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 언어 또는 외국어로서 한국어를 배우고자 하는 학습자는 대부분 성인 학습자이며, 성인 학습자가 발음을 학습할 때 모국어의 간섭이 많이 일어난다. 효율적인 발음 교육을 위해서 학습자의 모국어와 목표어인 한국어 간의 공통점 및 차이점을 이해하고 교수하면 학습자들의 외국어 학습 효과가 높아질 수 있다. 최근 국 · 내외에서 한국어를 배우려는 스페인어권 학습자의 수는 매년 증가하고 있으나, 한국어 교육 분야에서 스페인어권 학습자의 특성을 고려한 연구는 매우 부족하다. 특히 음향음성학적 측면에서 스페인어권 학습자의 한국어 발음 연구는 아직까지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본고는 음향음성학 실험을 통해 한국인과 스페인어권 학습자가 발음한 한국어 평음, 경음, 격음의 음향적 특성을 밝히고, 청취음성학 측면에서 학습자가 발음한 한국어 파열음과 파찰음의 정확성 여부는 산출 평가 실험을 통해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대조 분석 가설의 대표적인 이론인 Prator(1967)의 난이도 위계, Eckman(1977 외)의 유표 차이 가설을 근거로 학습자가 어려워하는 한국어 음운을 예측해보고, 제2 언어 음성 습득 이론 중에서 Best 외(2007)의 수정 지각동화모형(PAM-L2)과 Flege(1995)의 음성학습모형(...
제2 언어 또는 외국어로서 한국어를 배우고자 하는 학습자는 대부분 성인 학습자이며, 성인 학습자가 발음을 학습할 때 모국어의 간섭이 많이 일어난다. 효율적인 발음 교육을 위해서 학습자의 모국어와 목표어인 한국어 간의 공통점 및 차이점을 이해하고 교수하면 학습자들의 외국어 학습 효과가 높아질 수 있다. 최근 국 · 내외에서 한국어를 배우려는 스페인어권 학습자의 수는 매년 증가하고 있으나, 한국어 교육 분야에서 스페인어권 학습자의 특성을 고려한 연구는 매우 부족하다. 특히 음향음성학적 측면에서 스페인어권 학습자의 한국어 발음 연구는 아직까지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본고는 음향음성학 실험을 통해 한국인과 스페인어권 학습자가 발음한 한국어 평음, 경음, 격음의 음향적 특성을 밝히고, 청취음성학 측면에서 학습자가 발음한 한국어 파열음과 파찰음의 정확성 여부는 산출 평가 실험을 통해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대조 분석 가설의 대표적인 이론인 Prator(1967)의 난이도 위계, Eckman(1977 외)의 유표 차이 가설을 근거로 학습자가 어려워하는 한국어 음운을 예측해보고, 제2 언어 음성 습득 이론 중에서 Best 외(2007)의 수정 지각동화모형(PAM-L2)과 Flege(1995)의 음성학습모형(SLM)을 근거로 학습자가 한국어 음성 습득에 있어서 어떤 음성 범주의 성립이 쉽거나 어려운지 예측하였다. 이는 스페인어권 학습자의 한국어 발음 산출 실험을 통해 한국인의 발음과 비교하여 음향적 특성에 따른 발음 양상을 검토하고, 정확도 평가 실험을 통해 학습자의 한국어 발음의 난이점을 검증하였다.
음향음성학적 실험은 한국인 9명과 스페인어권 학습자 9명을 대상으로 한국어 파열음과 파찰음의 평음 /ㅂ, ㄷ, ㄱ, ㅈ/, 경음 /ㅃ, ㄸ, ㄲ, ㅉ/, 격음 /ㅍ, ㅌ, ㅋ, ㅊ/ 발음에 대한 물리적 수치를 측정하고 분석하였다.
