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시각문화미술의 예술적 가치를 이해하고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자유롭게 표현하는 능력을 길러줄 수 있는 프로그램을 연구 개발하기 위한 것이다. 미술의 개념이 fine art에서 조형예술, 시각미술을 거쳐 시각문화미술로 변화되면서 그 영역 또한 계속 확장되어 우리 생활 모든 영역과 관련된 시각문화를 의미하게 되었다. 현 미술교육과정은 이런 현시대의 사회적 요구와 일상 생활과의 관련성과 연계하여 구성되었다. 그러나 교육현장에서는 그에 대한 실천적 교육이 현실화 되지 못하고 동시대의 시각문화미술과의 소통을 잃어버린 채 아직도 전통적인 구상회화를 중시하여 실제 세계를 사실적으로 재현할 수 없는 학생들은 자신의 내면을 예술적으로 표현하지 못하고 있다. 이는 느낌과 생각을 창의적으로 표현하고 소통하며 미적 감수성과 직관으로 대상을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교육과정의 미술교육과도 거리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그림책의 예술성과 대중성, 창조적인 속성을 통하여 시각문화미술에 대한 이해를 확장하고, 사실성에 중점을 두는 시각적인 표현활동의 부담에서 벗어나 창의적이고 행복한 표현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 연구에서 첫째, 문헌 연구를 통하여 시각문화미술교육의 개념과 필요성, 시각문화미술의 교육적 특징을 연구하였다. 둘째, 그림책의 교육적 가치를 모색하고, 현행 초등학교 미술과 교육과정과 미술교과서의 그림책 관련 교육내용을 분석하였다. 셋째, 분석 연구한 내용을 바탕으로 시각문화미술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초등학교 3학년 1학급 학생을 대상으로 적용하였다. 넷째, ...
본 연구는 시각문화미술의 예술적 가치를 이해하고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자유롭게 표현하는 능력을 길러줄 수 있는 프로그램을 연구 개발하기 위한 것이다. 미술의 개념이 fine art에서 조형예술, 시각미술을 거쳐 시각문화미술로 변화되면서 그 영역 또한 계속 확장되어 우리 생활 모든 영역과 관련된 시각문화를 의미하게 되었다. 현 미술교육과정은 이런 현시대의 사회적 요구와 일상 생활과의 관련성과 연계하여 구성되었다. 그러나 교육현장에서는 그에 대한 실천적 교육이 현실화 되지 못하고 동시대의 시각문화미술과의 소통을 잃어버린 채 아직도 전통적인 구상회화를 중시하여 실제 세계를 사실적으로 재현할 수 없는 학생들은 자신의 내면을 예술적으로 표현하지 못하고 있다. 이는 느낌과 생각을 창의적으로 표현하고 소통하며 미적 감수성과 직관으로 대상을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교육과정의 미술교육과도 거리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그림책의 예술성과 대중성, 창조적인 속성을 통하여 시각문화미술에 대한 이해를 확장하고, 사실성에 중점을 두는 시각적인 표현활동의 부담에서 벗어나 창의적이고 행복한 표현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 연구에서 첫째, 문헌 연구를 통하여 시각문화미술교육의 개념과 필요성, 시각문화미술의 교육적 특징을 연구하였다. 둘째, 그림책의 교육적 가치를 모색하고, 현행 초등학교 미술과 교육과정과 미술교과서의 그림책 관련 교육내용을 분석하였다. 셋째, 분석 연구한 내용을 바탕으로 시각문화미술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초등학교 3학년 1학급 학생을 대상으로 적용하였다. 넷째, 질적 연구 방법으로 프로그램의 적용 전 후의 활동들을 분석하였다. 이 프로그램을 통해 그림책을 통한 다양한 그림책을 체험하고 표현할 수 있는 경험을 할 수 있었고, 이러한 경험들은 그림책을 통해 시각문화미술의 예술적 가치와 자신의 삶을 이해할 수 있는 바탕이 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각문화미술교육 학습을 통하여 학생 자신에 대한 정체성과 자신감을 가지게 되었다. 둘째, 그림책을 통한 체험, 비교 감상, 다양한 표현 활동 등으로 시각문화미술의 개념인 정체성, 상상력, 비평, 매체, 사회, 문화 등을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 셋째, 표현활동에 있어 소재와 주제의 확장이 이루어졌다. 