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트모던 이후의 현대 사회는 하나의 양식에 의존하는 것이 아닌, 주관에 의한 다양성을 중심으로 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에 관찰자는 영상매체와 미디어 등을 통하여 수많은 정보를 획득하고 또한 제공하는 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이미지는 이러한 현상을 대변하는 대표적인 사례이다. 이미지는 일차적으로 ‘물질’의 대상물에 대한 인식과정이자, 그것에 대한 결과물이다. 그러나 이미지는 단순히 대상의 형체에 대한 외부의 상(象)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시각은 관찰자에게 가시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을 즉각적으로 전달하는 중요한 감각이지만, 이와 동시에 이미지가 지니고 있는 의미에 대한 ‘상상력(l’imagination)’의 틀을 제한하는 ‘감각(sense)’이라는 부정적인 측면 또한 동시에 지니고 있다. 건축의 경우도 이와 유사한 경향을 보이고 있는데, 주하니 팔라스마(J. Pallasmaa)는 이미지에 의한 시각적 재현 현상에 대해서, 건축은 이제 ‘망막’에만 의존되어, 감각적인 체험은 배제되고 있다고 하고 있다. 시각은 관찰자가 그 대상물에 대한 이미지를 일차적으로 생성시키는 중요한 감각적 요소이지만, 문제는 ...
포스트모던 이후의 현대 사회는 하나의 양식에 의존하는 것이 아닌, 주관에 의한 다양성을 중심으로 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에 관찰자는 영상매체와 미디어 등을 통하여 수많은 정보를 획득하고 또한 제공하는 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이미지는 이러한 현상을 대변하는 대표적인 사례이다. 이미지는 일차적으로 ‘물질’의 대상물에 대한 인식과정이자, 그것에 대한 결과물이다. 그러나 이미지는 단순히 대상의 형체에 대한 외부의 상(象)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시각은 관찰자에게 가시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을 즉각적으로 전달하는 중요한 감각이지만, 이와 동시에 이미지가 지니고 있는 의미에 대한 ‘상상력(l’imagination)’의 틀을 제한하는 ‘감각(sense)’이라는 부정적인 측면 또한 동시에 지니고 있다. 건축의 경우도 이와 유사한 경향을 보이고 있는데, 주하니 팔라스마(J. Pallasmaa)는 이미지에 의한 시각적 재현 현상에 대해서, 건축은 이제 ‘망막’에만 의존되어, 감각적인 체험은 배제되고 있다고 하고 있다. 시각은 관찰자가 그 대상물에 대한 이미지를 일차적으로 생성시키는 중요한 감각적 요소이지만, 문제는 현대 건축에서 시각에 집중되고 있는 현상으로 인하여, 공간에 대한 감각이 배제되고 있다는 점이다. 미스 반 데 로헤(Mies Van de Rohe)는 건축이란, ‘공간적 용어 속에 내포된 시대 의지’라는 말로 공간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공간은 사회적인 현상을 내포함과 동시에 인간의 구체적인 삶이 투영되어 있는 장(場)이며, 공간 속에 내재되어 있는 사물들 간의 관계를 이어주는 매개적인 역할을 하는 요소이다. 이를 이미지와의 관계로 보면, 공간은 그 속에 있는 사물들과의 관계를 통해서 그 의미가 바뀔 수 있음을 뜻한다. 즉 공간은 변형 가능한 이미지의 연속적인 3차원의 장면(Scene)들이 순차적인 열거의 형식이 아닌, 관찰자에 의해서 생성되는 이미지의 변형으로 공간의 의미가 재배열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포스트모던 이후의 현대건축의 경우, 공간적인 의미가 이미지에 함몰되고 있는 경향을 들 수 있는데, 공간과 이미지와의 관계는 ‘대지(site)’와의 관계에서 보다 명확하게 나타나고 있다. 건축에서 대지는 건축물이 자리 잡는 터전과 안정의 의미를 지니고 있다. 특히 대지의 의미는 공간을 통해서 관찰자에게 전달되는 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이때 대지는 물질의 덩어리이자, 시각적으로 인지될 수 없는 여러 사건들이 동시에 내재되어 있는 장소이다. 그러나 현대 건축에서 이미지는 가상공간을 생성해내는 수단으로 인지되고 있다. 