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유치원 교실 내 그림책 현황을 분석하여 유아들이 어떠한 그림책을 제공받고 있으며, 어떠한 점이 보완되어야 할지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 목적을 위해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 문제 1. 도서 영역 내 그림책 현황은 어떠한가? 1-1. 도서 영역 내 그림책 수는 어떠한가? 1-2. 도서 영역 내 그림책 장르는 어떠한가? 1-3. 도서 영역 내 그림책 출판년도는 어떠한가? 1-4. 도서 영역 내 그림책 국내 창작 여부는 어떠한가? 1-5. 도서 영역 내 그림책 교체율은 어떠한가? 1-6. 도서 영역 내 그림책 관련 소품은 어떠한가? 연구 문제 2. 교수 활동 내 그림책 현황은 어떠한가? 2-1. 교수 활동 내 그림책 수는 어떠한가? 2-2. 교수 활동 내 그림책 장르는 어떠한가? 2-3. 교수 활동 내 그림책 출판년도는 어떠한가? 2-4. 교수 활동 내 그림책 국내 창작 여부는 어떠한가? 이와 같은 연구 문제를 수행하기 위하여 담당 유아의 연령이 만 3,4,5세인 유치원 교사 각각 8명씩 총 24명의 교사를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교사를 대상으로 한 학기 동안의 교육계획안을 수집하였으며, 72회 교실을 방문하여 도서 영역에 비치되어 있는 그림책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교육계획안에 표기된 그림책 509권과 도서 영역에 비치된 그림책 931권을 ...
본 연구는 유치원 교실 내 그림책 현황을 분석하여 유아들이 어떠한 그림책을 제공받고 있으며, 어떠한 점이 보완되어야 할지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 목적을 위해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 문제 1. 도서 영역 내 그림책 현황은 어떠한가? 1-1. 도서 영역 내 그림책 수는 어떠한가? 1-2. 도서 영역 내 그림책 장르는 어떠한가? 1-3. 도서 영역 내 그림책 출판년도는 어떠한가? 1-4. 도서 영역 내 그림책 국내 창작 여부는 어떠한가? 1-5. 도서 영역 내 그림책 교체율은 어떠한가? 1-6. 도서 영역 내 그림책 관련 소품은 어떠한가? 연구 문제 2. 교수 활동 내 그림책 현황은 어떠한가? 2-1. 교수 활동 내 그림책 수는 어떠한가? 2-2. 교수 활동 내 그림책 장르는 어떠한가? 2-3. 교수 활동 내 그림책 출판년도는 어떠한가? 2-4. 교수 활동 내 그림책 국내 창작 여부는 어떠한가? 이와 같은 연구 문제를 수행하기 위하여 담당 유아의 연령이 만 3,4,5세인 유치원 교사 각각 8명씩 총 24명의 교사를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교사를 대상으로 한 학기 동안의 교육계획안을 수집하였으며, 72회 교실을 방문하여 도서 영역에 비치되어 있는 그림책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교육계획안에 표기된 그림책 509권과 도서 영역에 비치된 그림책 931권을 분석 대상으로 하여, 유아교육과 석사 과정에 재학 중인 2인과 함께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도서 영역 내 그림책 현황을 살펴보면, 먼저 도서 영역 내 그림책이 비치된 수는 만 3세는 평균 11.2권, 만 4세는 평균 12.3권, 만 5세는 평균 15.3권이 비치되어 연령이 높아짐에 따라 다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도서 영역 내 그림책 장르를 살펴보면, 모든 연령의 도서 영역에서 환상 동화가 가장 많이 제공되고 있었으나 그 외 장르별 경향성은 차이를 보였다. 그리고 연령별로 비교해본 결과, 논픽션과 전래 동화는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그 비율이 증가하였고, 운문 그림책은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그 비율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도서 영역에 비치된 그림책 장르들의 하위 유형을 기준으로 하여 연령별 차이를 살펴보았다. 환상 동화의 경우 모든 연령에서 하위 환상 동화가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사실동화와 논픽션의 경우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다양한 주제로 확장되었다. 전래동화의 경우 주로 민담, 우화만이 비치되어 다양한 유형의 전래동화가 비치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도서 영역 내 그림책의 출판 년도를 살펴보면, 2005년부터 2009년까지 출판된 그림책이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2000년~2004년, 2010년~2014년, 1995년~1999년, 1990년~1994년에 출판된 것 순으로 나타났다. 도서 영역 내 그림책 국내 창작여부를 살펴보면, 대부분의 유치원에서 국외 작가가 지은 그림책이 근소한 차이로 더 높은 비율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장르별로 국내 창작 여부를 분석한 결과, 장르에 따라 국내 작가 또는 국외 작가의 그림책 중 한 곳에 편중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도서 영역 내 그림책 교체율을 살펴본 결과, 평균적으로 80%이상의 높은 교체율을 보였다. 이에 상대적으로 교체율이 낮은 만 5세의 도서 영역 내 교체 되지 않는 그림책을 조사한 결과 정보그림책이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다. 도서 영역 내 그림책 관련 소품을 살펴본 결과, 연령이 증가 할수록 쓰기, 읽기와 관련된 소품이 증가하여 만 5세의 도서 영역에 쓰기 자료와 읽기 자료가 가장 많이 구비되어 있었다. 그리고 상대적으로 극 놀이 자료, 오디오 자료는 구비 율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수 활동 내 그림책 현황을 살펴보면, 먼저 한달 동안 교수 활동에서 활용한 그림책 수는 만 3세가 평균 4.8권으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만 5세 4.2권, 만 4세 3.8권으로 연령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리고 교수 활동에서 활용하는 동화 중 임의로 창작된 동화가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교수 활동 내 그림책 장르를 살펴보면, 모든 연령에서 환상 동화가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으나 그 외 장르별 경향성은 차이를 보였다. 이와 같은 교수 활동 내 그림책 장르들이 각각 어떠한 유형의 연령별 차이를 살펴본 결과, 먼저 환상 동화의 경우, 모든 연령에서 하위 환상 동화가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사실 동화의 경우 모든 연령에서 가족 관계를 소재로 한 그림책이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났다. 논픽션의 경우 정보그림책이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든 연령에서 전기가 활용되지 않았다. 