fifthly, the effect of Musa basjoo as a planting ingredient, which was considered to be important previously, is seen as an attempt to experience ‘Pachowooseong’, which is the soundscape of rain hitting Musa basjoo leaf; this was deemed significant in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f poetry; it is affirmed that Musa basjoo, along with other wide-leafed plants, were frequently planted around houses. Furthermore, it is presumed that Musa basjoo was generally placed in the master bedroom, front garden, or side garden(側庭), and related to the location of bedrooms, and placed to the right of the entrance, for the purpose of bearing significance of Nocchon.
Sixthly, the pattern of green sky as a planting ingredient was heavily single planting, while dish planting(盆植), scattered planting(散植), and column planting(列植) were very minimal. The fact that it did not become a planting ingredient for assemble planting(群植) as in China has to do with growth condition; however, it indicates meaningful ingredients are deeply reflected. Facilities that appear as Musa basjoo appear frequently; this is viewed as a part of establishing yijing(意景: imaginary landscape) as well as combined product of symbolistic icon.
Seventhly, an assessment on the ‘current state of Musa basjoo as a planting based on nation-designated traditional village and traditional temple indicates that the tradition is handed down only in limited areas such as Asan Oeam-village and Seongju Hangae-village. In the case of Oeam-village where Musa basjoo is used as a planting, it was discovered in the gardens of three locations such as Kunjaegotaek, Champantaek and Sulinbang. For Hangae village, it was discovered in Bukbigotaek(北扉古宅), Hahoetaek(河回宅), Kyoritaek(敎理宅) and Jinsataek(進士宅), while locations of placement were to be the detached house and the front of the main building.
Eighthly, traditional temples with confirmed usage of Musa basjoo as planted in 42 locations, while it was found to be most popular at Tongdo-Temple and its annex Geungnagam Hermitage. The locations of placement were found to be Daeungjeon Hall and Gwaneumjeon Hall and showing a tendency to paired planting(對植) on either side of stairs of Buddhist temple, where the statues of Buddha are kept.
Ninthly, common garden and Musa basjoo of temple was found to center around Jeonllanam-do and Gyeongsang-do, considering its origin of the South, and it seemed to have a close correlation with the distribution of isothermal. In particular, the distribution of Musa basjoo as a planting was determined based on the annual average temperature of 12〫 C.
A Study on the Symbolic Culture and it' s Custom of Musa basjoo
ABSTRACT
This research was begun with the questions, ‘What is the cultural phenomenon contained in boom of Musa basjoo as a planting ingredient in the Joseon era?’ and ‘what is the reason for Musa basjoo downfall as a planting ingredient?’, moreover, this research sought to examine the cross section of Korea’s Musa basjoo planting ingredient culture by focusing on Musa basjoo and its usage as a planting ingredient through analysis of Musa basjoo-related poems, calligraphy, drawings handed down following the period of three states through to the beginning of the Japanese colonial era. This research attempted to examine the undertone and the inner consciousness of Musa basjoo in Korea through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f ancient history related to Musa basjoo, poetry of Joseon era, and drawings, as well as surmise the current state of Musa basjoo and its significance;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empirically identify the custom of Musa basjoo and to guess its aspect and significance in the Joseon era, in terms of traditional landscaping, by studying the relevant literatures and historical pictorial data, analyzing the current state of planing of Musa basjoo, and studying its implied meanings and significance of planting. The results are as below.
Firstly, in the Chinese ancient history related to Musa basjoo, the Confucian, Buddhistic, and Taoistic concepts are implied in various ways. It was confirmed that such semantic network became nutriment that established the Korean culture of Musa basjoo, individually or integratedly. This appears to be the result of Musa basjoo's cultural symbolism established in history of literary arts of Chinese writing culture.
Secondly,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poetry’s content, several aspects of Confucianism were revealed: substitute that displays a scholar’s Moonchwi(文趣); ‘green sky(綠天)’ seen through the perspective of Musa basjoo leaves, object of poetry that substitutes wine glasses, realization of ‘Pachowooseong(芭蕉雨聲: listening to the rain drops on the leaves of plantain in summer)'s elegance(雅趣) through the sound of rain; poetical significance of writers’ Sijeonji(詩箋紙: Ornamental letter-paper) through Choyeopjaesi(焦葉題詩); ‘reason of philosophy(哲理)’ obtained from growth; and ‘ceaseless endeavors’ and noble men’s virtue; the origin is set on aforementioned China’s ancient history and it is assumed that the cultural ground was already formed in the Goryeo era.
