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식품알레르기 발생실태 및 학교급식 알레르기 유발식품 표시제에 대한 학부모 인식에 관한 연구 원문보기


이은주 (부산대학교 영양교육전공 국내석사)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경남 양산시에 소재한 병설유치원 및 초등학교 학생의 학부모를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식품알레르기 유병률 및 식품알레르기 특성실태 그리고 학교급식 알레르기 유발식품 표시제에 대한 인식등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568명의 학부모를 대상으로 1·2차로 나누어 설문지를 배부하여 최종 회수된 434부의 설문지를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통계는 IBM SPSS Statistics 21을 이용하여 분석 처리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식품알레르기 유병률은 최근 12개월 이내 알레르기를 경험한 현증군이 30명(8.1%), 알레르기를 경험하였으나 최근 12개월 내에 알레르기가 발생하지 않은 경험군이 51명(13.8%), 비알레르기군이 289명(78.1%)으로 식품알레르기 유병률은 21.9%로 나타났다. 즉, 식품알레르기를 경험한 아동은 81명으로 21.9%의 유병률을 나타내었고 식품알레르기 경험에 따른 성별 연령별 BMI에 따른 유병률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2. 1·2차 조사대상자 중 식품알레르기를 경험한 유병아동 145명을 대상으로 한 식품알레르기 발생 특성 분석 결과 식품알레르기를 처음 경험한 시기는 1~2세가 59명(40.7%), 3~5세가 53명(36.6%)으로 대부분의 아동이 5세 이전에 식품알레르기가 발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품알레르기 증상은 ‘두드러기, 피부발진의 비율이 50명(45%)으로 가장 높았고 ‘가려워 진다’가 41명( 36.9%), ‘설사, 구토, 복통’이 11명(9.9%), ‘숨쉬기가 어려워진다’ 5명(4.5%)의 순으로 나타났다.
식품알레르기의 유전적 계통은 어머니 쪽이 31.9%로 가장 높았으며 형제·자매가 29.7%, 아버지가 25.3%로 나타났다.
식품알레르기 원인식품으로는 복숭아가 22.9%, 우유와 돼지고기가 각각 9.4%, 게가 6.3%, 고등어와 새우가 각각 5.2%였으며 난류와 토마토가 3.1%, 메일, 땅콩, 대두가 2.1% 밀이 1.0%로 나타났으며 기타식품으로 과자류, 쇠고기, 닭고기, 식품첨가제가 든 가공식품 등이 28.1%로 매우 높게 나왔다.

3. 1·2차 전체인원 434명을 대상으로 한 학부모의 학교급식 알레르기 유발식품 표시제에 대한 군별 학부모 의견은 관심도에서만 유의적인 결과를 나타내었으며(p<0.01) 지식, 만족, 필요도 등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4. 알레르기 유발식품 표시제에 대한 교육에 관한 부분에서는 교육경험이 있는 경우가 54.6%였으며 교육의 경로로는 가정통신문이나 학교홈페이지가 32.5%, 신문이나 TV등 대중매체를 통해서가 28.1%였으며 영양교육을 받은 경우는 16.5%였다.
가장 효과적인 교육방법으로는 58.3%가 가정통신문이라고 답하였고 가장 희망하는 상담자로는 47.4%가 영양교사, 31.7%가 의사라고 답하였다.
학교에서 식품알레르기와 관련하여 바라는 점은 예방교육의 실시 26.2%였고 다음으로는 식품알레르기를 가지고 있는 학생에 대한 이해를 높여주는 것 20.2%라고 응답하였다. 학교급식 알레르기 유발식품표시제의 큰 유익은 ‘학교급식의 안전성의 증가’가 42.5%이며, 다음으로는 유병아동의 정서적 건강이 증진이라고 33.2%가 답하였다.
5. 학교급식 외 포장식품을 구매할 때 식품표시를 확인하는 부분에 있어서는 유병아동의 부모가 비알레르기 아동의 부모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점수를 보였으며(p<0.01), 원산지(p<0.05), ...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tudy was conducted to measure the food allergy status, prevalence, and perceptions of Allergenic Food Labeling System in School Food Service(FALSSFS). The survey was conducted by parents of little children and elementary schoolers in Yangsan-si, Gyeongsangnam-do, Korea.
Through the statist...

주제어

#식품알레르기 학부모 학교급식 유발식품 표시제 

학위논문 정보

저자 이은주
학위수여기관 부산대학교
학위구분 국내석사
학과 영양교육전공
지도교수 류호경
발행연도 2015
총페이지 65
키워드 식품알레르기 학부모 학교급식 유발식품 표시제
언어 kor
원문 URL http://www.riss.kr/link?id=T13730247&outLink=K
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