전래동화의 경우 주로 민담, 우화가 활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수 활동 내 그림책의 출판 년도를 살펴보면, 2010년 ~ 2014년에 출판된 그림책이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내어 교수 활동에서 활용되는 그림책이 최근에 출판된 그림책을 많이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교수활동 내 그림책의 국내 창작 여부를 살펴보면, 근소한 차이로 국외 작가의 그림책이 더 많이 활용되고 있었으나 높은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유치원 별로 차이가 나타났다. 그리고 장르 별로 분석한 결과, 국내 작가와 국외 작가가 지은 그림책의 비율이 높은 차이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는 유치원 교실 내 그림책 현황을 분석하여 유아들이 어떠한 그림책을 제공받고 있으며, 어떠한 점이 보완되어야 할지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 목적을 위해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 문제 1. 도서 영역 내 그림책 현황은 어떠한가? 1-1. 도서 영역 내 그림책 수는 어떠한가? 1-2. 도서 영역 내 그림책 장르는 어떠한가? 1-3. 도서 영역 내 그림책 출판년도는 어떠한가? 1-4. 도서 영역 내 그림책 국내 창작 여부는 어떠한가? 1-5. 도서 영역 내 그림책 교체율은 어떠한가? 1-6. 도서 영역 내 그림책 관련 소품은 어떠한가? 연구 문제 2. 교수 활동 내 그림책 현황은 어떠한가? 2-1. 교수 활동 내 그림책 수는 어떠한가? 2-2. 교수 활동 내 그림책 장르는 어떠한가? 2-3. 교수 활동 내 그림책 출판년도는 어떠한가? 2-4. 교수 활동 내 그림책 국내 창작 여부는 어떠한가? 이와 같은 연구 문제를 수행하기 위하여 담당 유아의 연령이 만 3,4,5세인 유치원 교사 각각 8명씩 총 24명의 교사를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교사를 대상으로 한 학기 동안의 교육계획안을 수집하였으며, 72회 교실을 방문하여 도서 영역에 비치되어 있는 그림책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교육계획안에 표기된 그림책 509권과 도서 영역에 비치된 그림책 931권을 분석 대상으로 하여, 유아교육과 석사 과정에 재학 중인 2인과 함께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도서 영역 내 그림책 현황을 살펴보면, 먼저 도서 영역 내 그림책이 비치된 수는 만 3세는 평균 11.2권, 만 4세는 평균 12.3권, 만 5세는 평균 15.3권이 비치되어 연령이 높아짐에 따라 다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도서 영역 내 그림책 장르를 살펴보면, 모든 연령의 도서 영역에서 환상 동화가 가장 많이 제공되고 있었으나 그 외 장르별 경향성은 차이를 보였다. 그리고 연령별로 비교해본 결과, 논픽션과 전래 동화는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그 비율이 증가하였고, 운문 그림책은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그 비율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도서 영역에 비치된 그림책 장르들의 하위 유형을 기준으로 하여 연령별 차이를 살펴보았다. 환상 동화의 경우 모든 연령에서 하위 환상 동화가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사실동화와 논픽션의 경우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다양한 주제로 확장되었다. 전래동화의 경우 주로 민담, 우화만이 비치되어 다양한 유형의 전래동화가 비치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도서 영역 내 그림책의 출판 년도를 살펴보면, 2005년부터 2009년까지 출판된 그림책이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2000년~2004년, 2010년~2014년, 1995년~1999년, 1990년~1994년에 출판된 것 순으로 나타났다. 도서 영역 내 그림책 국내 창작여부를 살펴보면, 대부분의 유치원에서 국외 작가가 지은 그림책이 근소한 차이로 더 높은 비율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장르별로 국내 창작 여부를 분석한 결과, 장르에 따라 국내 작가 또는 국외 작가의 그림책 중 한 곳에 편중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도서 영역 내 그림책 교체율을 살펴본 결과, 평균적으로 80%이상의 높은 교체율을 보였다. 이에 상대적으로 교체율이 낮은 만 5세의 도서 영역 내 교체 되지 않는 그림책을 조사한 결과 정보그림책이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다. 도서 영역 내 그림책 관련 소품을 살펴본 결과, 연령이 증가 할수록 쓰기, 읽기와 관련된 소품이 증가하여 만 5세의 도서 영역에 쓰기 자료와 읽기 자료가 가장 많이 구비되어 있었다. 그리고 상대적으로 극 놀이 자료, 오디오 자료는 구비 율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수 활동 내 그림책 현황을 살펴보면, 먼저 한달 동안 교수 활동에서 활용한 그림책 수는 만 3세가 평균 4.8권으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만 5세 4.2권, 만 4세 3.8권으로 연령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리고 교수 활동에서 활용하는 동화 중 임의로 창작된 동화가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교수 활동 내 그림책 장르를 살펴보면, 모든 연령에서 환상 동화가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으나 그 외 장르별 경향성은 차이를 보였다. 이와 같은 교수 활동 내 그림책 장르들이 각각 어떠한 유형의 연령별 차이를 살펴본 결과, 먼저 환상 동화의 경우, 모든 연령에서 하위 환상 동화가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사실 동화의 경우 모든 연령에서 가족 관계를 소재로 한 그림책이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났다. 논픽션의 경우 정보그림책이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든 연령에서 전기가 활용되지 않았다. 전래동화의 경우 주로 민담, 우화가 활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수 활동 내 그림책의 출판 년도를 살펴보면, 2010년 ~ 2014년에 출판된 그림책이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내어 교수 활동에서 활용되는 그림책이 최근에 출판된 그림책을 많이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교수활동 내 그림책의 국내 창작 여부를 살펴보면, 근소한 차이로 국외 작가의 그림책이 더 많이 활용되고 있었으나 높은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유치원 별로 차이가 나타났다. 