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의사후변성학(Forensic Taphonomy)이란 사체가 사망한 후 변화되는 과정에 대하여 연구하는 학문으로서, 사체의 사망 당시와 이후의 변형을 식별하고, 사후정황정보를 수집하여 분석하는 것을 통하여 사체의 사망 당시와 그 이후에 발생한 모든 일들에 대한 사건의 재구성에 중점을 둔 학문으로서, 외국에서는 198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발전하였다. 유기체가 사망한 후 변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크게 지질학적, 생물학적, 그리고 인위적 요인으로 나눌 수 있다. 이 중 생물학적 요인 중 하나인 야생동물과 인위적 요인 중 하나인 예기를 사용한 절단이 돼지 사체의 사후변성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본 실험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1) 야외 환경에 서식하는 야생동물 중 돼지 사체의 변형에 영향을 미치는 부식동물에 대한 자료 수집, 2) 생물학적 요인 중 하나인 야생동물에 의한 사후변성, 3) 인위적 요인 중 하나인 예기에 의한 사후변성, 4) 야생동물과 예기에 의하여 변형된 각각의 특징을 비교하고, 마지막으로 5) 사체와 그 주변에서 발견할 수 있는 사후정황정보에 대하여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4가지 종류의 예기를 사용하여 돼지 사체의 다리를 절단한 후, 다리가 절단된 돼지 사체를 충청남도 아산시 신창면에 위치한 야산의 지면 위에 놓아두고 약 60일 간 돼지 사체의 변화과정을 관찰하였다. 추가적으로, 육식동물인 개에 의한 손상의 특징을 알아보기 위하여 사육되는 개의 먹이활동 이후에 남겨진 돼지 다리와 노루 사체를 수거하여 손상의 특징을 관찰하였다. 실험 결과, 충청남도 아산시 신창면의 야산에 서식하는 야생동물은 고양이, 멧돼지, 고라니, 까마귀, 까치, 그리고 그 외 조류 등이 있었으며, 이 중 돼지 사체의 변형에 영향을 미친 부식동물은 고양이, 까마귀, 까치 그리고 두 종류의 조류였다. 관찰된 부식동물들이 돼지 사체에서 집중적으로 먹이활동을 한 부위는, 예기에 의한 사전 손상이 남겨져 있던 돼지의 사지와 복부 부위였다. 또한 부식동물들은 돼지 사체의 부패 과정에서 구더기의 활동이 활발한 부패활성기 단계를 제외한, 신선기, 팽창기, 그리고 후부패기 단계에서 돼지 사체에 접근하여 먹이활동을 함으로써 사체와 현장의 변형에 영향을 미쳤다. 본 실험에서 야생동물에 의하여 현장에 남겨진 사후정황정보(postmortem ...
