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기반 SNS인 인스타그램의 가입자 수가 급증하면서 많은 기업과 브랜드에서 인스타그램의 해시태그 기능에 주목하며 다양한 인스타그램 마케팅을 실시하고 있다. 특히 해시태그는 최신 트렌드와 이슈, 소비자들의 관심사 등을 쉽게 파악할 수 있게 하며, SNS 사용자들은 자신의 패션스타일, 일상 또는 관심사를 공유하는 과정에서 해시태그를 통해 해당 제품의 이름 또는 브랜드를 언급하게 된다. 즉, 기업이나 브랜드에서 직접적인 마케팅을 진행하지 않더라도 SNS 사용자들의 해시태그 사용에 따라 간접적으로 기업이나 브랜드 또는 제품을 자연스럽게 노출시킬 수도 있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인스타그램에서 패션브랜드의 브랜드해시태그(#브랜드명)의 이용현황에 대해 알아보았다. 첫째, 브랜드해시태그가 사용된 총 게시물의 수에 대해 알아보고 게시물의 좋아요 수와 사용자의 팔로워 수 사이의 상관관계, 그리고 팔로워 수에 따른 평균 좋아요 수에 대해 알아보았다. 둘째, 사용자의 성별, 브랜드해시태그가 사용된 지역(나라)과 날짜에 따른 브랜드해시태그의 이용현황에 대해 알아보았다. 즉, 브랜드해시태그 별로 조사기간 중의 브랜드해시태그가 포함된 총 게시물의 수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특성에 따른 이용의 차이를 알아보았으며, 특정 이슈가 있는 날짜에 브랜드해시태그 이용의 변화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셋째, 브랜드해시태그가 사용된 게시물에 함께 사용된 연관 해시태그에 대해 알아보았고, 브랜드자산의 요소에 따라 분류하여 각 브랜드의 자산가치에 대해 알아보았다. 연구의 실증적 분석을 위해 Assetize 사의 유료 Hashtag ...
이미지 기반 SNS인 인스타그램의 가입자 수가 급증하면서 많은 기업과 브랜드에서 인스타그램의 해시태그 기능에 주목하며 다양한 인스타그램 마케팅을 실시하고 있다. 특히 해시태그는 최신 트렌드와 이슈, 소비자들의 관심사 등을 쉽게 파악할 수 있게 하며, SNS 사용자들은 자신의 패션스타일, 일상 또는 관심사를 공유하는 과정에서 해시태그를 통해 해당 제품의 이름 또는 브랜드를 언급하게 된다. 즉, 기업이나 브랜드에서 직접적인 마케팅을 진행하지 않더라도 SNS 사용자들의 해시태그 사용에 따라 간접적으로 기업이나 브랜드 또는 제품을 자연스럽게 노출시킬 수도 있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인스타그램에서 패션브랜드의 브랜드해시태그(#브랜드명)의 이용현황에 대해 알아보았다. 첫째, 브랜드해시태그가 사용된 총 게시물의 수에 대해 알아보고 게시물의 좋아요 수와 사용자의 팔로워 수 사이의 상관관계, 그리고 팔로워 수에 따른 평균 좋아요 수에 대해 알아보았다. 둘째, 사용자의 성별, 브랜드해시태그가 사용된 지역(나라)과 날짜에 따른 브랜드해시태그의 이용현황에 대해 알아보았다. 즉, 브랜드해시태그 별로 조사기간 중의 브랜드해시태그가 포함된 총 게시물의 수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특성에 따른 이용의 차이를 알아보았으며, 특정 이슈가 있는 날짜에 브랜드해시태그 이용의 변화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셋째, 브랜드해시태그가 사용된 게시물에 함께 사용된 연관 해시태그에 대해 알아보았고, 브랜드자산의 요소에 따라 분류하여 각 브랜드의 자산가치에 대해 알아보았다. 연구의 실증적 분석을 위해 Assetize 사의 유료 Hashtag Tracking 프로그램인 Keyhole을 사용하여 브랜드해시태그에 대한 빅데이터 자료를 수집하였다. 해당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조사기간 중의 브랜드해시태그를 포함한 총 게시물의 수, 날짜와 시간대별 브랜드해시태그 포함 게시물의 수, 남녀 사용자별 브랜드해시태그 포함 게시물 수, 국가별 브랜드해시태그 포함 게시물 수, 브랜드해시태그를 포함하여 게시물을 올린 사용자들 중 파워유저들(influencer)의 팔로워 수와 그들이 올린 게시물의 좋아요 수, 조사대상 브랜드해시태그와 함께 게시물에 가장 자주 사용된 연관 해시태그 등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에는 기술적 분석과 통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MAC용 스프레드시트 프로그램인 Numbers를 활용하여 이용현황에 대해 분석하였고 통계 프로그램인 SPSS Statistics 22.0을 활용하여 상관관계분석을 하였다. 