그리고 장르 별로 분석한 결과, 국내 작가와 국외 작가가 지은 그림책의 비율이 높은 차이를 나타내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tatus of picture books in kindergarten classrooms and then determine what kinds of picture books are provided to young children and what should be complemented. To acquire the purpose of the study, study questions are follows: 1. What is the status of...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tatus of picture books in kindergarten classrooms and then determine what kinds of picture books are provided to young children and what should be complemented. To acquire the purpose of the study, study questions are follows: 1. What is the status of the picture books in the book area? 1-1. how many picture books are in the book area? 1-2. What are the genres of the picture books in the book area? 1-3. In what years were the picture books in the book area published? 1-4. Were the picture books in the book area domestically created? 1-5. What is the replacement rate of the picture books in the book area? 1-6. Are the props related to the picture books in the book area? 2. What is the status of the picture books within the scope of teaching activities? 2-1. how many picture books are within the scope of teaching activities? 2-2. What are the genres of the picture books within the scope of teaching activities? 2-3. In what years were the picture books within the scope of teaching activities published? 2-4. Were the picture books within the scope of teaching activities domestically created? To find the answer to these study questions, This study selected for the study a total of 24 kindergarten teachers, every 8 of whom was in charge of children 3, 4, and 5 years old. I collected teaching plans for one semester from the teachers, and visited the classrooms 72 times to examine the picture books displayed in the book area. After that, I analyzed 509 picture books mentioned in the teaching plans and 931 picture books in the book area with two graduate students who were attending master's degree courses in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o summarize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number of the picture books in the book area was an average of 11.2 for children 3 years old, an average of 12.3 for children 4 years old, and an average of 15.3 for children 5 years old, indicating that the number of the books got somewhat lager as the children become older. In regard of the genres of the picture books in the book area, fantasy fairy tales were provided the most to the children of all the ages, while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trend for other genres. The results of a comparison by age showed that the proportion of non-fictions and traditional fairy tales increased as the children became older, while that of the picture books carrying verses decreased. Thus, based on the subtypes of the genres of the picture books in the book area, we looked into the difference according to age groups. For all the age groups, tales of the pure imagination had the highest portion in the displayed books. In the case of Realistic Picture Books and non-fictions, the themes became diversified as the children became older. Regarding traditional fairy tales, folk tales and fables were chiefly displayed, indicating a lack of the diversity in the types of traditional fairy tales displayed in the book area. As for the publishing years of the picture books in the book area, the books published from 2005 to 2009 were largest in number, followed by those published from 2000 to 2004, from 2010 to 2014, from 1995 to 1999, and from 1990 to 1994 in order. Looking into whether the picture books in the book area were domestically created, we found out that the picture books by foreign writers had a slightly higher portion in most of the kindergartens. However, the results of the analysis by genre showed an unevenness in the proportions of the picture books created