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화 사회와 사회 구조적 변화로 인해 노인요양시설 입소 노인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입소 노인들의 다양한 문제가 발생되면서 시설 생활 ‘적응’에 대한 이슈가 대두되었다.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도입이후 부터 시설에서 삶의 질의 개념이 중요해지면서 부적응을 최소화할 수 있는 소규모 시설에 대한 필요성과 관심이 증대되고 있으나 이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에서 경험하는 당사자들의 ...
국문초록
고령화 사회와 사회 구조적 변화로 인해 노인요양시설 입소 노인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입소 노인들의 다양한 문제가 발생되면서 시설 생활 ‘적응’에 대한 이슈가 대두되었다.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도입이후 부터 시설에서 삶의 질의 개념이 중요해지면서 부적응을 최소화할 수 있는 소규모 시설에 대한 필요성과 관심이 증대되고 있으나 이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에서 경험하는 당사자들의 중심 현상을 규명하고 그 과정을 서술하고 설명하는 실체이론을 개발하는데 의의를 두고 있다. 나아가 확인된 실체이론을 기반으로 입소 노인이 경험하는 시설생활 적응을 돕기 위한 간호접근을 모색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 입소 노인의 시설생활 적응과정을 면밀히 탐색하는 것이다. 이는 입소 노인이 어떠한 요인과 배경으로 입소하게 되는지, 시설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심리적, 사회적, 환경적 요인과 시설생활 적응으로 나아가는 과정에 대해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것이다. 연구 질문은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 입소 노인의 시설생활 적응과정은 어떠한가?’ 이다. 연구 방법은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에 입소하여 생활하고 있는 노인들의 시설 생활 적응 경험의 의미와 과정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근거이론 접근방법을 적용하였다. 근거 이론적 방법은 인간의 사회적·심리적 과정을 탐색하고 양적 연구로는 그 역동성을 파악하기 힘든 타인과의 상호작용(Strauss & Corbin, 1998)과 인간 행동의 본질을 이해하는데 적합한 연구 방법이다. 자료 수집은 IRB 승인 후 2015년 1월부터 2015년 4월까지 면대 면으로 개별적인 심층면담을 통해 이루어졌다. 자료 분석은 Strauss & Corbin(1998)의 개방코딩, 축코딩, 선택코딩의 과정으로 진행하였으며 각 단계는 순환적으로 반복되는 과정을 거쳤다. 그 결과 최종적으로 109개의 개념, 41개의 하위범주, 18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 결과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 입소 노인의 시설생활 적응과정을 나타내는 인과적 조건은 ‘아무짝에도 쓸모없는 몸’이었고, 맥락적 조건은 ‘벼랑 끝으로 내몰림’, ‘떠밀려옴’, ‘사면초가’였으며, 이에 따른 중심현상은 ‘서서히 무너져 내림’으로 나타났다. 중재적 조건은 ‘동료와의 공생(共生)’, ‘든든한 기둥: 자녀’, ‘가족 이상의 정(情): 직원’, ‘집과 같은 편안함’, ‘숨통이 트임: 제도’였고, 이에 따른 작용/상호작용 전략은 ‘현실 받아들이기’, ‘스스로 건강 챙기기’, ‘타인과 관계 맺기’, ‘신앙생활 하기’였다. 그 결과는 ‘날(捺)이 무뎌짐’, ‘지상낙원’, ‘소망을 가짐’, ‘기다림’으로 나타났다.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 입소 노인의 시설생활 적응과정의 핵심범주는 ‘새로운 가족과 함께 남은 삶 재구성해 나아가기’이며 이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불안기’, ‘탐색기’, ‘수용기’, ‘적응기’의 단계를 거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핵심범주를 중심으로 각 조건의 속성과 차원 사이에 있을 수 있는 8개의 가설적 관계 진술문을 전개하였으며 가설적 관계 진술문을 근거로 범주 간에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관계를 확인한 결과 갈등형, 체념형, 수용형의 3가지 유형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입소 노인이 소규모 시설의 두드러지는 특징인 집과 같은 환경의 편안함과 그 속에서 직원과 동료로부터 가족 이상의 정을 느끼며 새로운 가족으로 나아가는 상황을 제시하였다. 이는 소규모 시설생활에서 입소자들이 의지하는 대상이 자녀에서 점점 직원으로 전가되는 양상에 따라 직원들의 역할과 책임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간호학적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간호연구 및 이론 측면에서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 입소 노인들의 시설생활 적응과정에 대한 근거 이론적 접근을 통해 시설생활 적응과정에서 겪는 여러 가지 문제점과 그에 대한 반응 및 상호작용적 대처 전략에 관한 과정을 설명하는 실체이론과 이론적 기틀을 개발하였다. 둘째, 간호 실무를 위한 의의는 한국적 소규모 시설생활의 적응에 관한 프로그램 개발 및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셋째, 간호 교육을 위한 의의는 간호대학생과 현장에서 일하는 간호사, 지역사회 보건의료 종사자들에게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 시설입소 노인들의 특성과 삶에 대한 보다 깊은 이해를 도울 수 있을 것이다. 넷째, 간호 정책을 위한 의의는 소규모 시설의 증가로 인해 국가적인 체계적 관리를 위한 전담기구가 도입되어야 한다. 본 연구결과는 입소 노인들의 시설 적응이 용이한 소규모 시설의 확산을 위한 정책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주요어: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 적응, 시설생활, 타인과의 상호작용
