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선행연구에서 대둔근과 중둔근 강화로 제시된 동작들의 근활성도를 측정하여 효과적인 대둔근과 중둔근 강화 동작들을 선별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요통 혹은 하지의 통증을 가지고 있거나, 실험참가 전 3개월 이내 요통 및 하지의 통증으로 인한 투약이나 물리치료를 받은 경험이 있는 환자, 중추 또는 말초신경에 병변이 있는 환자 등은 제외한 건강한 20대 남성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신체조성과 대둔근과 중둔근의 최대 등척성수축(maximal voluntary isometric contraction; MVIC)을 측정한 후 20가지 운동의 ...
본 연구의 목적은 선행연구에서 대둔근과 중둔근 강화로 제시된 동작들의 근활성도를 측정하여 효과적인 대둔근과 중둔근 강화 동작들을 선별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요통 혹은 하지의 통증을 가지고 있거나, 실험참가 전 3개월 이내 요통 및 하지의 통증으로 인한 투약이나 물리치료를 받은 경험이 있는 환자, 중추 또는 말초신경에 병변이 있는 환자 등은 제외한 건강한 20대 남성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신체조성과 대둔근과 중둔근의 최대 등척성수축(maximal voluntary isometric contraction; MVIC)을 측정한 후 20가지 운동의 근전도를 측정하여 %MVIC를 측정하였다. 측정결과는 spss18.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평균값과 표준편차 값을 구한 후 근활성도의 크기에 따른 순위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둔근 운동 시 %MVIC를 살펴본 결과 mat CKC 동작 중 front plank with hip extension은 82%로 가장 높은 대둔근의 활성도를 나타내었고, side plank with abduction, DLD는 78%로 두 번째로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으며, standing CKC 동작 중 dynamic leg swing가 76%로 세 번째로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중둔근 운동시 %MVIC를 살펴본 결과 mat OKC 동작 중clamshell 4이 81%로 가장 높은 중둔근의 활성도를 나타내었고, clamshell 3은 81%로 두 번째로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으며, mat CKC 동작 중 side plank with abduction DLU가 79%로 세 번째로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연구 결과를 종합해 봤을 때 대둔근 및 중둔근 근력강화를 위한 운동 프로그램에 효과적인 동작은 mat에서 실시하는 CKC 동작들이 대둔근에서 높은 근활성도를 나타내었고, 중둔근은 mat에서 실시하는 OKC 동작 중 clamshell이 높은 근활성도를 나타내었지만, 전반적으로 mat CKC 동작에서 대둔근과 마찬가지로 높은 근활성도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선행연구들에서 대둔근과 중둔근을 강화하는 효과적이라고 제시한 동작들과 다소 차이가 있으나 이 연구에서는 mat CKC 동작들이 전반적으로 높은 근활성도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대둔근과 중둔근의 강화를 위한 동작들은 mat에서의 CKC 동작이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반면, 본 연구에서 피험자들의 성별과 고관절 관절가동 범위와 Q각의 차이를 고려하지 못하였으며 추후 이러한 변인들에 의한 근활성도 차이를 비교한 연구도 필요할 것으로 제시하는 바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선행연구에서 대둔근과 중둔근 강화로 제시된 동작들의 근활성도를 측정하여 효과적인 대둔근과 중둔근 강화 동작들을 선별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요통 혹은 하지의 통증을 가지고 있거나, 실험참가 전 3개월 이내 요통 및 하지의 통증으로 인한 투약이나 물리치료를 받은 경험이 있는 환자, 중추 또는 말초신경에 병변이 있는 환자 등은 제외한 건강한 20대 남성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신체조성과 대둔근과 중둔근의 최대 등척성수축(maximal voluntary isometric contraction; MVIC)을 측정한 후 20가지 운동의 근전도를 측정하여 %MVIC를 측정하였다. 측정결과는 spss18.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평균값과 표준편차 값을 구한 후 근활성도의 크기에 따른 순위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둔근 운동 시 %MVIC를 살펴본 결과 mat CKC 동작 중 front plank with hip extension은 82%로 가장 높은 대둔근의 활성도를 나타내었고, side plank with abduction, DLD는 78%로 두 번째로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으며, standing CKC 동작 중 dynamic leg swing가 76%로 세 번째로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중둔근 운동시 %MVIC를 살펴본 결과 mat OKC 동작 중clamshell 4이 81%로 가장 높은 중둔근의 활성도를 나타내었고, clamshell 3은 81%로 두 번째로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으며, mat CKC 동작 중 side plank with abduction DLU가 79%로 세 번째로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연구 결과를 종합해 봤을 때 대둔근 및 중둔근 근력강화를 위한 운동 프로그램에 효과적인 동작은 mat에서 실시하는 CKC 동작들이 대둔근에서 높은 근활성도를 나타내었고, 중둔근은 mat에서 실시하는 OKC 동작 중 clamshell이 높은 근활성도를 나타내었지만, 전반적으로 mat CKC 동작에서 대둔근과 마찬가지로 높은 근활성도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선행연구들에서 대둔근과 중둔근을 강화하는 효과적이라고 제시한 동작들과 다소 차이가 있으나 이 연구에서는 mat CKC 동작들이 전반적으로 높은 근활성도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대둔근과 중둔근의 강화를 위한 동작들은 mat에서의 CKC 동작이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반면, 본 연구에서 피험자들의 성별과 고관절 관절가동 범위와 Q각의 차이를 고려하지 못하였으며 추후 이러한 변인들에 의한 근활성도 차이를 비교한 연구도 필요할 것으로 제시하는 바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op exercises from several other commonly performed clinical exercise to determine which exercises recruit the gluteus maximus and gluteus medius, most effectively. Twenty healthy subjects who has not suffered from low back pain(LBP) or lower extremity pain(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op exercises from several other commonly performed clinical exercise to determine which exercises recruit the gluteus maximus and gluteus medius, most effectively. Twenty healthy subjects who has not suffered from