by either Korean writers or foreign writers. The replacement rate of the picture books in the book area was more than 80% on the average, while the information picture books were found to be highest in proportion among the books not replaced for the children 5 years old. In the case of the props related to the picture books in the book area, props related to reading and writing were found to be increased as the children got older. The reading and writing materials for 5 years old years the largest in number while the display rate of drama play and audio materials was relatively low. Second, the number of the picture books within teaching activities was an average of 4.8 for children 3 years old, an average of 3.8 for children 4 years old, and an average of 4.2 for children 5 years old. concerning the status of the picture books within teaching activities, the ones randomly created were found to be largest in number among those books used in the activities. In regard of the genres of the picture books within teaching activities, fantasy fairy tales were provided the most to the children of all the ages, while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trend for other genres. For all the age groups, tales of the pure imagination had the highest portion. In the case of non-fictions, information picture books was the most utilized one. but not every age use the biography. Regarding traditional fairy tales, folk tales and fables were chiefly used, indicating a lack of the diversity in the types of traditional fairy tales. Regarding the publishing years of the picture books within teaching activities, those published from 2010 to 2014 were found to be largest in number, indicating that teaching activities involved much use of recently published picture books. Looking into whether the picture books within teaching activities were domestically created, we found out that the picture books by foreign writers had a slightly higher portion in most of the kindergartens. However, the results of the analysis by genre showed an unevenness in the proportions of the picture books created by either Korean writers or foreign writ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tatus of picture books in kindergarten classrooms and then determine what kinds of picture books are provided to young children and what should be complemented. To acquire the purpose of the study, study questions are follows: 1. What is the status of the picture books in the book area? 1-1. how many picture books are in the book area? 1-2. What are the genres of the picture books in the book area? 1-3. In what years were the picture books in the book area published? 1-4. Were the picture books in the book area domestically created? 1-5. What is the replacement rate of the picture books in the book area? 1-6. Are the props related to the picture books in the book area? 2. What is the status of the picture books within the scope of teaching activities? 2-1. how many picture books are within the scope of teaching activities? 2-2. What are the genres of the picture books within the scope of teaching activities? 2-3. In what years were the picture books within the scope of teaching activities published? 2-4. Were the picture books within the scope of teaching activities domestically created? To find the answer to these study questions, This study selected for the study a total of 24 kindergarten teachers, every 8 of whom was in charge of children 3, 4, and 5 years old. I collected teaching plans for one semester from the teachers, and visited the classrooms 72 times to examine the picture books displayed in the book area. After that, I analyzed 509 picture books mentioned in the teaching plans and 931 picture books in the book area with two graduate students who were attending master's degree courses in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o summarize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number of the picture books