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임상에서의 생존: 여성간호사에 대한 남성간호사의 적응 과정
Clinical Survival: Male Nurses Adaptation Process for Female Nurses 원문보기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JCCT = 문화기술의 융합, v.5 no.2, 2019년, pp.139 - 146  

김현수 (선린대학교 간호학과) ,  윤희장 (경북보건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남성간호사가 여성간호사에 대한 적응과정이 어떠한가를 남성의 관점에서 심도 있게 파악하여남성간호사의 여성간호사에 대한 적응의 의미를 찾는 것이다. 본 연구는 여성간호사에 대한 남성간호사의 적응은 어떠한가? 라는 연구 주제를 가지고 현상학적 방법을 통하여 남성간호사의 여성간호사에 대한 적응과정을 탐색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본 연구의 의도와 방법을 듣고 동의한 25개월 이상의 병원근무경력을 가진 남성간호사로 총 1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39개의 구성의미와 13개의 주제 묶음, 4개의 범주로 도출 되었다. 범주로는 부적응상황에 가로막힘, 대인관계로 동화되어 가기, 업무능력 향상시키기, 전담간호사로 피해가기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남성간호사의 여성간호사에 대한 적응 과정을 이해하여 임상 현장에서 효과적인 간호인력 관리 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meaning of male nurses's adaptation to female nurses by grsping deeply what the adaption process of male nurses is from male nurses's point of views. What is the adaptation of male nurses to female nurses? With this research subject, we explored the adaptation pr...

주제어

표/그림 (1)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목적은 현상학적 분석방법을 사용하여 남성간호사가 경험한 여성간호사에 대한 임상에서의 적응이 어떠했는지 남성간호사의 입장에서 심도 있게 분석함으로서 임상에서 일어나는 여성간호사에 대한 남성간호사의 적응과정에 대한 의미와 본질을 발견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여성간호사 대한 남성간호사의 임상에서의 적응은 어떠한가? 하는 연구 문제를 가지고 남성간호사의 임상적응과정을 탐색한 것이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여성간호사와 근무한 경험이 있는 남성간호사를 대상으로 현상학적 연구방법론을 사용하여 남성간호사의 여성간호사에 대한 적응 과정이 가지는 본질과 의미를 찾고자 한다. 본 연구의 문제는 여성간호사에 대한 남성간호사의 적응 과정은 무엇인가? 이다.
  • 타인이 보는 상황이든 보지 못하는 상황이든 다양한 업무방식과 업무과정 전체를 숙달하고자 부단히 노력하였다. 부딪침의 문제를 업무능력을 향상함으로 돌파하고자 노력하였다. 이 결과에 따라 부적응요인상황에 다시 가로막히는 상황에 머무르기도 했고 관계를 개선하는 시간을 확보하기도 했다.
  • 타인이 보는 상황이든 보지 못하는 상황이든 다양한 업무방식과 업무과정 전체를 모두 숙달하고자 부단히 노력하였다. 부딪침의 문제를 업무능력을 향상함으로 뛰어넘고자 노력하였다. 이 결과에 따라 부적응요인상황에 다시 가로막히는 상황에 머무르기도 했고 관계를 개선하는 시간을 확보하기도 했다.
  • 부적응상황이라는 장벽에 가로막힘을 경험한 참여자들은 임상에서 살아남기 위해 본 단계에서 업무 능력을 크게 향상시키려고 하였다. 타인이 보는 상황이든 보지 못하는 상황이든 다양한 업무방식과 업무과정 전체를 모두 숙달하고자 부단히 노력하였다.
  • 부적응상황이라는 장벽에 가로막힘을 경험한 참여자들은 임상에서 살아남기 위해 본 단계에서는 여성간호사들에게 동화되어가는 방법으로 관계를 개선하였다. 부딪침의 문제를 피해가거나 해소하려고 노력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여성간호사와 근무한 경험이 있는 남성간호사를 대상으로 현상학적 연구방법론을 사용하여 남성간호사의 여성간호사에 대한 적응 과정이 가지는 본질과 의미를 찾고자 한다. 본 연구의 문제는 여성간호사에 대한 남성간호사의 적응 과정은 무엇인가? 이다.
  • 부적응상황이라는 장벽에 가로막힘을 경험한 참여자들은 임상에서 살아남기 위해 본 단계에서 업무 능력을 크게 향상시키려고 하였다. 타인이 보는 상황이든 보지 못하는 상황이든 다양한 업무방식과 업무과정 전체를 모두 숙달하고자 부단히 노력하였다. 부딪침의 문제를 업무능력을 향상함으로 뛰어넘고자 노력하였다.
  • 부적응상황이라는 장벽에 가로막힘을 경험한 참여자들은 임상에서 살아남기 위해 본 단계에서 업무 능력을 크게 향상시키려고 하였다. 타인이 보는 상황이든 보지 못하는 상황이든 다양한 업무방식과 업무과정 전체를 숙달하고자 부단히 노력하였다. 부딪침의 문제를 업무능력을 향상함으로 돌파하고자 노력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Colaizzi[12]의 질적분석방법론의 특징은 무엇인가? 본 연구는 남성간호사의 여성간호사에 대한 적응 과정을 파악하기 위하여 연구 참여자의 경험이 의미하는 본질을 밝히는데 중점을 둔 Colaizzi[12]의 질적분석방법론을 적용하였다.
간호사가 업무를 원활히 수행하는데 필요한 대인관계에서 중요한 요소는 무엇인가? 간호사가 업무를 수행을 원활하게 하는데 있어 대인관계는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데 대인관계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의사소통이다[7]. 그러나 여성간호사와 남성간호사는 서로의 언어적 의사소통방식에 대해 불만족스러움을 적지 않게 호소하고 있고 이뿐만이 아니라 비언어적 의사소통방식도 다른 부분이 많아서 서로의 의사소통에 대하여 굉장한 거리감을 느끼고 있다[4][6].
남성간호사의 여성간호사에 대한 적응과정을 탐색한 결과는 어떻게 나타나는가? 연구 참여자는 본 연구의 의도와 방법을 듣고 동의한 25개월 이상의 병원근무경력을 가진 남성간호사로 총 1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39개의 구성의미와 13개의 주제 묶음, 4개의 범주로 도출 되었다. 범주로는 부적응상황에 가로막힘, 대인관계로 동화되어 가기, 업무능력 향상시키기, 전담간호사로 피해가기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남성간호사의 여성간호사에 대한 적응 과정을 이해하여 임상 현장에서 효과적인 간호인력 관리 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Korean Nurses Association. Male nurses 10,000 people ages: what things nursing should prepare. The Korean Nurses. (2016). 