스페인어권 학습자의 한국어 발음에서 음향적 특성을 살펴보면, 한국어 파열음의 경우 학습자가 발음한 격음의 성대진동시작시간(VOT) 길이가 짧아져 경음의 음향적 자질의 성격을 띠었다. 이는 학습자 모국어에는 기식음이 없어 무성 유기음(격음)을 무성 무기음(경음)의 자질과 비슷하게 발화한 것이다. 학습자가 발음한 자음의 후행 모음 음높이(Pitch) 값은 여성 화자의 경우 어두 위치 및 어중 위치 모두 매우 유의미하지 않았고, 남성 화자의 경우 어두 위치에서 삼중 대립 간 유의미한 결과가 나왔으며 어중 위치에서는 평음과 경음 간 대립만이 유의하지 않았다. 학습자의 모국어의 경우 유 · 무성의 대립으로 VOT 값이 음소 구별의 중요한 단서이기 때문에 Pitch는 상대적으로 음소 구별의 중요한 단서로 활용되지 않았다. 또한 폐쇄지속시간(CD) 값은 학습자 남녀 화자 모두 경음과 격음을 물리적으로 전혀 구별하지 못하여 두 음소를 구별하는 단서로 전혀 활용되지 않았다. 한국어 파열음의 산출 평가 실험에서 학습자는 ‘경음>평음>격음’ 순으로 발음을 정확하게 하였다. 스페인어와 음성적으로 유사한 한국어 평음 /ㅂ, ㄷ, ㄱ/과 경음 /ㅃ, ㄸ, ㄲ/의 발음은 상대적으로 정확하게 하였지만 대응되지 않는 음소인 격음 /ㅍ, ㅌ, ㅋ/의 발음은 정확도가 낮았다.
스페인어권 학습자가 발음한 한국어 파찰음의 경우 경음의 VOT 값이 길어짐으로써 평음의 VOT 값과 비슷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평음과 경음의 구별에 있어서 VOT는 중요한 단서가 아니었다. Pitch 값은 학습자 남녀 화자 모두 삼중 대립 간 유의미하지 않아서 학습자에게는 Pitch가 한국어 세 음소를 구별하는 단서로 전혀 활용되지 못했다. CD 값은 파열음과 마찬가지로 경음과 격음 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서 두 음소를 변별하는 기준이 되지 못했다. 한국어 파찰음의 산출 평가 실험에서 학습자는 ‘격음>경음>평음’ 순으로 발음을 정확하게 하였다. 스페인어와 음성적으로 유사한 한국어 격음 /ㅊ/의 발음은 상대적으로 정확하게 하였지만 대응되지 않는 음소인 평음 /ㅈ/과 경음 /ㅉ/의 발음은 어려워하고 구별하여 발음하지 못했다.
본 연구는 그동안 스페인어권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음향음성학적 발음 연구가 이루어진 바가 없었기 때문에 스페인어권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한국어 평음, 경음, 격음 발음 교육의 기초 자료로 제공될 수 있다는 데 큰 의의가 있다. 본고의 음향음성학적 연구는 스페인어권 학습자의 한국어 발음에 대한 음향적 특성을 이해하고 진단하여, 그에 맞는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발음 연구 및 지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Korean second and foreign language learners are mostly adults. When adult learners study L2 pronunciation it is influenced by the learners’ native language, This is referred to as L1 negative transfer. Therefore, it could be raised the students’ learning effect is about contrasting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students’ L1 and L2 language for effective pronunciation education. The number of Korean Foreign Language(KFL) learners who speak the Spanish language in Korea and overseas increases every year. However there is a lack of studies on the characteristics of Spanish language speakers in field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re is no research yet dealing with the acoustic and phonetic analysis produced by Spanish language speakers in fields of Korean pronunciation education.
Therefore this study is aimed to examine the acoust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lax /ㅂ, ㄷ, ㄱ, ㅈ/, tense /ㅃ, ㄸ, ㄲ, ㅉ/ and aspirated /ㅍ, ㅌ, ㅋ, ㅊ/ produced by Spanish language learners based on perspective acoustic phonetics. This paper analyzes the accuracy of learners’ pronunciation of Korean stops and affricate consonants with the results of production evaluation experiments based on the perspective auditory phonetics.
There are representatives theories based on this field of study. The study can be viewed from the point of view of Contrastive Analysis Hypothesis, such as Clifford Prator(1967)’s Hierarchy of difficulty and Fred Eckman(1977, et al.)‘s Markedness differential hypothesis. Other theories from the point of view of L2 phone acquisition, include Best(2007)’s PAM-L2 and Flege(1985)’s SLM. Through the theories it is possible to derive the phonological and phonetical difficulties that Spanish-speaking KFL learners may encounter. It could be applied to make it possible to predict their difficulties in Korean language acquisition. It would verify hypothesis on acoustic phonetics and production evaluation analysis.