in the book area was an average of 11.2 for children 3 years old, an average of 12.3 for children 4 years old, and an average of 15.3 for children 5 years old, indicating that the number of the books got somewhat lager as the children become older. In regard of the genres of the picture books in the book area, fantasy fairy tales were provided the most to the children of all the ages, while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trend for other genres. The results of a comparison by age showed that the proportion of non-fictions and traditional fairy tales increased as the children became older, while that of the picture books carrying verses decreased. Thus, based on the subtypes of the genres of the picture books in the book area, we looked into the difference according to age groups. For all the age groups, tales of the pure imagination had the highest portion in the displayed books. In the case of Realistic Picture Books and non-fictions, the themes became diversified as the children became older. Regarding traditional fairy tales, folk tales and fables were chiefly displayed, indicating a lack of the diversity in the types of traditional fairy tales displayed in the book area. As for the publishing years of the picture books in the book area, the books published from 2005 to 2009 were largest in number, followed by those published from 2000 to 2004, from 2010 to 2014, from 1995 to 1999, and from 1990 to 1994 in order. Looking into whether the picture books in the book area were domestically created, we found out that the picture books by foreign writers had a slightly higher portion in most of the kindergartens. However, the results of the analysis by genre showed an unevenness in the proportions of the picture books created by either Korean writers or foreign writers. The replacement rate of the picture books in the book area was more than 80% on the average, while the information picture books were found to be highest in proportion among the books not replaced for the children 5 years old. In the case of the props related to the picture books in the book area, props related to reading and writing were found to be increased as the children got older. The reading and writing materials for 5 years old years the largest in number while the display rate of drama play and audio materials was relatively low. Second, the number of the picture books within teaching activities was an average of 4.8 for children 3 years old, an average of 3.8 for children 4 years old, and an average of 4.2 for children 5 years old. concerning the status of the picture books within teaching activities, the ones randomly created were found to be largest in number among those books used in the activities. In regard of the genres of the picture books within teaching activities, fantasy fairy tales were provided the most to the children of all the ages, while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trend for other genres. For all the age groups, tales of the pure imagination had the highest portion. In the case of non-fictions, information picture books was the most utilized one. but not every age use the biography. Regarding traditional fairy tales, folk tales and fables were chiefly used, indicating a lack of the diversity in the types of traditional fairy tales. Regarding the publishing years of the picture books within teaching activities, those published from 2010 to 2014 were found to be largest in number, indicating that teaching activities involved much use of recently published picture books. Looking into whether the picture books within teaching activities were domestically created, we found out that the picture books by foreign writers had a slightly higher portion in most of the kindergartens. However, the results of the analysis by genre showed an unevenness in the proportions of the picture books created by either Korean writers or foreign writers.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