이에 가상공간은 관찰자에게 대지의 물질성을 제거해 버리고, 가상을 또 다른 대지로 전환시킨 결과가 나타나고 있다. 대지의 물질성은 단순히 환경적인 부분에 대한 질료의 의미를 넘어, 이야기와 사건들이 동시에 내포되어 있는 통합적인 이미지로 인식되어야 한다. 이상의 논의를 근간으로 본 연구는 대지와 공간의 의미가 이미지를 통해서 도출될 수 있음에 주목하고, 이미지와 공간 그리고 물질의 덩어리인 대지와 관찰자와의 관계를 통합적인 것으로 전제하고 연구를 진행한다. 특히 물질성이 서로 관계맺음을 통하여 새로운 이미지를 생성해 낼 수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본 연구는 가스통 바슐라르(G. Bachelard)의 ‘물질 이미지(l’image Matérielle)’를 통하여 공간 구축에 대한 또 다른 시각에서 접근한다. 바술라르가 언급한 바와 같이, 물질 이미지는 물질성을 기반으로 하여 생성시키는 주관의 상상력이 동반된 이미지이다. 즉 물질 이미지는 외부로 드러나는 것에만 치중하는 것이 아닌, 내면에 잠재되어 있는 의미를 도출할 수 있는 이미지이다. 이에 물질 이미지는 ‘변형(transform)’과 ‘결합(fusion)’을 기반으로 하는 특징을 지니고 있는데, 이는 외부의 형상만으로는 생성될 수 없음을 의미한다. 물질 이미지를 팔라스마의 관점에서 보면, 그것은 인간 망막의 한계를 넘어, 촉각을 비롯한 다른 감각들이 수반되어 생성되는 이미지이다. 즉 물질 이미지는 대지와 공간의 관계가 단순히 시각적 형식의 물질과 공간의 아닌, 대지를 통하여 도출되는 이미지를 통하여 공간의 의미를 변형시킬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물질 이미지가 보다 구체적인 건축의 구축적인 장치로 적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서사이론(Narrative Theory)’과의 통합으로 살펴본다. 서사는 문학에서 적용된 이론이지만, 그 자체가 시간과 스토리 그리고 배열의 관계를 지니고 있기 때문에, 건축을 논함에 있어 많은 논의가 있었다. 그러나 서사의 특징과 이미지와의 관계를 통하여 건축공간을 구축하는 방안은 기존의 방법과는 다른 시각에서 접근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는 물질 이미지가 지니고 있는 변형과 결합으로 생성되는 이미지와 서사구조와의 통합을 의미한다. 그리고 이러한 작동방식으로 구축되는 공간을 ‘서사공간(Narrative Space)’으로 칭하고, 현대건축에서 서사공간의 성격이 물질 이미지를 통하여 구축될 수 있음을 모색한다 이 과정에서 이미지를 생성하는 관찰자는 대지의 의미 그리고 건축 공간과의 교감을 통하여 서
포스트모던 이후의 현대 사회는 하나의 양식에 의존하는 것이 아닌, 주관에 의한 다양성을 중심으로 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에 관찰자는 영상매체와 미디어 등을 통하여 수많은 정보를 획득하고 또한 제공하는 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이미지는 이러한 현상을 대변하는 대표적인 사례이다. 이미지는 일차적으로 ‘물질’의 대상물에 대한 인식과정이자, 그것에 대한 결과물이다. 그러나 이미지는 단순히 대상의 형체에 대한 외부의 상(象)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시각은 관찰자에게 가시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을 즉각적으로 전달하는 중요한 감각이지만, 이와 동시에 이미지가 지니고 있는 의미에 대한 ‘상상력(l’imagination)’의 틀을 제한하는 ‘감각(sense)’이라는 부정적인 측면 또한 동시에 지니고 있다. 건축의 경우도 이와 유사한 경향을 보이고 있는데, 주하니 팔라스마(J. Pallasmaa)는 이미지에 의한 시각적 재현 현상에 대해서, 건축은 이제 ‘망막’에만 의존되어, 감각적인 체험은 배제되고 있다고 하고 있다. 시각은 관찰자가 그 대상물에 대한 이미지를 일차적으로 생성시키는 중요한 감각적 요소이지만, 문제는 현대 건축에서 시각에 집중되고 있는 현상으로 인하여, 공간에 대한 감각이 배제되고 있다는 점이다. 미스 반 데 로헤(Mies Van de Rohe)는 건축이란, ‘공간적 용어 속에 내포된 시대 의지’라는 말로 공간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공간은 사회적인 현상을 내포함과 동시에 인간의 구체적인 삶이 투영되어 있는 장(場)이며, 공간 속에 내재되어 있는 사물들 간의 관계를 이어주는 매개적인 역할을 하는 요소이다. 