위와 같은 분석을 통해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브랜드해시태가 포함된 게시물의 좋아요 수와 해당 게시물을 업로드한 사용자의 팔로워 수 사이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브랜드에 따라 브랜드해시태그 이용에 남녀의 차이가 있었으며, 사용자들의 관여도가 더 높은 브랜드군에서 브랜드해시태그 사용의 빈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스포츠브랜드의 경우에만 남성 사용자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성별에 따른 의복관여도에 따라 브랜드해시태그의 사용에 차이가 있음을 보여준다. 셋째, 국가별로 브랜드 선호도에 따라 브랜드해시태그의 사용에도 차이가 있는지 알아 본 결과, 매장 수 또는 브랜드 선호도에 따라 브랜드해시태그의 빈도에 차이가 있었다. 넷째, 일부 브랜드군에서 날짜별 이용현황에 차이가 나타났다. 스포츠브랜드 군의 경우에는 브랜드해시태그 사용빈도에 차이가 거의 없었던 반면, SPA브랜드군 중 H&M의 경우 럭셔리브랜드와의 콜라보레이션 컬렉션 런칭 및 발매일에 브랜드해시태그 사용이 급증하였고 이를 통해 브랜드해시태그가 구전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럭셔리브랜드군의 경우는 사회적인 이슈에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러시아 여객기 폭파, 파리테러가 있었던 시기에 브랜드해시태그의 사용이 감소하였다. 다섯째, 브랜드해시태그와 함께 게시물에 사용된 연관 해시태그를 통해 브랜드이미지를 파악할 수 있었으며, 브랜드자산 요소에 따른 분류를 통해 각 브랜드들의 브랜드자산가치를 파악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인스타그램에서 브랜드해시태그의 사용은 사용자의 브랜드 선호도 또는 의복관여도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브랜드해시태그를 통해 브랜드이미지 파악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인스타그램에서의 패션브랜드 해시태그 이용현황에 대해 알아보았으며, 사용자들의 특성이나 브랜드선호도, 또는 사회적인 이슈 등에 따른 해시태그 사용의 차이와 브랜드이미지에 대해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사용자들의 특성에 따른 브랜드해시태그 이용현황을 통해 기업이나 브랜드에서 해시태그를 마케팅의 도구로 활용할 때의 타겟 소비자 또는 마케팅 방법을 구축하는 데에 기초적인 자료를 제시한다. 또한, 브랜드해시태그의 구전효과 및 마케팅 효과에 대한 다양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이미지 기반 SNS인 인스타그램의 가입자 수가 급증하면서 많은 기업과 브랜드에서 인스타그램의 해시태그 기능에 주목하며 다양한 인스타그램 마케팅을 실시하고 있다. 특히 해시태그는 최신 트렌드와 이슈, 소비자들의 관심사 등을 쉽게 파악할 수 있게 하며, SNS 사용자들은 자신의 패션스타일, 일상 또는 관심사를 공유하는 과정에서 해시태그를 통해 해당 제품의 이름 또는 브랜드를 언급하게 된다. 즉, 기업이나 브랜드에서 직접적인 마케팅을 진행하지 않더라도 SNS 사용자들의 해시태그 사용에 따라 간접적으로 기업이나 브랜드 또는 제품을 자연스럽게 노출시킬 수도 있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인스타그램에서 패션브랜드의 브랜드해시태그(#브랜드명)의 이용현황에 대해 알아보았다. 첫째, 브랜드해시태그가 사용된 총 게시물의 수에 대해 알아보고 게시물의 좋아요 수와 사용자의 팔로워 수 사이의 상관관계, 그리고 팔로워 수에 따른 평균 좋아요 수에 대해 알아보았다. 둘째, 사용자의 성별, 브랜드해시태그가 사용된 지역(나라)과 날짜에 따른 브랜드해시태그의 이용현황에 대해 알아보았다. 즉, 브랜드해시태그 별로 조사기간 중의 브랜드해시태그가 포함된 총 게시물의 수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특성에 따른 이용의 차이를 알아보았으며, 특정 이슈가 있는 날짜에 브랜드해시태그 이용의 변화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셋째, 브랜드해시태그가 사용된 게시물에 함께 사용된 연관 해시태그에 대해 알아보았고, 브랜드자산의 요소에 따라 분류하여 각 브랜드의 자산가치에 대해 알아보았다. 