국문초록
고령화 사회와 사회 구조적 변화로 인해 노인요양시설 입소 노인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입소 노인들의 다양한 문제가 발생되면서 시설 생활 ‘적응’에 대한 이슈가 대두되었다.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도입이후 부터 시설에서 삶의 질의 개념이 중요해지면서 부적응을 최소화할 수 있는 소규모 시설에 대한 필요성과 관심이 증대되고 있으나 이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에서 경험하는 당사자들의 중심 현상을 규명하고 그 과정을 서술하고 설명하는 실체이론을 개발하는데 의의를 두고 있다. 나아가 확인된 실체이론을 기반으로 입소 노인이 경험하는 시설생활 적응을 돕기 위한 간호접근을 모색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 입소 노인의 시설생활 적응과정을 면밀히 탐색하는 것이다. 이는 입소 노인이 어떠한 요인과 배경으로 입소하게 되는지, 시설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심리적, 사회적, 환경적 요인과 시설생활 적응으로 나아가는 과정에 대해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것이다. 연구 질문은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 입소 노인의 시설생활 적응과정은 어떠한가?’ 이다. 연구 방법은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에 입소하여 생활하고 있는 노인들의 시설 생활 적응 경험의 의미와 과정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근거이론 접근방법을 적용하였다. 근거 이론적 방법은 인간의 사회적·심리적 과정을 탐색하고 양적 연구로는 그 역동성을 파악하기 힘든 타인과의 상호작용(Strauss & Corbin, 1998)과 인간 행동의 본질을 이해하는데 적합한 연구 방법이다. 자료 수집은 IRB 승인 후 2015년 1월부터 2015년 4월까지 면대 면으로 개별적인 심층면담을 통해 이루어졌다. 자료 분석은 Strauss & Corbin(1998)의 개방코딩, 축코딩, 선택코딩의 과정으로 진행하였으며 각 단계는 순환적으로 반복되는 과정을 거쳤다. 그 결과 최종적으로 109개의 개념, 41개의 하위범주, 18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 결과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 입소 노인의 시설생활 적응과정을 나타내는 인과적 조건은 ‘아무짝에도 쓸모없는 몸’이었고, 맥락적 조건은 ‘벼랑 끝으로 내몰림’, ‘떠밀려옴’, ‘사면초가’였으며, 이에 따른 중심현상은 ‘서서히 무너져 내림’으로 나타났다. 중재적 조건은 ‘동료와의 공생(共生)’, ‘든든한 기둥: 자녀’, ‘가족 이상의 정(情): 직원’, ‘집과 같은 편안함’, ‘숨통이 트임: 제도’였고, 이에 따른 작용/상호작용 전략은 ‘현실 받아들이기’, ‘스스로 건강 챙기기’, ‘타인과 관계 맺기’, ‘신앙생활 하기’였다. 그 결과는 ‘날(捺)이 무뎌짐’, ‘지상낙원’, ‘소망을 가짐’, ‘기다림’으로 나타났다.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 입소 노인의 시설생활 적응과정의 핵심범주는 ‘새로운 가족과 함께 남은 삶 재구성해 나아가기’이며 이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불안기’, ‘탐색기’, ‘수용기’, ‘적응기’의 단계를 거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핵심범주를 중심으로 각 조건의 속성과 차원 사이에 있을 수 있는 8개의 가설적 관계 진술문을 전개하였으며 가설적 관계 진술문을 근거로 범주 간에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관계를 확인한 결과 갈등형, 체념형, 수용형의 3가지 유형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입소 노인이 소규모 시설의 두드러지는 특징인 집과 같은 환경의 편안함과 그 속에서 직원과 동료로부터 가족 이상의 정을 느끼며 새로운 가족으로 나아가는 상황을 제시하였다. 이는 소규모 시설생활에서 입소자들이 의지하는 대상이 자녀에서 점점 직원으로 전가되는 양상에 따라 직원들의 역할과 책임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간호학적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간호연구 및 이론 측면에서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 입소 노인들의 시설생활 적응과정에 대한 근거 이론적 접근을 통해 시설생활 적응과정에서 겪는 여러 가지 문제점과 그에 대한 반응 및 상호작용적 대처 전략에 관한 과정을 설명하는 실체이론과 이론적 기틀을 개발하였다. 둘째, 간호 실무를 위한 의의는 한국적 소규모 시설생활의 적응에 관한 프로그램 개발 및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셋째, 간호 교육을 위한 의의는 간호대학생과 현장에서 일하는 간호사, 지역사회 보건의료 종사자들에게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 시설입소 노인들의 특성과 삶에 대한 보다 깊은 이해를 도울 수 있을 것이다. 넷째, 간호 정책을 위한 의의는 소규모 시설의 증가로 인해 국가적인 체계적 관리를 위한 전담기구가 도입되어야 한다. 본 연구결과는 입소 노인들의 시설 적응이 용이한 소규모 시설의 확산을 위한 정책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주요어: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 적응, 시설생활, 타인과의 상호작용
With the increasing number of the elderly entering elderly care facilities caused by aging society and social structural change, the issue on ‘adaptation’ to the facilities is on the rise as various problems of the elderly in the facilities occur. As the concept of the quality of life in the facilit...
