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중무용에 있어 춤을 화려하게 장식하는 의물과 춤을 내용을 풍성하게 만드는 무구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궁중음악의 장중한 음률에 맞추어 추어지는 우아하면서 절제된 궁중무용의 춤사위는 초연한 듯 멋스럽고, 화려한 궁중무용의 복식과 궁중의물과 무구들은 함께 어우러져 우리문화만의 독창적인 색채의 아름다움과 춤의 구성에 의미를 더하여 우리의 궁중예술을 더욱 풍성하게 하였다.
본 연구는 당악정재에서 쓰여 지는 의물은 성종조의 『악학궤범』 중심으로 향악정재에 쓰여 지는 연출용 무구들은 무자년 『진작의궤』 와 기축년 『진찬의궤...
궁중무용에 있어 춤을 화려하게 장식하는 의물과 춤을 내용을 풍성하게 만드는 무구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궁중음악의 장중한 음률에 맞추어 추어지는 우아하면서 절제된 궁중무용의 춤사위는 초연한 듯 멋스럽고, 화려한 궁중무용의 복식과 궁중의물과 무구들은 함께 어우러져 우리문화만의 독창적인 색채의 아름다움과 춤의 구성에 의미를 더하여 우리의 궁중예술을 더욱 풍성하게 하였다.
본 연구는 당악정재에서 쓰여 지는 의물은 성종조의 『악학궤범』 중심으로 향악정재에 쓰여 지는 연출용 무구들은 무자년 『진작의궤』 와 기축년 『진찬의궤』 중심으로 연구 하였다. 그 춤이 만들어지게 된 시대적 배경과 정재의 예술적인 가치 살펴보고 함축된 의미를 궁중무용연구가 ‘하루미 선생’과 궁중의례전문가 ‘김거부 선생’의 인터뷰를 통하여 살펴보았다.
당악정재에 쓰여 지는 의물들은 고려시대부터 전해져 내려오는 <헌선도(獻仙桃)>, <수연장(壽宴長)>, <오양선(五羊仙)>, <포구락(抛毬樂)>, <연화대(蓮花臺)> 5종을 비롯해 조선 초기·중기에 창작되어진 <몽금척(夢金尺)>, <수보록(受寶?)> 등 여러 정재에서 의물들은 당악정재의 특징인양 주로 활용되어졌으며 8종의 의물들은 조선왕조의 융성과 축원을 담아 상징적으로 표현되고 제작되어 사용되어졌다. 이러한 당악정재의 형식을 벋어나려는 의도는 조선후기 순조조에 많은 정재들이 창작되고 춤의 내용을 상징적으로 함축한 무구들로 장식되며 향악정재의 전성기를 이루었다.
이렇듯, 궁중무용에 쓰여 의물들은 ‘태평성대’를 꿈꾸는 모든 이 들의 염원을 담은 상징물로, 궁중의 연향에서 추어졌을 정재에 넓고 화려한 궁궐의 앞마당에 만 백성의 꿈을 상기시켜 주었다. 궁중무용에 쓰여 지는 무구 또한, 왕조를 위해 축원의 의미를 함축시켜 헌정(獻呈)되지는 산물로 향악정재를 더욱 풍성하게 하였다.
예로부터 중국의 영향을 받아 그들의 문화를 섭렵하고 전승했던 우리의 문화예술들은 한글의 창제로 우리의 문학과 예술, 그리고 향악기의 발전으로 우리의 음악이 만들어지며 서로 어우러져, 지금에 우리의 전통예술은 궁중의 제례악과 연례악으로 그 깊이를 더해가며 발전되어왔고 궁중예술의 꽃 ‘정재’ 또한 더욱 발전되고 계승되어질 것이다.
궁중무용에 있어 춤을 화려하게 장식하는 의물과 춤을 내용을 풍성하게 만드는 무구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궁중음악의 장중한 음률에 맞추어 추어지는 우아하면서 절제된 궁중무용의 춤사위는 초연한 듯 멋스럽고, 화려한 궁중무용의 복식과 궁중의물과 무구들은 함께 어우러져 우리문화만의 독창적인 색채의 아름다움과 춤의 구성에 의미를 더하여 우리의 궁중예술을 더욱 풍성하게 하였다.
본 연구는 당악정재에서 쓰여 지는 의물은 성종조의 『악학궤범』 중심으로 향악정재에 쓰여 지는 연출용 무구들은 무자년 『진작의궤』 와 기축년 『진찬의궤』 중심으로 연구 하였다. 그 춤이 만들어지게 된 시대적 배경과 정재의 예술적인 가치 살펴보고 함축된 의미를 궁중무용연구가 ‘하루미 선생’과 궁중의례전문가 ‘김거부 선생’의 인터뷰를 통하여 살펴보았다.
당악정재에 쓰여 지는 의물들은 고려시대부터 전해져 내려오는 <헌선도(獻仙桃)>, <수연장(壽宴長)>, <오양선(五羊仙)>, <포구락(抛毬樂)>, <연화대(蓮花臺)> 5종을 비롯해 조선 초기·중기에 창작되어진 <몽금척(夢金尺)>, <수보록(受寶?)> 등 여러 정재에서 의물들은 당악정재의 특징인양 주로 활용되어졌으며 8종의 의물들은 조선왕조의 융성과 축원을 담아 상징적으로 표현되고 제작되어 사용되어졌다. 이러한 당악정재의 형식을 벋어나려는 의도는 조선후기 순조조에 많은 정재들이 창작되고 춤의 내용을 상징적으로 함축한 무구들로 장식되며 향악정재의 전성기를 이루었다.
