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서비스 품질 요인과 서비스 성과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 서비스 성과 향상을 위한 보육서비스 품질 개선방안을 제시하 는데 있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보육서비스의 수요자 측면에서 어린이집 이용 학부모들의 보육서비스 만족도 및 추천의도를 향상시키고, 향후 보 육서비스 향상을 위해 필요한 정책적 함의를 보육서비스 품질 측면에서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 는 문헌연구와 실증연구 방법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는 크게 5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장 서론에서는 연구목적과 연구범위 및 방법 등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다. 제2장은 보육서비스 품 질과 성과에 관한 이론적 논의의 장이다. 최근 강조되고 있는 보육서비 스 품질에 관한 이론과 성과에 대해 고찰하고 선행연구를 검토하였다. 제3장은 이론적 논의와 선행연구 검토 결과를 바탕으로 보육서비스 품질 과 서비스 성과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모형과 가설을 설정하고, 측정도 구 및 ...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서비스 품질 요인과 서비스 성과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 서비스 성과 향상을 위한 보육서비스 품질 개선방안을 제시하 는데 있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보육서비스의 수요자 측면에서 어린이집 이용 학부모들의 보육서비스 만족도 및 추천의도를 향상시키고, 향후 보 육서비스 향상을 위해 필요한 정책적 함의를 보육서비스 품질 측면에서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 는 문헌연구와 실증연구 방법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는 크게 5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장 서론에서는 연구목적과 연구범위 및 방법 등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다. 제2장은 보육서비스 품 질과 성과에 관한 이론적 논의의 장이다. 최근 강조되고 있는 보육서비 스 품질에 관한 이론과 성과에 대해 고찰하고 선행연구를 검토하였다. 제3장은 이론적 논의와 선행연구 검토 결과를 바탕으로 보육서비스 품질 과 서비스 성과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모형과 가설을 설정하고, 측정도 구 및 자료분석 방법 등에 대해 기술하였다. 제4장은 보육서비스 품질이 서비스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실증분석의 장이다. 실증 분석을 위해 수도권지역의 어린이집을 이용 중인 학부모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일반적 인식조사 분석과 보육서비스 품질과 서비스 성과 간의 영향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제5장은 결론부분으로 연구결과를 종합?요 약하고, 연구한계 및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 기술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서비스 품질 이 학부모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다중회귀분석결과, 어린이집 시설 요인인 안전성, 보육프 로그램 요인인 적합성과 다양성, 보육교사 요인 인 전문성과 공감성, 어린이집 운영요인인 투명성과 대응성이 우수할수 록 보육서비스에 대한 학부모 만족도가 높아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 째, 보육서비스 품질이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다중회귀분석결 과, 어린이집 시설 요인인 유형성, 보육프로그램 요인인 적합성과 다양 성, 보육교사 요인인 공감성, 어린이집 운영요인인 대응성이 우수할수록 학부모가 인식하는 추천의도도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셋째, 학부모 만 족도가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생활지도 만족도와 보육활동 만족도가 높을수록 추천의도가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실증분석 결과를 토대로 보육서비스 품질이 서비스성과에 미치 는 영향에 관한 품질제고 방향을 제시하였다. 첫째, 어린이집 시설 측면 의 품질 제고방안으로 학부모들의 상황을 고려한 어린이집 운영측면도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예측되며, 이에 맞벌이 부부들을 위한 편리한 운영시간을 제공하는 방안과 학부모와 아동의 요구사항을 파악하여 이를 보육방식에 적극적으로 반영하도록 해야 한다. 둘째, 보육프로그램 측면 의 품질 제고방안으로는 부모참여 프로그램을 다양하게 제공하고 아이와 부모가 공감대 형성이 되는 부모가 참여함으로 아이들 발달에 필요한 프 로그램을 들 수 있다. 셋째, 보육교사 측면의 품질 제고방안으로는 어린 이집 교사 처우나 근무 환경이 바뀌어야 할 것이다. 구체적으로 보육교 사 급여 역시 유치원 교사와 동일한 호봉제 도입이 필요하다. 넷째, 어린 이집 운영 측면의 품질 제고방안으로는 보육료 현실화가 필요할 것이다. 무상보육이 이루어지는 현실에 맞게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교사급여도 일 정부분 정부가 부담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서비스 품질 요인과 서비스 성과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 서비스 성과 향상을 위한 보육서비스 품질 개선방안을 제시하 는데 있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보육서비스의 수요자 측면에서 어린이집 이용 학부모들의 보육서비스 만족도 및 추천의도를 향상시키고, 향후 보 육서비스 향상을 위해 필요한 정책적 함의를 보육서비스 품질 측면에서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 는 문헌연구와 실증연구 방법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는 크게 5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장 서론에서는 연구목적과 연구범위 및 방법 등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다. 제2장은 보육서비스 품 질과 성과에 관한 이론적 논의의 장이다. 최근 강조되고 있는 보육서비 스 품질에 관한 이론과 성과에 대해 고찰하고 선행연구를 검토하였다. 제3장은 이론적 논의와 선행연구 검토 결과를 바탕으로 보육서비스 품질 과 서비스 성과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모형과 가설을 설정하고, 측정도 구 및 자료분석 방법 등에 대해 기술하였다. 제4장은 보육서비스 품질이 서비스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실증분석의 장이다. 실증 분석을 위해 수도권지역의 어린이집을 이용 중인 학부모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일반적 인식조사 분석과 보육서비스 품질과 서비스 성과 간의 영향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제5장은 결론부분으로 연구결과를 종합?요 약하고, 연구한계 및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 기술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서비스 품질 이 학부모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다중회귀분석결과, 어린이집 시설 요인인 안전성, 보육프 로그램 요인인 적합성과 다양성, 보육교사 요인 인 전문성과 공감성, 어린이집 운영요인인 투명성과 대응성이 우수할수 록 보육서비스에 대한 학부모 만족도가 높아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 째, 보육서비스 품질이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다중회귀분석결 과, 어린이집 시설 요인인 유형성, 보육프로그램 요인인 적합성과 다양 성, 보육교사 요인인 공감성, 어린이집 운영요인인 대응성이 우수할수록 학부모가 인식하는 추천의도도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셋째, 학부모 만 족도가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생활지도 만족도와 보육활동 만족도가 높을수록 추천의도가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실증분석 결과를 토대로 보육서비스 품질이 서비스성과에 미치 는 영향에 관한 품질제고 방향을 제시하였다. 첫째, 어린이집 시설 측면 의 품질 제고방안으로 학부모들의 상황을 고려한 어린이집 운영측면도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예측되며, 이에 맞벌이 부부들을 위한 편리한 운영시간을 제공하는 방안과 학부모와 아동의 요구사항을 파악하여 이를 보육방식에 적극적으로 반영하도록 해야 한다. 둘째, 보육프로그램 측면 의 품질 제고방안으로는 부모참여 프로그램을 다양하게 제공하고 아이와 부모가 공감대 형성이 되는 부모가 참여함으로 아이들 발달에 필요한 프 로그램을 들 수 있다. 셋째, 보육교사 측면의 품질 제고방안으로는 어린 이집 교사 처우나 근무 환경이 바뀌어야 할 것이다. 