With the increasing number of the elderly entering elderly care facilities caused by aging society and social structural change, the issue on ‘adaptation’ to the facilities is on the rise as various problems of the elderly in the facilities occur. As the concept of the quality of life in the facilities is getting important, the necessity and interest on small-scale facilities that could minimize maladaptation have been increased since the Long-term Care Insurance was introduced, however, there are few studies on this.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key phenomenon of the elderly experiencing the phenomenon in the elderly Group-Homes and to create substance theory describing and explaining the process. Furthermore, the study also tries to find nursing access to help the elderly people in the elderly Group-Homes adapt the facility on the basis of identified substance theory. This study aims to closely search the process that the elderly in elderly Group-Homes adapt the facility life. This study leads to deep understanding which factors and background make the elderly people enter the facilities, factors such as personal, psychological, social, environmental factors that affect adaptation on the facility, and the process of adaptation. The question of the study is ‘How is the process that the elderly in the elderly Group-Homes adapt to the facility life?’ The study method is to apply grounded theory approach in order to deeply analyze the meaning and process of the experience of the elderly people’s adaption to elderly Group-Homes. The grounded theory approach explores the human’s social & psychological process and the quantitative study is a suitable study method to understand interaction with other people(Strauss & Corbin, 1998) and nature of human activity that are hard to figure out the dynamics. Collecting data was conducted through face to face individual interview from January 2015 to April 2015 since it was authorized by IRB. The analysis of the data was conducted with data collection at the same time and constant comparative method was used as analyzing method. As the method continuously compares collected data and conceptualize and categorize the data,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he process of open coding, axial coding, and selective coding of Strauss & Corbin(1998) and each step was repeated in the cyclical process. As the result of these processes, 109 concepts, 41 subcategories, and 18 categories were drawn. As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causal condition showing the process that the elderly in senior care congregate homes adapted to the facility life was ‘good-for-nothing body’, the contextual condition was ‘driven over the edge’, ‘pushed’, and ‘beleaguered’, and the key phenomenon according to these conditions was shown as ‘gradually giving up.’ The conciliatory conditions were ‘symbiosis with fellows’, ‘reliable pillar: children’, ‘having affection(情) more than having it to family: facility workers’, ‘comfort like feeling at home’, ‘relieved: system’, according to these, the strategies of action/interaction were ‘accepting reality’, ‘caring themselves’, ‘having relationship with other people’, ‘doing religious activity.’ The result was shown as ‘getting blunt’, ‘paradise on earth’, ‘having hope’, ‘waiting’. The key categories of the adaptation process of the elderly in elderly Group-Homes were ‘reorganizing the rest of the life with new family’ and it was found that this would go through the steps of ‘the period of anxiety’, ‘the period of exploring’, ‘the period of acceptance’, ‘the period of adaptation’ by time line. This study conducted to develop 8 hypothetical relation statements that could be in causal condition, contextual condition, conciliatory condition, the strategies of action/interaction, attributes and levels of the result on the basis of key categories and the study found 3 types, conflict type, resigned type, and accepting type as the result of checking repeated relations among the categories based on the hypothetical relation statement. This study suggested various strategies that the elderly adapt and experience through various interaction in elderly Group-Homes. This object that the elderly in the facilities tended to show their dependence is moved from their children to the facility workers, which suggests that the importance of the workers’ role and responsibility. The significances of this study in nursing are as follows; the meaning for study and theory on nursing is to develop substance theory and theoretical foundation that explain the many problems and responds during the adaption period and interactive counter strategies through grounded theoretic approach on adapting process of the elderly in elderly Group-Homes; in nursing service,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ic data for developing the program on adapting Korean small-scale living facilities and necessity; in nursing education, this study will help university students studying nursing, nurses working at field, healthcare officials in local area deeply understand the feature and the life of the elderly in elderly Group-Homes; the significance for nursing policy is that exclusive organization should be introduced in order for national systemized management caused by the increasing number of the small-scale facilities. The study result is able to provide basic data for establishing policies for the increasing number of the small-scale facilities which make the elderly adapt the facilities easily.