법의사후변성학(Forensic Taphonomy)이란 사체가 사망한 후 변화되는 과정에 대하여 연구하는 학문으로서, 사체의 사망 당시와 이후의 변형을 식별하고, 사후정황정보를 수집하여 분석하는 것을 통하여 사체의 사망 당시와 그 이후에 발생한 모든 일들에 대한 사건의 재구성에 중점을 둔 학문으로서, 외국에서는 198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발전하였다. 유기체가 사망한 후 변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크게 지질학적, 생물학적, 그리고 인위적 요인으로 나눌 수 있다. 이 중 생물학적 요인 중 하나인 야생동물과 인위적 요인 중 하나인 예기를 사용한 절단이 돼지 사체의 사후변성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본 실험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1) 야외 환경에 서식하는 야생동물 중 돼지 사체의 변형에 영향을 미치는 부식동물에 대한 자료 수집, 2) 생물학적 요인 중 하나인 야생동물에 의한 사후변성, 3) 인위적 요인 중 하나인 예기에 의한 사후변성, 4) 야생동물과 예기에 의하여 변형된 각각의 특징을 비교하고, 마지막으로 5) 사체와 그 주변에서 발견할 수 있는 사후정황정보에 대하여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4가지 종류의 예기를 사용하여 돼지 사체의 다리를 절단한 후, 다리가 절단된 돼지 사체를 충청남도 아산시 신창면에 위치한 야산의 지면 위에 놓아두고 약 60일 간 돼지 사체의 변화과정을 관찰하였다. 추가적으로, 육식동물인 개에 의한 손상의 특징을 알아보기 위하여 사육되는 개의 먹이활동 이후에 남겨진 돼지 다리와 노루 사체를 수거하여 손상의 특징을 관찰하였다. 실험 결과, 충청남도 아산시 신창면의 야산에 서식하는 야생동물은 고양이, 멧돼지, 고라니, 까마귀, 까치, 그리고 그 외 조류 등이 있었으며, 이 중 돼지 사체의 변형에 영향을 미친 부식동물은 고양이, 까마귀, 까치 그리고 두 종류의 조류였다. 관찰된 부식동물들이 돼지 사체에서 집중적으로 먹이활동을 한 부위는, 예기에 의한 사전 손상이 남겨져 있던 돼지의 사지와 복부 부위였다. 또한 부식동물들은 돼지 사체의 부패 과정에서 구더기의 활동이 활발한 부패활성기 단계를 제외한, 신선기, 팽창기, 그리고 후부패기 단계에서 돼지 사체에 접근하여 먹이활동을 함으로써 사체와 현장의 변형에 영향을 미쳤다. 본 실험에서 야생동물에 의하여 현장에 남겨진 사후정황정보(postmortem context)로는 깃털, 발자국, 배설물을 발견할 수 있었으며, 예기에 의해 남겨진 사후정황정보로는, 절단에 사용한 도구로부터 전이된 페인트였다. 전이된 페인트는 약 60일간 대기 중에 노출된 상태였음에도 불구하고, 육안으로 관찰이 가능했다. 육식동물 중 가장 흔한 부식동물로 알려진 개에 의한 손상의 특징을 관찰한 결과, 노루 사체와 돼지 다리에서 작게 패인 자국(pits), 구멍(punctures), 긁힌 자국(scores), 파인 흔적(furrows), 그리고 깨진 모서리(chipped back margins)를 관찰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특징들은 뼈의 형태학적 차이에 의해 다르게 남겨졌다. 예기에 의한 손상에서 보이는 특징은 벤 흔적(cut marks), 찍은 흔적(chop marks), 긁은 흔적(scrape marks)으로 나눌 수 있으며, 톱, 쇠톱, 칼, 그리고 도끼를 사용하여 절단한 부위에는 도구 날과 수반되는 행위의 차이에 의해 다르게 남겨졌다. 육식동물인 개의 먹이활동 과정에서 뼈에 남겨진 손상과 예기를 사용하여 뼈를 절단하는 과정에서 각각 남겨진 손상의 특징을 형태학적으로 비교한 결과, 육식동물에 의해 남겨진 손상은 거칠고 불규칙적이며, 손상부위의 바닥면이 ‘U’자 모양을 형성하는 반면, 날이 매끄러운 예기에 의해 남겨진 손상은 손상부위의 바닥면이 ‘V’자 또는 ‘W’자 모양을 형성한다. 절단된 피부의 경우, 육식동물에 의해 잘린 부분과 예기에 의해 잘린 부분의 차이를 육안으로 구분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유기체의 사망 후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다양하다. 따라서 이러한 요인들에 대한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자료를 수집하여 실제 상황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지역과 시기, 사체의 상태 등을 고려한 추가적인 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 더불어 사체와 현장의 변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고려한 현장 조사와 함께 현장을 거시적인 시각으로 바라보고 접근할 필요가 있다.