구체적으로 보육교 사 급여 역시 유치원 교사와 동일한 호봉제 도입이 필요하다. 넷째, 어린 이집 운영 측면의 품질 제고방안으로는 보육료 현실화가 필요할 것이다. 무상보육이 이루어지는 현실에 맞게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교사급여도 일 정부분 정부가 부담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childcare service quality factors and service performance and to present a plan to improve the childcare service quality in pursuit of better service performance. In particular, an attempt was made to improve childcare service s...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childcare service quality factors and service performance and to present a plan to improve the childcare service quality in pursuit of better service performance. In particular, an attempt was made to improve childcare service satisfaction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for parents using childcare centers from the perspective of childcare service consumers and to present policy implications necessary to improve childcare service in terms of the childcare service quality. To achieve its goal effectively, this study conducted literature review and empirical research. This study is composed of five chapters: Chapter 1, Introduction, described the objective, scope, and methods of this study. Chapter 2 gave theoretical discussions about the quality and performance of childcare service. The theories of the childcare service quality and performance that have recently been emphasized were discussed and literature review was performed. Chapter 3 presented a model and hypotheses regard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childcare service quality and its performance on the basis of the theoretical discussions and literature review and measuring instruments and data analysis methods were described. Chapter 4 made empirical analysi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the childcare service quality on its performance. The empirical analysis was carried out in parents using childcare centers in the Metropolitan are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childcare service quality and its performance along with general awareness analysis on the basis of the data collected through the survey. Chapter 5, Conclusion, put together and summarized the results and describe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direction for further research. The principal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the effects of the childcare service quality on parent satisfaction confirmed that higher levels of safety among childcare center facility factors, suitability and diversity among childcare program factors, expertise and empathy among childcare teacher factors, and transparency and responsiveness among childcare center management factors made parents more satisfied with childcare service. Second,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the effects of the childcare service quality on the recommendation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childcare service quality factors and service performance and to present a plan to improve the childcare service quality in pursuit of better service performance. In particular, an attempt was made to improve childcare service satisfaction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for parents using childcare centers from the perspective of childcare service consumers and to present policy implications necessary to improve childcare service in terms of the childcare service quality. To achieve its goal effectively, this study conducted literature review and empirical research. This study is composed of five chapters: Chapter 1, Introduction, described the objective, scope, and methods of this study. Chapter 2 gave theoretical discussions about the quality and performance of childcare service. The theories of the childcare service quality and performance that have recently been emphasized were discussed and literature review was performed. Chapter 3 presented a model and hypotheses regard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childcare service quality and its performance on the basis of the theoretical discussions and literature review and measuring instruments and data analysis methods were described. Chapter 4 made empirical analysi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the childcare service quality on its performance. The empirical analysis was carried out in parents using childcare centers in the Metropolitan are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childcare service quality and its performance along with general awareness analysis on the basis of the data collected through the survey. Chapter 5, Conclusion, put together and summarized the results and describe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direction for further research. The principal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the effects of the childcare service quality on parent satisfaction confirmed that higher levels of safety among childcare center facility factors, suitability and diversity among childcare program factors, expertise and empathy among childcare teacher factors, and transparency and responsiveness among childcare center management factors made parents more satisfied with childcare service. Second,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the effects of the childcare service quality on the recommendation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