Acoustic phonetics experiments were conducted on the production of Korean lax, tense and aspirated consonants(stops and affricates). The experiments were conducted with nine Korean native speakers and nine Spanish language speakers with a basic level of Korean.
According to the acoustic phonetics analysis of Korean stops, students produced short lag Voice Onset Time(VOT). The short lag VOT is a feature of Korean tense stops. It may be considered that there is no aspirated consonant in their L1 language so they pronounced unaspirated voiceless stops(tense) instead of aspirated voiceless stops(aspirated). For Pitch value, the results a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female speakers in the word-initial and word-medial position. For male speakers, it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between the three-categories of Korean stops in the word-initial position but it is not significant between lax and tense stops in the word-medial position. VOT is a way to differentiate Spanish stops(voiced vs. voiceless). For this reason Pitch is not relatively an important clue to differentiate consonants. Additionally, Closure Duration(CD) value is not entirely useful in differentiating Korean tense and aspirated stops for female and male speakers. In the production evaluation analysis, students’ pronunciation is clearer in the order of tense, lax then aspirated. They pronounced lax /ㅂ, ㄷ, ㄱ/ and tense /ㅃ, ㄸ, ㄲ/ stops more accurately than aspirated /ㅍ, ㅌ, ㅋ/. Korean lax and tense stops are acoustically similar sounds of Spanish voiced /b, d, g/ and voiceless stops /p, t, k/. While Korean aspirated stops do not correspond with any Spanish phonetic.
According to acoustic phonetics analysis of Korean affricates, students produced long lag VOT of tense and the value is shown similarly to lax’s VOT value. For this reason, VOT value is not useful to differentiate Korean tense and aspirated affricates. In addition, for Pitch value for male and female speakers the results a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word-initial and word-medial position. For Spanish-speaking learners Pitch is not an important clue acoustically to differentiate three categories of Korean affricates. The Closure Duration(CD) value is not entirely useful to differentiate Korean tense and aspirated affricates and Korean stops for male and female speakers. In the production evaluation analysis, students can better pronounce in order of aspirated, tense then lax. They pronounced aspirated affricate /ㅊ/ more accurately than lax /ㅈ/ and tense /ㅉ/. The Korean aspirated affricate is an acoustically similar sound to Spanish affricate /ĉ(ʧ)/. Korean lax and tense affricates do not correspond with any Spanish sound. Thus students find it difficult to pronounce them.
This study is significant for providing basic materials of Korean language pronunciation education about Korean lax, tense, and aspirated consonants for Spanish language speakers. It is highly meaningful because a acoustic and phonetic study on the acquisition of Korean language for Spanish language speakers has never been done before. This acoustic and phonetic study contribute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and assess acoustic phonetics features of Spanish language speakers’ Korean pronunciation. It serves as objective and scientific research in the teaching of Koran pronunciation for them.
제2 언어 또는 외국어로서 한국어를 배우고자 하는 학습자는 대부분 성인 학습자이며, 성인 학습자가 발음을 학습할 때 모국어의 간섭이 많이 일어난다. 효율적인 발음 교육을 위해서 학습자의 모국어와 목표어인 한국어 간의 공통점 및 차이점을 이해하고 교수하면 학습자들의 외국어 학습 효과가 높아질 수 있다. 최근 국 · 내외에서 한국어를 배우려는 스페인어권 학습자의 수는 매년 증가하고 있으나, 한국어 교육 분야에서 스페인어권 학습자의 특성을 고려한 연구는 매우 부족하다. 특히 음향음성학적 측면에서 스페인어권 학습자의 한국어 발음 연구는 아직까지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본고는 음향음성학 실험을 통해 한국인과 스페인어권 학습자가 발음한 한국어 평음, 경음, 격음의 음향적 특성을 밝히고, 청취음성학 측면에서 학습자가 발음한 한국어 파열음과 파찰음의 정확성 여부는 산출 평가 실험을 통해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대조 분석 가설의 대표적인 이론인 Prator(1967)의 난이도 위계, Eckman(1977 외)의 유표 차이 가설을 근거로 학습자가 어려워하는 한국어 음운을 예측해보고, 제2 언어 음성 습득 이론 중에서 Best 외(2007)의 수정 지각동화모형(PAM-L2)과 Flege(1995)의 음성학습모형(SLM)을 근거로 학습자가 한국어 음성 습득에 있어서 어떤 음성 범주의 성립이 쉽거나 어려운지 예측하였다. 이는 스페인어권 학습자의 한국어 발음 산출 실험을 통해 한국인의 발음과 비교하여 음향적 특성에 따른 발음 양상을 검토하고, 정확도 평가 실험을 통해 학습자의 한국어 발음의 난이점을 검증하였다.