With the increasing number of the elderly entering elderly care facilities caused by aging society and social structural change, the issue on ‘adaptation’ to the facilities is on the rise as various problems of the elderly in the facilities occur. As the concept of the quality of life in the facilities is getting important, the necessity and interest on small-scale facilities that could minimize maladaptation have been increased since the Long-term Care Insurance was introduced, however, there are few studies on this.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key phenomenon of the elderly experiencing the phenomenon in the elderly Group-Homes and to create substance theory describing and explaining the process. Furthermore, the study also tries to find nursing access to help the elderly people in the elderly Group-Homes adapt the facility on the basis of identified substance theory. This study aims to closely search the process that the elderly in elderly Group-Homes adapt the facility life. This study leads to deep understanding which factors and background make the elderly people enter the facilities, factors such as personal, psychological, social, environmental factors that affect adaptation on the facility, and the process of adaptation. The question of the study is ‘How is the process that the elderly in the elderly Group-Homes adapt to the facility life?’ The study method is to apply grounded theory approach in order to deeply analyze the meaning and process of the experience of the elderly people’s adaption to elderly Group-Homes. The grounded theory approach explores the human’s social & psychological process and the quantitative study is a suitable study method to understand interaction with other people(Strauss & Corbin, 1998) and nature of human activity that are hard to figure out the dynamics. Collecting data was conducted through face to face individual interview from January 2015 to April 2015 since it was authorized by IRB. The analysis of the data was conducted with data collection at the same time and constant comparative method was used as analyzing method. As the method continuously compares collected data and conceptualize and categorize the data,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he process of open coding, axial coding, and selective coding of Strauss & Corbin(1998) and each step was repeated in the cyclical process. As the result of these processes, 109 concepts, 41 subcategories, and 18 categories were drawn. As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causal condition showing the process that the elderly in senior care congregate homes adapted to the facility life was ‘good-for-nothing body’, the contextual condition was ‘driven over the edge’, ‘pushed’, and ‘beleaguered’, and the key phenomenon according to these conditions was shown as ‘gradually giving up.’ The conciliatory conditions were ‘symbiosis with fellows’, ‘reliable pillar: children’, ‘having affection(情) more than having it to family: facility workers’, ‘comfort like feeling at home’, ‘relieved: system’, according to these, the strategies of action/interaction were ‘accepting reality’, ‘caring themselves’, ‘having relationship with other people’, ‘doing religious activity.’ The result was shown as ‘getting blunt’, ‘paradise on earth’, ‘having hope’, ‘waiting’. The key categories of the adaptation process of the elderly in elderly Group-Homes were ‘reorganizing the rest of the life with new family’ and it was found that this would go through the steps of ‘the period of anxiety’, ‘the period of exploring’, ‘the period of acceptance’, ‘the period of adaptation’ by time line. This study conducted to develop 8 hypothetical relation statements that could be in causal condition, contextual condition, conciliatory condition, the strategies of action/interaction, attributes and levels of the result on the basis of key categories and the study found 3 types, conflict type, resigned type, and accepting type as the result of checking repeated relations among the categories based on the hypothetical relation statement. This study suggested various strategies that the elderly adapt and experience through various interaction in elderly Group-Homes. This object that the elderly in the facilities tended to show their dependence is moved from their children to the facility workers, which suggests that the importance of the workers’ role and responsibility. The significances of this study in nursing are as follows; the meaning for study and theory on nursing is to develop substance theory and theoretical foundation that explain the many problems and responds during the adaption period and interactive counter strategies through grounded theoretic approach on adapting process of the elderly in elderly Group-Homes; in nursing service,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ic data for developing the program on adapting Korean small-scale living facilities and necessity; in nursing education, this study will help university students studying nursing, nurses working at field, healthcare officials in local area deeply understand the feature and the life of the elderly in elderly Group-Homes; the significance for nursing policy is that exclusive organization should be introduced in order for national systemized management caused by the increasing number of the small-scale facilities. The study result is able to provide basic data for establishing policies for the increasing number of the small-scale facilities which make the elderly adapt the facilities easily.
Keyword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 적응 시설생활 타인과의 상호작용 Elderly Group-Homes Adaptation Facility life interaction with other people
학위논문 정보
저자
윤희숙
학위수여기관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학위구분
국내박사
학과
간호학과 간호학 전공
지도교수
석소현
발행연도
2015
총페이지
ⅴ, 232 p.
키워드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 적응 시설생활 타인과의 상호작용 Elderly Group-Homes Adaptation Facility life interaction with other people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