이렇듯, 궁중무용에 쓰여 의물들은 ‘태평성대’를 꿈꾸는 모든 이 들의 염원을 담은 상징물로, 궁중의 연향에서 추어졌을 정재에 넓고 화려한 궁궐의 앞마당에 만 백성의 꿈을 상기시켜 주었다. 궁중무용에 쓰여 지는 무구 또한, 왕조를 위해 축원의 의미를 함축시켜 헌정(獻呈)되지는 산물로 향악정재를 더욱 풍성하게 하였다.
예로부터 중국의 영향을 받아 그들의 문화를 섭렵하고 전승했던 우리의 문화예술들은 한글의 창제로 우리의 문학과 예술, 그리고 향악기의 발전으로 우리의 음악이 만들어지며 서로 어우러져, 지금에 우리의 전통예술은 궁중의 제례악과 연례악으로 그 깊이를 더해가며 발전되어왔고 궁중예술의 꽃 ‘정재’ 또한 더욱 발전되고 계승되어질 것이다.
Ceremonial instruments that decorate dances and dancing tools that enrich the contents of dances play a crucial role in court dances. The gorgeous and moderated dancing steps of court dances, per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solemn rhythms of court music, seem to be transcendental and stylish, and t...
Ceremonial instruments that decorate dances and dancing tools that enrich the contents of dances play a crucial role in court dances. The gorgeous and moderated dancing steps of court dances, per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solemn rhythms of court music, seem to be transcendental and stylish, and the complete harmony of splendid costumes, ceremonial instruments and dancing tools of court dances all together adds meanings to the unique color and beauty of domestic culture, thus making domestic court art more abundant.
In this study, ceremonial instruments for Dangak court dances were examined based on 『Akhakgwebeom』 in the reign of Seongjong, and dancing tools for Hyangak court dances were examined based on 『Jinjakuigwe』 in the year of Muja and 『Jinchanuigwe』 in the year of Gichuk. The time setting and artistic value of court dances were examined and the implication of court dances were looked into through interviews with court dance researcher ‘Master Harumi’ and court ceremony specialist ‘Master Kim Geo-bu.’
For Dangak court dances, there were such ceremonial instruments as , , , and , which were transmitted from the Koryeo Dynasty, and and , which were created in the early and middle part of Joseon. These ceremonial instruments were utilized in a variety of court dances as if they were the unique feature of Dangak court dances, and 8 kinds of ceremonial instruments, produced in Joseon Dynasty, symbolically represented the prosperity and prayer for Joseon Dynasty. These attempts to get rid of the form of Dangak court dances fully blossomed in the reign of Sunjo in the latter part of Joseon and Hyangak court dances entered its heyday with the creation of many court dances and via the decoration of dances with such dancing tools that implying the contents of dances symbolically.
Therefore, ceremonial instruments, used in court dances, were symbols to contain the wish of all the people who dreamed ‘an age of peace’, and made all the people call their dream to mind when court dances were performed for court banquet in a wide and splendid front yard of court. In addition, dancing tools, used in court dances, were dedicated things to the prayer for dynasty and implied the meaning of prayer, and made Hyangak court dances more abundant.
Domestic culture and art, which had adopted and transmitted Chinese culture from ancient times, due to their influence, could develop our own culture and art at last with the creation of our literature, art and music through the invention of Hangeul and the development of domestic musical instruments. Since domestic traditional art of present-day has been intensified and developed with the ritual music and banquet music of court, ‘court dances’, namely the flower of court art, will be developed all the more in the future and transmitted to future generations.
Ceremonial instruments that decorate dances and dancing tools that enrich the contents of dances play a crucial role in court dances. The gorgeous and moderated dancing steps of court dances, per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solemn rhythms of court music, seem to be transcendental and stylish, and the complete harmony of splendid costumes, ceremonial instruments and dancing tools of court dances all together adds meanings to the unique color and beauty of domestic culture, thus making domestic court art more abundant.
In this study, ceremonial instruments for Dangak court dances were examined based on 『Akhakgwebeom』 in the reign of Seongjong, and dancing tools for Hyangak court dances were examined based on 『Jinjakuigwe』 in the year of Muja and 『Jinchanuigwe』 in the year of Gichuk. The time setting and artistic value of court dances were examined and the implication of court dances were looked into through interviews with court dance researcher ‘Master Harumi’ and court ceremony specialist ‘Master Kim Geo-bu.’
For Dangak court dances, there were such ceremonial instruments as , , , and , which were transmitted from the Koryeo Dynasty, and and , which were created in the early and middle part of Joseon. These ceremonial instruments were utilized in a variety of court dances as if they were the unique feature of Dangak court dances, and 8 kinds of ceremonial instruments, produced in Joseon Dynasty, symbolically represented the prosperity and prayer for Joseon Dynasty. These attempts to get rid of the form of Dangak court dances fully blossomed in the reign of Sunjo in the latter part of Joseon and Hyangak court dances entered its heyday with the creation of many court dances and via the decoration of dances with such dancing tools that implying the contents of dances symbolically.
Therefore, ceremonial instruments, used in court dances, were symbols to contain the wish of all the people who dreamed ‘an age of peace’, and made all the people call their dream to mind when court dances were performed for court banquet in a wide and splendid front yard of court. In addition, dancing tools, used in court dances, were dedicated things to the prayer for dynasty and implied the meaning of prayer, and made Hyangak court dances more abundant.
Domestic culture and art, which had adopted and transmitted Chinese culture from ancient times, due to their influence, could develop our own culture and art at last with the creation of our literature, art and music through the invention of Hangeul and the development of domestic musical instruments. Since domestic traditional art of present-day has been intensified and developed with the ritual music and banquet music of court, ‘court dances’, namely the flower of court art, will be developed all the more in the future and transmitted to future generations.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