low back pain(LBP) or lower extremity pain(LEP), took medications or has a experience of physiotherapy due to LBP or LEP, or who have lesions of central nervous system or peripheral nerve in 3 months prior to participating this experiment. participated in this study. Body composition and the MVIC of the gluteus maximus and gluteus medius were measured and then the electromyography of the 20 kinds of motion was measured and then %MVIC was calculated. The measured result was calculated and the value of the standard deviation of the average value by using the SPSS 18.0 statistical program. Then, the ranking wa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value of the muscle activity. Analysis of the ranking was as follows. Three of the exercises produced greater than 70%MVIC of the gluteus maximus muscle. In rank order from highest electromyograph(EMG) value to lowest, these exercises were: front plank with hip extension(82%MVIC), side plank with abduction dominant leg down(78%MVIC), and dynamic leg swing(76%MVIC). Three of the exercises recruited gluteus medius with values greater than 70%MVIC. In rank order from highest EMG value to lowest, these exercises were: clamshell4(81%MVIC), clamshell3(81%MVIC), and side plank with abduction dominant leg up(79%MVIC). In the conclusion, higher %MVIC values with exercises correlate to muscle hypertrophy and strengthening. Higher %MVIC values in gluteus maximus during mat CKC exercise and in gluteus medius during clamshell exercise. However, higher %MVIC values in gluteus maximus and medius generally showed during mat CKC exercise. Theses results are different from the previous studies that the increase in the muscle activity during mat CKC exercise. Therefore, we suggested that mat CKC exercise may be effective for the strengthening of the gluteus maximus and gluteus medius. On the other hand, the gender and the hip joint range of motion of the subjects in this study did not take into account the Q-angle. Future research should examine the differences in these variabl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op exercises from several other commonly performed clinical exercise to determine which exercises recruit the gluteus maximus and gluteus medius, most effectively. Twenty healthy subjects who has not suffered from low back pain(LBP) or lower extremity pain(LEP), took medications or has a experience of physiotherapy due to LBP or LEP, or who have lesions of central nervous system or peripheral nerve in 3 months prior to participating this experiment. participated in this study. Body composition and the MVIC of the gluteus maximus and gluteus medius were measured and then the electromyography of the 20 kinds of motion was measured and then %MVIC was calculated. The measured result was calculated and the value of the standard deviation of the average value by using the SPSS 18.0 statistical program. Then, the ranking wa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value of the muscle activity. Analysis of the ranking was as follows. Three of the exercises produced greater than 70%MVIC of the gluteus maximus muscle. In rank order from highest electromyograph(EMG) value to lowest, these exercises were: front plank with hip extension(82%MVIC), side plank with abduction dominant leg down(78%MVIC), and dynamic leg swing(76%MVIC). Three of the exercises recruited gluteus medius with values greater than 70%MVIC. In rank order from highest EMG value to lowest, these exercises were: clamshell4(81%MVIC), clamshell3(81%MVIC), and side plank with abduction dominant leg up(79%MVIC). In the conclusion, higher %MVIC values with exercises correlate to muscle hypertrophy and strengthening. Higher %MVIC values in gluteus maximus during mat CKC exercise and in gluteus medius during clamshell exercise. However, higher %MVIC values in gluteus maximus and medius generally showed during mat CKC exercise. Theses results are different from the previous studies that the increase in the muscle activity during mat CKC exercise. Therefore, we suggested that mat CKC exercise may be effective for the strengthening of the gluteus maximus and gluteus medius. On the other hand, the gender and the hip joint range of motion of the subjects in this study did not take into account the Q-angle. Future research should examine the differences in these variables.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