연구의 실증적 분석을 위해 Assetize 사의 유료 Hashtag Tracking 프로그램인 Keyhole을 사용하여 브랜드해시태그에 대한 빅데이터 자료를 수집하였다. 해당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조사기간 중의 브랜드해시태그를 포함한 총 게시물의 수, 날짜와 시간대별 브랜드해시태그 포함 게시물의 수, 남녀 사용자별 브랜드해시태그 포함 게시물 수, 국가별 브랜드해시태그 포함 게시물 수, 브랜드해시태그를 포함하여 게시물을 올린 사용자들 중 파워유저들(influencer)의 팔로워 수와 그들이 올린 게시물의 좋아요 수, 조사대상 브랜드해시태그와 함께 게시물에 가장 자주 사용된 연관 해시태그 등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에는 기술적 분석과 통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MAC용 스프레드시트 프로그램인 Numbers를 활용하여 이용현황에 대해 분석하였고 통계 프로그램인 SPSS Statistics 22.0을 활용하여 상관관계분석을 하였다. 위와 같은 분석을 통해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브랜드해시태가 포함된 게시물의 좋아요 수와 해당 게시물을 업로드한 사용자의 팔로워 수 사이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브랜드에 따라 브랜드해시태그 이용에 남녀의 차이가 있었으며, 사용자들의 관여도가 더 높은 브랜드군에서 브랜드해시태그 사용의 빈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스포츠브랜드의 경우에만 남성 사용자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성별에 따른 의복관여도에 따라 브랜드해시태그의 사용에 차이가 있음을 보여준다. 셋째, 국가별로 브랜드 선호도에 따라 브랜드해시태그의 사용에도 차이가 있는지 알아 본 결과, 매장 수 또는 브랜드 선호도에 따라 브랜드해시태그의 빈도에 차이가 있었다. 넷째, 일부 브랜드군에서 날짜별 이용현황에 차이가 나타났다. 스포츠브랜드 군의 경우에는 브랜드해시태그 사용빈도에 차이가 거의 없었던 반면, SPA브랜드군 중 H&M의 경우 럭셔리브랜드와의 콜라보레이션 컬렉션 런칭 및 발매일에 브랜드해시태그 사용이 급증하였고 이를 통해 브랜드해시태그가 구전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럭셔리브랜드군의 경우는 사회적인 이슈에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러시아 여객기 폭파, 파리테러가 있었던 시기에 브랜드해시태그의 사용이 감소하였다. 다섯째, 브랜드해시태그와 함께 게시물에 사용된 연관 해시태그를 통해 브랜드이미지를 파악할 수 있었으며, 브랜드자산 요소에 따른 분류를 통해 각 브랜드들의 브랜드자산가치를 파악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인스타그램에서 브랜드해시태그의 사용은 사용자의 브랜드 선호도 또는 의복관여도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브랜드해시태그를 통해 브랜드이미지 파악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인스타그램에서의 패션브랜드 해시태그 이용현황에 대해 알아보았으며, 사용자들의 특성이나 브랜드선호도, 또는 사회적인 이슈 등에 따른 해시태그 사용의 차이와 브랜드이미지에 대해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사용자들의 특성에 따른 브랜드해시태그 이용현황을 통해 기업이나 브랜드에서 해시태그를 마케팅의 도구로 활용할 때의 타겟 소비자 또는 마케팅 방법을 구축하는 데에 기초적인 자료를 제시한다. 또한, 브랜드해시태그의 구전효과 및 마케팅 효과에 대한 다양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As the number of users on Instagram, an image-based SNS platform are getting increased, a lot of companies and brands are paid attention to hashtag function of Instagram and developing marketing strategies using Instagram. Especially, hashtag make us to grasp the newest trends and issues as well as ...