  2. Korean Nurses Association. Male nursing students 10,000 people ages. The Korean Nurses. (2014). 

  3. Y. H. OH. Public hearing on the induction of public nurse system. Paper presented at the meeting of the public hearing about public health nurse system. Seoul: National Assembly of South Korea. (2014), pp.17-44. 

  4. H. S. Kim and J. S. Lee, Turnover experience of male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7), Vol.47, No.1, pp.25-38. https://doi.org/10.4040/jkan.2017.47.1.25 

  5. H. S. Kim, The job changing experience of a male nurse. [master's thesis]. Seoul: Hanyang University. (2013), pp.1-163. 

  6. H. S. Kim and E. J. Lee, Win-Win Partnership in the Clinical Setting: Female Nurses' Adaptive Experience to Male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8), Vol.24, No.5, pp.423-434. https://doi.org/10.1111/jkan.2018.24.5.423 

  7. Y. H. Ahn, E. K. Kweon, E. S. Choi and E. J. Gun, Effects of competency level in communication on professional competence of public health nurse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011), Vol.25, No.2, pp.233-243. 

  8. M.. K. Cho, C. G. Kim and H. J. Mo, Influence of interpersonal relation and job stress on nursing performance of male nurses.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2015), Vol.22, No..3, pp.195-204. https://doi.org/10.5953/jmjh.2015.22.3.195 

  9. S. Boughn, Why Women and Men Choose Nursing. Nursing and Health Care Perspectives. (2001) Vol.22, No.1, pp.14-19. 

  10. C. I. Yang, M. L. Gau, S. J. Shiau, W. H. Hu and F. J. Shih, Professional career development for male nurse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04), Vol.48, No.6, pp.642-650. 

  11. H. S. Park, J. H. Ha and M. H. Lee, The relationship among gender-role identity, gender stereotype,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of male nurse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4), Vol.15, No.5, pp.2962-2970. https://doi.org/10.5762/kais.2014.15.5.2962 

  12. P. F. Colaizzi, Psychological research as the phenomenologist views it,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978), pp. 48-71. 

  13. E. J. Lee, Types of male college of nursing students' adaptation to their academic department.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17), Vol.23, No.1, pp108-117. https://doi.org/10.22251/jlcci.2018.18.23.677 

  14. H. J. Yun, A study on the adaption process of experienced male nurses.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2016), Vol.6, No.7, pp209-217. https://doi.org/10.14257/ajmahs.2016.07.15 

  15. M. Y. Kim, An exploratory study of masculinity in nursing.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09), Vol.15, No.2, pp37-46. 

  16. J. H. Kang, Factors Affecting Social Support, Emotional Exhaustion and Job Stress on Job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Leave of Male Nurse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Home Care Nursing. (2018), Vol.25, No.2, pp175-183. 

  17. E. Y. Yeom and K. S. Seo, The influence of gender role conflict, nursing professionalism on turnover intention among male nurses.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16), Vol.16, No.12, pp.794-804. https://doi.org/10.5392/jkca.2016.16.12.794 

  18. H. M. Hwang and M. J. Kim, Relationship of Gender Role Conflict and Job Satisfaction to Turnover Intention for Men in Nursing.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7), Vol.23, No.1, pp.32-41. 

  19. Y. S. Lim and K. A. Kang, A study on the job satisfaction of the physician assistant (PA) male nurses: A mixed-method design.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017), Vol.26, No.2, pp93-104. 

  20. S. I. Im, J. H. Kim and H. J. Kwon, Relationships among bullying in workplace, burnout, and emotional intelligence of korean physician assistant (PA) nurses.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16), Vol.16, No.2, pp.703-713. https://doi.org/10.5392/jkca.2016.16.02.703 

  21. C. Y. Kwak and J. A. Park, Current roles and administrative facts of the korean physician assistant.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14), Vol.14, No.10, pp.583-595. https://doi.org/10.5392/jkca.2014.14.10.58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