법의사후변성학(Forensic Taphonomy)이란 사체가 사망한 후 변화되는 과정에 대하여 연구하는 학문으로서, 사체의 사망 당시와 이후의 변형을 식별하고, 사후정황정보를 수집하여 분석하는 것을 통하여 사체의 사망 당시와 그 이후에 발생한 모든 일들에 대한 사건의 재구성에 중점을 둔 학문으로서, 외국에서는 198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발전하였다. 유기체가 사망한 후 변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크게 지질학적, 생물학적, 그리고 인위적 요인으로 나눌 수 있다. 이 중 생물학적 요인 중 하나인 야생동물과 인위적 요인 중 하나인 예기를 사용한 절단이 돼지 사체의 사후변성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본 실험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1) 야외 환경에 서식하는 야생동물 중 돼지 사체의 변형에 영향을 미치는 부식동물에 대한 자료 수집, 2) 생물학적 요인 중 하나인 야생동물에 의한 사후변성, 3) 인위적 요인 중 하나인 예기에 의한 사후변성, 4) 야생동물과 예기에 의하여 변형된 각각의 특징을 비교하고, 마지막으로 5) 사체와 그 주변에서 발견할 수 있는 사후정황정보에 대하여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4가지 종류의 예기를 사용하여 돼지 사체의 다리를 절단한 후, 다리가 절단된 돼지 사체를 충청남도 아산시 신창면에 위치한 야산의 지면 위에 놓아두고 약 60일 간 돼지 사체의 변화과정을 관찰하였다. 추가적으로, 육식동물인 개에 의한 손상의 특징을 알아보기 위하여 사육되는 개의 먹이활동 이후에 남겨진 돼지 다리와 노루 사체를 수거하여 손상의 특징을 관찰하였다. 실험 결과, 충청남도 아산시 신창면의 야산에 서식하는 야생동물은 고양이, 멧돼지, 고라니, 까마귀, 까치, 그리고 그 외 조류 등이 있었으며, 이 중 돼지 사체의 변형에 영향을 미친 부식동물은 고양이, 까마귀, 까치 그리고 두 종류의 조류였다. 관찰된 부식동물들이 돼지 사체에서 집중적으로 먹이활동을 한 부위는, 예기에 의한 사전 손상이 남겨져 있던 돼지의 사지와 복부 부위였다. 또한 부식동물들은 돼지 사체의 부패 과정에서 구더기의 활동이 활발한 부패활성기 단계를 제외한, 신선기, 팽창기, 그리고 후부패기 단계에서 돼지 사체에 접근하여 먹이활동을 함으로써 사체와 현장의 변형에 영향을 미쳤다. 본 실험에서 야생동물에 의하여 현장에 남겨진 사후정황정보(postmortem context)로는 깃털, 발자국, 배설물을 발견할 수 있었으며, 예기에 의해 남겨진 사후정황정보로는, 절단에 사용한 도구로부터 전이된 페인트였다. 전이된 페인트는 약 60일간 대기 중에 노출된 상태였음에도 불구하고, 육안으로 관찰이 가능했다. 육식동물 중 가장 흔한 부식동물로 알려진 개에 의한 손상의 특징을 관찰한 결과, 노루 사체와 돼지 다리에서 작게 패인 자국(pits), 구멍(punctures), 긁힌 자국(scores), 파인 흔적(furrows), 그리고 깨진 모서리(chipped back margins)를 관찰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특징들은 뼈의 형태학적 차이에 의해 다르게 남겨졌다. 예기에 의한 손상에서 보이는 특징은 벤 흔적(cut marks), 찍은 흔적(chop marks), 긁은 흔적(scrape marks)으로 나눌 수 있으며, 톱, 쇠톱, 칼, 그리고 도끼를 사용하여 절단한 부위에는 도구 날과 수반되는 행위의 차이에 의해 다르게 남겨졌다. 육식동물인 개의 먹이활동 과정에서 뼈에 남겨진 손상과 예기를 사용하여 뼈를 절단하는 과정에서 각각 남겨진 손상의 특징을 형태학적으로 비교한 결과, 육식동물에 의해 남겨진 손상은 거칠고 불규칙적이며, 손상부위의 바닥면이 ‘U’자 모양을 형성하는 반면, 날이 매끄러운 예기에 의해 남겨진 손상은 손상부위의 바닥면이 ‘V’자 또는 ‘W’자 모양을 형성한다. 절단된 피부의 경우, 육식동물에 의해 잘린 부분과 예기에 의해 잘린 부분의 차이를 육안으로 구분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유기체의 사망 후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다양하다. 따라서 이러한 요인들에 대한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자료를 수집하여 실제 상황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지역과 시기, 사체의 상태 등을 고려한 추가적인 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 더불어 사체와 현장의 변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고려한 현장 조사와 함께 현장을 거시적인 시각으로 바라보고 접근할 필요가 있다.