Thirdly, the significance of Musa basjoo in poetry includes waiting and parting; phoenix, which possesses virtuous men’s elegance, and symbol of affluence and mementos of friendly relationship, which is significance in the sense of common man; towards the end of the Joseon era, there is a greater proportion of poetry which consists of pragmatic significance and usage for such areas as planting, medicine, textile, and ornaments. Furthermore, the following emotions may be discovered such as the following: futility of ‘Musangmuah(無常無我)’ in life and death; spirit of ‘Weibupmanggoo Bulsuksinmyung(爲法忘軀 不惜身命)’ for ‘Eypsulgoobup(立雪求法)’, and Buddhistic significance symbolizes punitive justice and boundaries of desire; however, given that the authors of the poems are scholoars, the frequency was insignificant.
Fourthly, Musa basjoo, which appears in painting of cultural scene in garden, Painting of legendary scene(故事人物圖), Painting of literati gathering(契會圖), Painting of Huayuan(畵院) or Painting of munin(文人), is viewed as a mechanism to enhance the members’ unworldly taste and raise the quality of scholar’s aesthetic sentiments; frequent appearance of swan and deer, object of meaning for historical facts of ‘Green deer(蕉鹿)’ reflects such tendency. The significance of Musa basjoo in drawings such as Pyeongsaeng-do(平生圖), Seongsi-do(盛市圖), Kyŏngjik-do(耕織圖) appears to be desire for wealth and prosperity; as well, it is seen as a medium longing for unworldliness to remind life’s meaninglessness and mustering of faith. Moreover, Musa basjoo in folk painting is presumed to represent affluence, virtuous men’s elegance, luck and longevity.
Fifthly, the effect of Musa basjoo as a planting ingredient, which was considered to be important previously, is seen as an attempt to experience ‘Pachowooseong’, which is the soundscape of rain hitting Musa basjoo leaf; this was deemed significant in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f poetry; it is affirmed that Musa basjoo, along with other wide-leafed plants, were frequently planted around houses. Furthermore, it is presumed that Musa basjoo was generally placed in the master bedroom, front garden, or side garden(側庭), and related to the location of bedrooms, and placed to the right of the entrance, for the purpose of bearing significance of Nocchon.
Sixthly, the pattern of green sky as a planting ingredient was heavily single planting, while dish planting(盆植), scattered planting(散植), and column planting(列植) were very minimal. The fact that it did not become a planting ingredient for assemble planting(群植) as in China has to do with growth condition; however, it indicates meaningful ingredients are deeply reflected. Facilities that appear as Musa basjoo appear frequently; this is viewed as a part of establishing yijing(意景: imaginary landscape) as well as combined product of symbolistic icon.
Seventhly, an assessment on the ‘current state of Musa basjoo as a planting based on nation-designated traditional village and traditional temple indicates that the tradition is handed down only in limited areas such as Asan Oeam-village and Seongju Hangae-village. In the case of Oeam-village where Musa basjoo is used as a planting, it was discovered in the gardens of three locations such as Kunjaegotaek, Champantaek and Sulinbang. For Hangae village, it was discovered in Bukbigotaek(北扉古宅), Hahoetaek(河回宅), Kyoritaek(敎理宅) and Jinsataek(進士宅), while locations of placement were to be the detached house and the front of the main building.
Eighthly, traditional temples with confirmed usage of Musa basjoo as planted in 42 locations, while it was found to be most popular at Tongdo-Temple and its annex Geungnagam Hermitage. The locations of placement were found to be Daeungjeon Hall and Gwaneumjeon Hall and showing a tendency to paired planting(對植) on either side of stairs of Buddhist temple, where the statues of Buddha are kept.
Ninthly, common garden and Musa basjoo of temple was found to center around Jeonllanam-do and Gyeongsang-do, considering its origin of the South, and it seemed to have a close correlation with the distribution of isothermal. In particular, the distribution of Musa basjoo as a planting was determined based on the annual average temperature of 12〫 C.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