주제중심, 내용 위주로 읽었던 그림책을 이미지에 대한 교사의 발문과 다양한 활동의 체험으로 학생들이 주제의 확장 뿐 아니라 표현재료와 표현방법 등에서도 창의적이고도 자유로운 표현활동을 가능케 하였다. 넷째, 그림책 만들기 및 다양한 표현활동을 통해 힘든 것을 인내하고, 어려운 것을 극복할 수 있는 경험을 할 수 있었다. 학생들은 그림책 체험 속의 이 이야기와 저 이야기 속에서 자신의 이야기를 만들었고, 주인공과 등장 인물 설정, 제목과 내용에 맞는 제목과 표지 이미지 선정, 배경 설정, 바탕지의 색과 재질 결정, 이에 필요한 재료와 도구의 선정, 바탕지에 재료들의 고착성, 그림책 제본 등의 활동을 통해 자신이 바로 작가일 수 있다는 생각과 표현활동 중에 힘든 것을 인내하고, 어려운 것을 극복할 수 있는 경험을 하였다. 다섯째, 그림책 표현활동을 통해 미술교과만이 줄 수 있는 즐거움을 느낄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시각문화미술의 예술적 가치를 이해하고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자유롭게 표현하는 능력을 길러줄 수 있는 프로그램을 연구 개발하기 위한 것이다. 미술의 개념이 fine art에서 조형예술, 시각미술을 거쳐 시각문화미술로 변화되면서 그 영역 또한 계속 확장되어 우리 생활 모든 영역과 관련된 시각문화를 의미하게 되었다. 현 미술교육과정은 이런 현시대의 사회적 요구와 일상 생활과의 관련성과 연계하여 구성되었다. 그러나 교육현장에서는 그에 대한 실천적 교육이 현실화 되지 못하고 동시대의 시각문화미술과의 소통을 잃어버린 채 아직도 전통적인 구상회화를 중시하여 실제 세계를 사실적으로 재현할 수 없는 학생들은 자신의 내면을 예술적으로 표현하지 못하고 있다. 이는 느낌과 생각을 창의적으로 표현하고 소통하며 미적 감수성과 직관으로 대상을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교육과정의 미술교육과도 거리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그림책의 예술성과 대중성, 창조적인 속성을 통하여 시각문화미술에 대한 이해를 확장하고, 사실성에 중점을 두는 시각적인 표현활동의 부담에서 벗어나 창의적이고 행복한 표현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 연구에서 첫째, 문헌 연구를 통하여 시각문화미술교육의 개념과 필요성, 시각문화미술의 교육적 특징을 연구하였다. 둘째, 그림책의 교육적 가치를 모색하고, 현행 초등학교 미술과 교육과정과 미술교과서의 그림책 관련 교육내용을 분석하였다. 셋째, 분석 연구한 내용을 바탕으로 시각문화미술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초등학교 3학년 1학급 학생을 대상으로 적용하였다. 넷째, 질적 연구 방법으로 프로그램의 적용 전 후의 활동들을 분석하였다. 이 프로그램을 통해 그림책을 통한 다양한 그림책을 체험하고 표현할 수 있는 경험을 할 수 있었고, 이러한 경험들은 그림책을 통해 시각문화미술의 예술적 가치와 자신의 삶을 이해할 수 있는 바탕이 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각문화미술교육 학습을 통하여 학생 자신에 대한 정체성과 자신감을 가지게 되었다. 둘째, 그림책을 통한 체험, 비교 감상, 다양한 표현 활동 등으로 시각문화미술의 개념인 정체성, 상상력, 비평, 매체, 사회, 문화 등을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 셋째, 표현활동에 있어 소재와 주제의 확장이 이루어졌다. 주제중심, 내용 위주로 읽었던 그림책을 이미지에 대한 교사의 발문과 다양한 활동의 체험으로 학생들이 주제의 확장 뿐 아니라 표현재료와 표현방법 등에서도 창의적이고도 자유로운 표현활동을 가능케 하였다. 넷째, 그림책 만들기 및 다양한 표현활동을 통해 힘든 것을 인내하고, 어려운 것을 극복할 수 있는 경험을 할 수 있었다. 학생들은 그림책 체험 속의 이 이야기와 저 이야기 속에서 자신의 이야기를 만들었고, 주인공과 등장 인물 설정, 제목과 내용에 맞는 제목과 표지 이미지 선정, 배경 설정, 바탕지의 색과 재질 결정, 이에 필요한 재료와 도구의 선정, 바탕지에 재료들의 고착성, 그림책 제본 등의 활동을 통해 자신이 바로 작가일 수 있다는 생각과 표현활동 중에 힘든 것을 인내하고, 어려운 것을 극복할 수 있는 경험을 하였다. 다섯째, 그림책 표현활동을 통해 미술교과만이 줄 수 있는 즐거움을 느낄 수 있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