음향음성학적 실험은 한국인 9명과 스페인어권 학습자 9명을 대상으로 한국어 파열음과 파찰음의 평음 /ㅂ, ㄷ, ㄱ, ㅈ/, 경음 /ㅃ, ㄸ, ㄲ, ㅉ/, 격음 /ㅍ, ㅌ, ㅋ, ㅊ/ 발음에 대한 물리적 수치를 측정하고 분석하였다.
스페인어권 학습자의 한국어 발음에서 음향적 특성을 살펴보면, 한국어 파열음의 경우 학습자가 발음한 격음의 성대진동시작시간(VOT) 길이가 짧아져 경음의 음향적 자질의 성격을 띠었다. 이는 학습자 모국어에는 기식음이 없어 무성 유기음(격음)을 무성 무기음(경음)의 자질과 비슷하게 발화한 것이다. 학습자가 발음한 자음의 후행 모음 음높이(Pitch) 값은 여성 화자의 경우 어두 위치 및 어중 위치 모두 매우 유의미하지 않았고, 남성 화자의 경우 어두 위치에서 삼중 대립 간 유의미한 결과가 나왔으며 어중 위치에서는 평음과 경음 간 대립만이 유의하지 않았다. 학습자의 모국어의 경우 유 · 무성의 대립으로 VOT 값이 음소 구별의 중요한 단서이기 때문에 Pitch는 상대적으로 음소 구별의 중요한 단서로 활용되지 않았다. 또한 폐쇄지속시간(CD) 값은 학습자 남녀 화자 모두 경음과 격음을 물리적으로 전혀 구별하지 못하여 두 음소를 구별하는 단서로 전혀 활용되지 않았다. 한국어 파열음의 산출 평가 실험에서 학습자는 ‘경음>평음>격음’ 순으로 발음을 정확하게 하였다. 스페인어와 음성적으로 유사한 한국어 평음 /ㅂ, ㄷ, ㄱ/과 경음 /ㅃ, ㄸ, ㄲ/의 발음은 상대적으로 정확하게 하였지만 대응되지 않는 음소인 격음 /ㅍ, ㅌ, ㅋ/의 발음은 정확도가 낮았다.
스페인어권 학습자가 발음한 한국어 파찰음의 경우 경음의 VOT 값이 길어짐으로써 평음의 VOT 값과 비슷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평음과 경음의 구별에 있어서 VOT는 중요한 단서가 아니었다. Pitch 값은 학습자 남녀 화자 모두 삼중 대립 간 유의미하지 않아서 학습자에게는 Pitch가 한국어 세 음소를 구별하는 단서로 전혀 활용되지 못했다. CD 값은 파열음과 마찬가지로 경음과 격음 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서 두 음소를 변별하는 기준이 되지 못했다. 한국어 파찰음의 산출 평가 실험에서 학습자는 ‘격음>경음>평음’ 순으로 발음을 정확하게 하였다. 스페인어와 음성적으로 유사한 한국어 격음 /ㅊ/의 발음은 상대적으로 정확하게 하였지만 대응되지 않는 음소인 평음 /ㅈ/과 경음 /ㅉ/의 발음은 어려워하고 구별하여 발음하지 못했다.
본 연구는 그동안 스페인어권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음향음성학적 발음 연구가 이루어진 바가 없었기 때문에 스페인어권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한국어 평음, 경음, 격음 발음 교육의 기초 자료로 제공될 수 있다는 데 큰 의의가 있다. 본고의 음향음성학적 연구는 스페인어권 학습자의 한국어 발음에 대한 음향적 특성을 이해하고 진단하여, 그에 맞는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발음 연구 및 지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Korean second and foreign language learners are mostly adults. When adult learners study L2 pronunciation it is influenced by the learners’ native language, This is referred to as L1 negative transfer. Therefore, it could be raised the students’ learning effect is about contrasting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students’ L1 and L2 language for effective pronunciation education. The number of Korean Foreign Language(KFL) learners who speak the Spanish language in Korea and overseas increases every year. However there is a lack of studies on the characteristics of Spanish language speakers in field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re is no research yet dealing with the acoustic and phonetic analysis produced by Spanish language speakers in fields of Korean pronunciation education.