이를 이미지와의 관계로 보면, 공간은 그 속에 있는 사물들과의 관계를 통해서 그 의미가 바뀔 수 있음을 뜻한다. 즉 공간은 변형 가능한 이미지의 연속적인 3차원의 장면(Scene)들이 순차적인 열거의 형식이 아닌, 관찰자에 의해서 생성되는 이미지의 변형으로 공간의 의미가 재배열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포스트모던 이후의 현대건축의 경우, 공간적인 의미가 이미지에 함몰되고 있는 경향을 들 수 있는데, 공간과 이미지와의 관계는 ‘대지(site)’와의 관계에서 보다 명확하게 나타나고 있다. 건축에서 대지는 건축물이 자리 잡는 터전과 안정의 의미를 지니고 있다. 특히 대지의 의미는 공간을 통해서 관찰자에게 전달되는 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이때 대지는 물질의 덩어리이자, 시각적으로 인지될 수 없는 여러 사건들이 동시에 내재되어 있는 장소이다. 그러나 현대 건축에서 이미지는 가상공간을 생성해내는 수단으로 인지되고 있다. 이에 가상공간은 관찰자에게 대지의 물질성을 제거해 버리고, 가상을 또 다른 대지로 전환시킨 결과가 나타나고 있다. 대지의 물질성은 단순히 환경적인 부분에 대한 질료의 의미를 넘어, 이야기와 사건들이 동시에 내포되어 있는 통합적인 이미지로 인식되어야 한다. 이상의 논의를 근간으로 본 연구는 대지와 공간의 의미가 이미지를 통해서 도출될 수 있음에 주목하고, 이미지와 공간 그리고 물질의 덩어리인 대지와 관찰자와의 관계를 통합적인 것으로 전제하고 연구를 진행한다. 특히 물질성이 서로 관계맺음을 통하여 새로운 이미지를 생성해 낼 수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본 연구는 가스통 바슐라르(G. Bachelard)의 ‘물질 이미지(l’image Matérielle)’를 통하여 공간 구축에 대한 또 다른 시각에서 접근한다. 바술라르가 언급한 바와 같이, 물질 이미지는 물질성을 기반으로 하여 생성시키는 주관의 상상력이 동반된 이미지이다. 즉 물질 이미지는 외부로 드러나는 것에만 치중하는 것이 아닌, 내면에 잠재되어 있는 의미를 도출할 수 있는 이미지이다. 이에 물질 이미지는 ‘변형(transform)’과 ‘결합(fusion)’을 기반으로 하는 특징을 지니고 있는데, 이는 외부의 형상만으로는 생성될 수 없음을 의미한다. 물질 이미지를 팔라스마의 관점에서 보면, 그것은 인간 망막의 한계를 넘어, 촉각을 비롯한 다른 감각들이 수반되어 생성되는 이미지이다. 즉 물질 이미지는 대지와 공간의 관계가 단순히 시각적 형식의 물질과 공간의 아닌, 대지를 통하여 도출되는 이미지를 통하여 공간의 의미를 변형시킬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물질 이미지가 보다 구체적인 건축의 구축적인 장치로 적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서사이론(Narrative Theory)’과의 통합으로 살펴본다. 서사는 문학에서 적용된 이론이지만, 그 자체가 시간과 스토리 그리고 배열의 관계를 지니고 있기 때문에, 건축을 논함에 있어 많은 논의가 있었다. 그러나 서사의 특징과 이미지와의 관계를 통하여 건축공간을 구축하는 방안은 기존의 방법과는 다른 시각에서 접근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는 물질 이미지가 지니고 있는 변형과 결합으로 생성되는 이미지와 서사구조와의 통합을 의미한다. 그리고 이러한 작동방식으로 구축되는 공간을 ‘서사공간(Narrative Space)’으로 칭하고, 현대건축에서 서사공간의 성격이 물질 이미지를 통하여 구축될 수 있음을 모색한다 이 과정에서 이미지를 생성하는 관찰자는 대지의 의미 그리고 건축 공간과의 교감을 통하여 서
The contemporary society after the postmodernism follows trends more in subjective diversities than depending on a single style. Accordingly, an observer undergoes the process of acquiring and providing a wide range of information through numerous media channels and an image is a representative exam...
