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불안정한 지면에서 하지 기능 운동이 뇌병변 청소년들의 하지근력 및 균형능력에 대하여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1회 50분, 주 2회, 12주 동안 실험집단의 뇌병변 청소년 12명에 대해 불안정한 지면에서 하지 기능 운동을 적용하였고, 통제집단의 뇌병변 청소년 12명에 대해 일상생활 외 다른 처치를 하지 않았다. 운동 전과 운동 후에 대상자들의 하지근력 및 균형능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세라밴드를 이용한 하지근력 검사, 정적균형능력 검사(외발서기, FRT), ...
본 연구에서는 불안정한 지면에서 하지 기능 운동이 뇌병변 청소년들의 하지근력 및 균형능력에 대하여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1회 50분, 주 2회, 12주 동안 실험집단의 뇌병변 청소년 12명에 대해 불안정한 지면에서 하지 기능 운동을 적용하였고, 통제집단의 뇌병변 청소년 12명에 대해 일상생활 외 다른 처치를 하지 않았다. 운동 전과 운동 후에 대상자들의 하지근력 및 균형능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세라밴드를 이용한 하지근력 검사, 정적균형능력 검사(외발서기, FRT), 동적균형능력 검사(TUG, 10m 보행, 3m 보행)를 사용하였다.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2×2 혼합설계 two-way ANOVA를 적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세라밴드를 이용한 하지근력을 측정한 결과 고관절 굴곡력과 신근력이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p=.000), 슬관절 굴곡력과 신근력도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0). 둘째, 정적균형능력에서 눈뜨고 외발서기, 기능적 팔뻗기(FRT)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0, p=.002). 셋째, 동적균형능력은 일어나 걸어가기(TUG), 3m 직선보행(Tandem Gait Test)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고(p=.000, p=.000), 10m 직선보행(Straight Walking Test)은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12주간 불안정한 지면에서 하지 기능 운동은 뇌병변 청소년들의 하지근력과 동적 및 정적 균형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는 불안정한 지면에서 하지 기능 운동이 뇌병변 청소년들의 하지근력 및 균형능력에 대하여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1회 50분, 주 2회, 12주 동안 실험집단의 뇌병변 청소년 12명에 대해 불안정한 지면에서 하지 기능 운동을 적용하였고, 통제집단의 뇌병변 청소년 12명에 대해 일상생활 외 다른 처치를 하지 않았다. 운동 전과 운동 후에 대상자들의 하지근력 및 균형능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세라밴드를 이용한 하지근력 검사, 정적균형능력 검사(외발서기, FRT), 동적균형능력 검사(TUG, 10m 보행, 3m 보행)를 사용하였다.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2×2 혼합설계 two-way ANOVA를 적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세라밴드를 이용한 하지근력을 측정한 결과 고관절 굴곡력과 신근력이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p=.000), 슬관절 굴곡력과 신근력도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0). 둘째, 정적균형능력에서 눈뜨고 외발서기, 기능적 팔뻗기(FRT)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0, p=.002). 셋째, 동적균형능력은 일어나 걸어가기(TUG), 3m 직선보행(Tandem Gait Test)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고(p=.000, p=.000), 10m 직선보행(Straight Walking Test)은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12주간 불안정한 지면에서 하지 기능 운동은 뇌병변 청소년들의 하지근력과 동적 및 정적 균형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사료된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