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 2 언어 습득 과정에서 중국 북경어권과 광동어권 학습자의 한국어 단모음 습득에 대한 대조 연구
The Comparison Reserch of Korean Simple Vowel Acquisition between Chinese Mandarin Speaking Learners and Chinese Cantonese speaking Learners 원문보기


반설산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국어국문학과 국내석사)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제2언어 습득 과정에서 실력이 초급 수준인, 중국 북경어권과 광동어권 한국어 학습자들의 한국어 단모음 발음을 음향 음성학적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실험 음성학적 차원에서의 대조 분석을 통해 한국어, 북경어, 광동어의 단모음 간의 음성적 유사성에 대해 분석하고, 이런 유사성이 한국어 단모음 발음 습득에 각각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삼았다. 본고에서는 각 장에서 다음과 같이 연구를 진행해 왔다. 먼저 1장에서는 연구의 목적을 제시하고, 선행 연구 검토를 통해 연구의 필요성을 밝혔다. 2장에서는 한국어, 북경어, 광동어의 음운체계와 음운적 특징을 각각 살펴보고, 대조분석을 통해 한국어와 중국 두 방언의 음운적 공통점과 차이점을 찾아냈다. 3장에서는 먼저 모음간의 유사성 설정 기준에 대해 기술하였고 실험 결과를 분석할 기준을 마련하였다. 한국어와 북경어, 광동어 단모음 간의 유사성의 정도를 분석하기 위해 북경어권과 광동어권 학습자 각 7 명과 한국인 5명을 대상으로 한국어 단모음 /i/, /e/, /a/, /ɨ/, /u/, /o/, /ʌ/, 북경어의 6개 단모음 /i/, /a/, /ɿ/, /ʅ/, /u/, /ɤ/ 그리고 광동어의 단모음 /i/, /ɛ/, /a/, /u/, /ɔ/, /œ/의 음성 산출 실험이 행해졌다. 그리고 실험 결과를 통해 한국어 단모음과 북경어 단모음, 그리고 광동어 단모음 간의 조음음성학적 특징 및 음향음성학적 특징을 대조분석함으로써 한국어와 북경어, 한국어와 광동어의 모음 간의 유사성 정도를 분석하였다. 4장에서는 북경어와 광동어 모음과의 유사성 정도에 따라서 북경어권과 광동어권 학습자의 한국어 단모음 음성 습득 양상을 조사하기 위해 북경어 화자와 광동어 화자들이 발음한 한국어 모음에 대한 음성 산출 실험과 음성 청취 실험이 진행해졌다. 피험자는 한국어를 8개월 전공하였는 북경어권과 광동어권 학습자 각 7명로 구성되었다. 음성 산출 실험과 음성 청취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어와 북경어, 그리고 광동어 모음과의 유사성의 정도에 따른 두 방언권 학습자가 한국어 단모음 음성 습득 양상에 대해 대조 분석하였다. 本文在第二語言習得過程中,以中國北京語區和廣東語區的初級韓國語學習者為實驗對象,從實驗語音學的角度考察這兩個方言區學習者的韓國語單元音發音。通過分析對比韓國語,北京話,廣東話三者在語音上的相似性,觀察母語和第二語言的相似性對於中國這兩個方言區的學習者在韓國語單元音習得上的影響。本文的具體研究內容如下。 第一章,提出本文的研究目的,先行研究,以及研究方法。 第二章,通過對比韓國語,北京話和廣東話元音和音節結構,找出韓國語和這兩種方言各自的異同點。 第三章,首先介紹了元音間相似度的評價標準,為分析實驗結果做準備。為了分析韓國語單元音和北京話單元音,韓國語和廣東話單元音各自的相似度,選取了北京話方言和廣東話方言使用者各7名,韓國語使用者5名,以韓國語單元音/i/, /e/, /a/, /ɨ/, /u/, /o/, /ʌ/,北京話單元音/i/, /a/, /ɿ/, /ʅ/, /u/, /ɤ/,廣東話單元音/i/, /ɛ/, /a/, /u/, /ɔ/, /œ/為實驗內容,進行了發音實驗。 第四章,通過韓國語單元音發音實驗和韓國人聽取認知的調查實驗,對比分析中國北京語區和廣東語區韓國語學習者的韓國語單元音發音樣相。實驗對象是北京語區和廣東語區各7名新入學8個月的韓國語系同學。通過這兩個實驗,對比分析中國兩個地區的學習者由於作為母語的北京話,廣東話的單元音和韓國語單元音的各自不同的相似度對於這兩個地區的韓國語學習者在韓國語單元音習得上的影響,以及他們的習得現狀。 This study aims at investigating the phonetic similarity of Korean and Mandarin, Cantonese vowels and examining the ...

주제어

#한국어 단모음  #북경어권 한국어 학습자  #광동어권 한국어 학습자  #북경어 단모음  #광동어 단모음  #음성적 유사성  #음성산출실험  #한국인 청취인식실험 

학위논문 정보

저자 반설산
학위수여기관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학위구분 국내석사
학과 국어국문학과
지도교수 박기영
발행연도 2015
총페이지 ⅱ, 105 p.
키워드 한국어 단모음, 북경어권 한국어 학습자, 광동어권 한국어 학습자, 북경어 단모음, 광동어 단모음, 음성적 유사성, 음성산출실험, 한국인 청취인식실험
언어 kor
원문 URL http://www.riss.kr/link?id=T13665584&outLink=K
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