The contemporary society after the postmodernism follows trends more in subjective diversities than depending on a single style. Accordingly, an observer undergoes the process of acquiring and providing a wide range of information through numerous media channels and an image is a representative example. To begin with, an image is primarily a recognition procedure as to a subject of ‘material’ and the following results. Here, an image does not simply mean the external image(象) of the appearance of a subject. Though a sight is an important sense immediately delivering the visible phenomenon, it also implies a negative aspect in that it is ‘a sense’ limiting the framework of ‘l’imagination’ regarding the possible connotations that an image could have. The similar tendency has been shown in architecture as Juhani Pallasmaa puts it with regard to the visual reproduction by an image a phenomenon where an architecture excluding sensory experiences depending only on the qualities of ‘retina.’ The vision became a critical sensual element through which an observer establishes the first impression of a subject and yet, the problem is that all the sensory experiences of a space are segregated due to the concentration on the imagery quality in contemporary architecture. Ludwig Mies van der Rohe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a space as saying that, "Architecture is the will of an epoch translated into space." A space is not only a field(場) which contains social phenomena and reflects certain lives of humans at the same time, but also it is an element playing a role of mediating the relations among the objects inside. In terms of the image relations, this suggests that a meaning of a space changes in relation to the objects residing within the space. In other words, a space is not in the form of a serial display of three-dimensional scenes of transformable images but it is an implication of a space which can be rearranged conform to the image generated by an observer. In this contexts, a spatial meaning tends to cave in an image in terms of the contemporary architecture after the postmodernism where the relationship between a space and an image appears more evidently concerning ‘site.’ The site in architecture means a ground where an actual building settles and the stability as well. In particular, the connotation of a site is delivered to an observer through a space where a site is a mass of material containing the number of events that cannot be recognized visibly. However, an image is identified as a means to produce an imaginary space in the contemporary architecture. On this, an imaginary space eliminates the materiality of a site from an observer resulting the virtuality transformed into another site. The materiality of a site must be recognized as an integrated image involving different stories and events beyond mere qualities of substances of environments. Based on the abovementioned discussion, this research pays attention to the possibility that meanings of a site and space can be drawn from an image; assumes the relations among an image, a space and a site as a mass of material with an observer as something integrating; and proceeds with the research. Having views on that the materiality can create a new image by forming a relationship with each other, this research approached from a different direction as to the construction of space through the notion of ‘l'image matérielle’ by Gaston Bachelard . As Bachelard stated, the material image is an image accompanying the subjective imagination based on the materiality. That is, the material image is not just focused on what is revealed externally but an image that infers a latent meanings. Accordingly, the material image has characteristics on the basis of ‘transformation’ and ‘fusion’ indicating the impossibility to produce only with external forms. In Pallasmaa’s perspective, the material image is generated together with other senses including the modality of touch exceeding the limit of human retina. The material image is able to transform the meaning of a space through the image drawn from the site not by simple visual forms between site and space. In view of that, this research explored the probability of the material image to be applied as more concrete apparatus of architecture in conjunction with the ‘Narrative Theory.’ The narration is a theory employed in the literature but it has been constantly used in discussing architectures for it has affiliations with time, story and arrangement. But this research took a methodology different from existing manners of establishing an architectural space through the narrative features and images. This signifies the integration of an image and narrative structure created through the transformation and fusion that the material image contains. And it also sought that the properties of a narrative space can be established through the material image in contemporary architecture as designating the space constructed in this operation method as ‘Narrative Space.’ Creating an image in this process, the observer becomes a subject adjusting the character of a narration through a communication with the meaning of a site and the architectural space. Especially the narrative space that this research aims to find can be interpreted in various perspectives as it is comprised of in combination with the material image. This research outlined that the narrative space in contemporary architecture can be established through the recognition process of an observer concerning a material, substance, movement, image and site demonstrated as the natures of ‘tactility’, ‘dynamics’ and ‘convergence.’ Through, this research attempted to review the narrative space constantly changing through an image unlike existing narrative spaces consisted of structures and events.