Therefore this study is aimed to examine the acoust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lax /ㅂ, ㄷ, ㄱ, ㅈ/, tense /ㅃ, ㄸ, ㄲ, ㅉ/ and aspirated /ㅍ, ㅌ, ㅋ, ㅊ/ produced by Spanish language learners based on perspective acoustic phonetics. This paper analyzes the accuracy of learners’ pronunciation of Korean stops and affricate consonants with the results of production evaluation experiments based on the perspective auditory phonetics.
There are representatives theories based on this field of study. The study can be viewed from the point of view of Contrastive Analysis Hypothesis, such as Clifford Prator(1967)’s Hierarchy of difficulty and Fred Eckman(1977, et al.)‘s Markedness differential hypothesis. Other theories from the point of view of L2 phone acquisition, include Best(2007)’s PAM-L2 and Flege(1985)’s SLM. Through the theories it is possible to derive the phonological and phonetical difficulties that Spanish-speaking KFL learners may encounter. It could be applied to make it possible to predict their difficulties in Korean language acquisition. It would verify hypothesis on acoustic phonetics and production evaluation analysis.
Acoustic phonetics experiments were conducted on the production of Korean lax, tense and aspirated consonants(stops and affricates). The experiments were conducted with nine Korean native speakers and nine Spanish language speakers with a basic level of Korean.
According to the acoustic phonetics analysis of Korean stops, students produced short lag Voice Onset Time(VOT). The short lag VOT is a feature of Korean tense stops. It may be considered that there is no aspirated consonant in their L1 language so they pronounced unaspirated voiceless stops(tense) instead of aspirated voiceless stops(aspirated). For Pitch value, the results a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female speakers in the word-initial and word-medial position. For male speakers, it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between the three-categories of Korean stops in the word-initial position but it is not significant between lax and tense stops in the word-medial position. VOT is a way to differentiate Spanish stops(voiced vs. voiceless). For this reason Pitch is not relatively an important clue to differentiate consonants. Additionally, Closure Duration(CD) value is not entirely useful in differentiating Korean tense and aspirated stops for female and male speakers. In the production evaluation analysis, students’ pronunciation is clearer in the order of tense, lax then aspirated. They pronounced lax /ㅂ, ㄷ, ㄱ/ and tense /ㅃ, ㄸ, ㄲ/ stops more accurately than aspirated /ㅍ, ㅌ, ㅋ/. Korean lax and tense stops are acoustically similar sounds of Spanish voiced /b, d, g/ and voiceless stops /p, t, k/. While Korean aspirated stops do not correspond with any Spanish phonetic.
According to acoustic phonetics analysis of Korean affricates, students produced long lag VOT of tense and the value is shown similarly to lax’s VOT value. For this reason, VOT value is not useful to differentiate Korean tense and aspirated affricates. In addition, for Pitch value for male and female speakers the results a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word-initial and word-medial position. For Spanish-speaking learners Pitch is not an important clue acoustically to differentiate three categories of Korean affricates. The Closure Duration(CD) value is not entirely useful to differentiate Korean tense and aspirated affricates and Korean stops for male and female speakers. In the production evaluation analysis, students can better pronounce in order of aspirated, tense then lax. They pronounced aspirated affricate /ㅊ/ more accurately than lax /ㅈ/ and tense /ㅉ/. The Korean aspirated affricate is an acoustically similar sound to Spanish affricate /ĉ(ʧ)/. Korean lax and tense affricates do not correspond with any Spanish sound. Thus students find it difficult to pronounce them.
This study is significant for providing basic materials of Korean language pronunciation education about Korean lax, tense, and aspirated consonants for Spanish language speakers. It is highly meaningful because a acoustic and phonetic study on the acquisition of Korean language for Spanish language speakers has never been done before. This acoustic and phonetic study contribute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and assess acoustic phonetics features of Spanish language speakers’ Korean pronunciation. It serves as objective and scientific research in the teaching of Koran pronunciation for them.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