Forensic taphonomy can be defined as the study of postmortem processes by collecting and analyzing contextual data and identifying postmortem modification of the remains and the scene. The study has been developed abroad since the 1980s. Taphonomic factors affecting modification of remains can be di...
Forensic taphonomy can be defined as the study of postmortem processes by collecting and analyzing contextual data and identifying postmortem modification of the remains and the scene. The study has been developed abroad since the 1980s. Taphonomic factors affecting modification of remains can be divided into three groups: geological, biological, and human-induced. This study, focused on taphonomic modification of animal remains produced by scavengers and sharp-edged tools among various factor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1) to collect data about scavengers inhabiting Asan, Korea, 2) to collect data about morphological features produced by scavengers on animal remains placed on the surface of outdoor site, 3) to collect data about morphological features produced by sharp-edged tools on animal remains, 4) to discriminate features produced by scavengers and sharp-edged tools on animal remains through comparing and analyzing morphological features left on animal remains, and 5) to find out postmortem context left on the remains and the scene. To collect data about scavengers inhabiting Asan, Korea and to find out how they modify remains, experiments were conducted. In the first experiment, limbs of a pig carcass were cut by four types of sharp-edged tool and placed on the surface of outdoor site in Asan, Korea, for two months. An additional experiment was conducted to observe features produced by a domestic dog. For this study, a pig limb was used as bait for a domestic dog. The remaining pig limb was collected when the dog had finished the consumption and did not show interest in the pig limb. In addition, deer remains consumed by the dog for three days was collected. During the duration of the first experiment, wild cats, wild boars, water deers, crows, magpies, and other birds were observed at the site where the pig carcass was placed on. Among the observed wildlife, wild cats, crows, and magpies scavenged the animal remains. Those scavengers preferred to eat soft tissue of limbs and abdomen which had already been exposed by dismembering the animal remains using different types of sharp-edged tool. Based on five general stages of decomposition, wild cats scavenged the animal remains during fresh stage, and crows and magpies scavenged the animal remains during bloating and post-decay stages. Modification of the animal remains and the site were influenced by those wildlife’s behavior. In this study, feathers, footprints, and droppings left behind by wildlife were observed on the peripheral site as postmortem context. Transferred paint from the hacksaw blade during dismembering pig’s limb was observed on the surface of the severed bone. Although the bone had been exposed for 60 days, the transferred paint was still easily recognizable with the naked eye. As a result of the additional experiment, morphological features produced by a domestic dog were observed as pits, punctures, scores, furrows, and chipped back margins on the bones of a pig limb and a deer which had been consumed by the dog. In addition, varying features were left depending on the morphological differences of bones. Also observed were the distinct cut marks, chop marks, and scrape marks produced by different types of sharp-edged tool during dismemberment of the pig’s limbs. Depending on blade types of tools and accompanied actions, different features were produced. The results of comparing features produced by a domestic dog and those of sharp-edged tools showed that, the features produced by scavengers were observed to be more rough and irregular, and resembled a ‘U-shape,’ whereas the features produced by sharp-edged tools showed a kerf floor and resembled a ‘V-shape’ or ‘W-shape.’ Moreover, morphological features of incised skin cut by both scavengers and sharp-edged tools were looked similar. Therefore, it was not easy to discriminate features on incised skin between a cut by scavengers versus that of a sharp-edged tool with the naked eye. This study only focused on few factors affecting postmortem modification of remains. Therefore, to gather objective and scientific data which can be applied to real cases, research should consider diverse effects. Moreover, factors affecting modification of remains and the scene also be considered when investigating a crime scene with a holistic approach.