The contemporary society after the postmodernism follows trends more in subjective diversities than depending on a single style. Accordingly, an observer undergoes the process of acquiring and providing a wide range of information through numerous media channels and an image is a representative example. To begin with, an image is primarily a recognition procedure as to a subject of ‘material’ and the following results. Here, an image does not simply mean the external image(象) of the appearance of a subject. Though a sight is an important sense immediately delivering the visible phenomenon, it also implies a negative aspect in that it is ‘a sense’ limiting the framework of ‘l’imagination’ regarding the possible connotations that an image could have. The similar tendency has been shown in architecture as Juhani Pallasmaa puts it with regard to the visual reproduction by an image a phenomenon where an architecture excluding sensory experiences depending only on the qualities of ‘retina.’ The vision became a critical sensual element through which an observer establishes the first impression of a subject and yet, the problem is that all the sensory experiences of a space are segregated due to the concentration on the imagery quality in contemporary architecture. Ludwig Mies van der Rohe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a space as saying that, "Architecture is the will of an epoch translated into space." A space is not only a field(場) which contains social phenomena and reflects certain lives of humans at the same time, but also it is an element playing a role of mediating the relations among the objects inside. In terms of the image relations, this suggests that a meaning of a space changes in relation to the objects residing within the space. In other words, a space is not in the form of a serial display of three-dimensional scenes of transformable images but it is an implication of a space which can be rearranged conform to the image generated by an observer. In this contexts, a spatial meaning tends to cave in an image in terms of the contemporary architecture after the postmodernism where the relationship between a space and an image appears more evidently concerning ‘site.’ The site in architecture means a ground where an actual building settles and the stability as well. In particular, the connotation of a site is delivered to an observer through a space where a site is a mass of material containing the number of events that cannot be recognized visibly. However, an image is identified as a means to produce an imaginary space in the contemporary architecture. On this, an imaginary space eliminates the materiality of a site from an observer resulting the virtuality transformed into another site. The materiality of a site must be recognized as an integrated image involving different stories and events beyond mere qualities of substances of environments. Based on the abovementioned discussion, this research pays attention to the possibility that meanings of a site and space can be drawn from an image; assumes the relations among an image, a space and a site as a mass of material with an observer as something integrating; and proceeds with the research. Having views on that the materiality can create a new image by forming a relationship with each other, this research approached from a different direction as to the construction of space through the notion of ‘l'image matérielle’ by Gaston Bachelard . As Bachelard stated, the material image is an image accompanying the subjective imagination based on the materiality. That is, the material image is not just focused on what is revealed externally but an image that infers a latent meanings. Accordingly, the material image has characteristics on the basis of ‘transformation’ and ‘fusion’ indicating the impossibility to produce only with external forms. In Pallasmaa’s perspective, the material image is generated together with other senses including the modality of touch exceeding the limit of human retina. The material image is able to transform the meaning of a space through the image drawn from the site not by simple visual forms between site and space. In view of that, this research explored the probability of the material image to be applied as more concrete apparatus of architecture in conjunction with the ‘Narrative Theory.’ The narration is a theory employed in the literature but it has been constantly used in discussing architectures for it has affiliations with time, story and arrangement. But this research took a methodology different from existing manners of establishing an architectural space through the narrative features and images. This signifies the integration of an image and narrative structure created through the transformation and fusion that the material image contains. And it also sought that the properties of a narrative space can be established through the material image in contemporary architecture as designating the space constructed in this operation method as ‘Narrative Space.’ Creating an image in this process, the observer becomes a subject adjusting the character of a narration through a communication with the meaning of a site and the architectural space. Especially the narrative space that this research aims to find can be interpreted in various perspectives as it is comprised of in combination with the material image. This research outlined that the narrative space in contemporary architecture can be established through the recognition process of an observer concerning a material, substance, movement, image and site demonstrated as the natures of ‘tactility’, ‘dynamics’ and ‘convergence.’ Through, this research attempted to review the narrative space constantly changing through an image unlike existing narrative spaces consisted of structures and events.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