Forensic taphonomy can be defined as the study of postmortem processes by collecting and analyzing contextual data and identifying postmortem modification of the remains and the scene. The study has been developed abroad since the 1980s. Taphonomic factors affecting modification of remains can be divided into three groups: geological, biological, and human-induced. This study, focused on taphonomic modification of animal remains produced by scavengers and sharp-edged tools among various factor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1) to collect data about scavengers inhabiting Asan, Korea, 2) to collect data about morphological features produced by scavengers on animal remains placed on the surface of outdoor site, 3) to collect data about morphological features produced by sharp-edged tools on animal remains, 4) to discriminate features produced by scavengers and sharp-edged tools on animal remains through comparing and analyzing morphological features left on animal remains, and 5) to find out postmortem context left on the remains and the scene. To collect data about scavengers inhabiting Asan, Korea and to find out how they modify remains, experiments were conducted. In the first experiment, limbs of a pig carcass were cut by four types of sharp-edged tool and placed on the surface of outdoor site in Asan, Korea, for two months. An additional experiment was conducted to observe features produced by a domestic dog. For this study, a pig limb was used as bait for a domestic dog. The remaining pig limb was collected when the dog had finished the consumption and did not show interest in the pig limb. In addition, deer remains consumed by the dog for three days was collected. During the duration of the first experiment, wild cats, wild boars, water deers, crows, magpies, and other birds were observed at the site where the pig carcass was placed on. Among the observed wildlife, wild cats, crows, and magpies scavenged the animal remains. Those scavengers preferred to eat soft tissue of limbs and abdomen which had already been exposed by dismembering the animal remains using different types of sharp-edged tool. Based on five general stages of decomposition, wild cats scavenged the animal remains during fresh stage, and crows and magpies scavenged the animal remains during bloating and post-decay stages. Modification of the animal remains and the site were influenced by those wildlife’s behavior. In this study, feathers, footprints, and droppings left behind by wildlife were observed on the peripheral site as postmortem context. Transferred paint from the hacksaw blade during dismembering pig’s limb was observed on the surface of the severed bone. Although the bone had been exposed for 60 days, the transferred paint was still easily recognizable with the naked eye. As a result of the additional experiment, morphological features produced by a domestic dog were observed as pits, punctures, scores, furrows, and chipped back margins on the bones of a pig limb and a deer which had been consumed by the dog. In addition, varying features were left depending on the morphological differences of bones. Also observed were the distinct cut marks, chop marks, and scrape marks produced by different types of sharp-edged tool during dismemberment of the pig’s limbs. Depending on blade types of tools and accompanied actions, different features were produced. The results of comparing features produced by a domestic dog and those of sharp-edged tools showed that, the features produced by scavengers were observed to be more rough and irregular, and resembled a ‘U-shape,’ whereas the features produced by sharp-edged tools showed a kerf floor and resembled a ‘V-shape’ or ‘W-shape.’ Moreover, morphological features of incised skin cut by both scavengers and sharp-edged tools were looked similar. Therefore, it was not easy to discriminate features on incised skin between a cut by scavengers versus that of a sharp-edged tool with the naked eye. This study only focused on few factors affecting postmortem modification of remains. Therefore, to gather objective and scientific data which can be applied to real cases, research should consider diverse effects. Moreover, factors affecting modification of remains and the scene also be considered when investigating a crime scene with a holistic approach.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