As the number of users on Instagram, an image-based SNS platform are getting increased, a lot of companies and brands are paid attention to hashtag function of Instagram and developing marketing strategies using Instagram. Especially, hashtag make us to grasp the newest trends and issues as well as consumers' interest. SNS users often share their posts about their fashion styling, lifestyle, or interest with hashtag of brand name or product name. That is to say, even though companies or brands don't carry out direct marketing, SNS users indirectly expose brands or products. This study, therefore, was analyzed current status of use of fashion brands' brand hashtag(#brand name) on Instagram. The author examined this study in order to figure out first, total number of posts with brand hashtag and users who used brand hashtag in their posts also correlation between the number of 'Like' of posts and the number of 'Follower' of users, seconds, difference of use according to users' gender, location(country) where posts uploaded, and date when posts uploaded, third, associated hashtag which is the hashtag often used together in the post with brand hashtag. For empirical research in the study, collected big data using hashtag tracking program 'keyhole' by Assetize co,. With this program, collected data of the number of total posts, the number of total users during the investigation period, the number of male and female users, the number of posts by timeline and country, the number of followers of influenced users who used brand hashtag and the number of like of the posts with brand hashtag. Based on these data, with regard to the analysis, Numbers(spreadsheet software program on Mac) was utilized for contents analysis and SPSS Statistics(statistics software program) 22.0 was utilized to perform correlat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meaningful correlation between the number of like in the posts and the number of followers of users. Second, there was a difference of brand hashtag's use between male and female users, only in case of sports brands, the rate of male users' use of brand hashtag was higher than female's. Third, according to the number of stores and brand preference, there were differences of using brand hashtag among countries. Fourth, there were differences of status of use by date during the research period. In case of #hm, the number of posts with brand hashtag was increased rapidly at the date of launching H&M and Balmain collaborated collection. Also, in case of luxurious brands, use of their brand hashtag was effected by social issues, the number of posts with brand hashtag was decreased at the date of Russian airplane crash and terrorism in Paris. Fifth, it was possible to understand brand image with associated hashtag, and categorized by brand asset elements, it was possible to understand brand asset value. Putting the above results together, conclusions are as follows. There are differences using brand hashtag on Instagram according to users' brand preference and fashion involvement, and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brand image through the use of brand hashtag. This study researched on use of fashion brands' hashtag. Users ' characteristics and social issue effect on the use of brand hashtag and by analyzing brand hashtag, it is possible to figure out brand image. This study provides basic data for constructing marketing strategies and will be helpful to select target consumers when brands utilize hashtag on Instagram as a marketing tool.
As the number of users on Instagram, an image-based SNS platform are getting increased, a lot of companies and brands are paid attention to hashtag function of Instagram and developing marketing strategies using Instagram. Especially, hashtag make us to grasp the newest trends and issues as well as consumers' interest. SNS users often share their posts about their fashion styling, lifestyle, or interest with hashtag of brand name or product name. That is to say, even though companies or brands don't carry out direct marketing, SNS users indirectly expose brands or products. This study, therefore, was analyzed current status of use of fashion brands' brand hashtag(#brand name) on Instagram. The author examined this study in order to figure out first, total number of posts with brand hashtag and users who used brand hashtag in their posts also correlation between the number of 'Like' of posts and the number of 'Follower' of users, seconds, difference of use according to users' gender, location(country) where posts uploaded, and date when posts uploaded, third, associated hashtag which is the hashtag often used together in the post with brand hashtag. For empirical research in the study, collected big data using hashtag tracking program 'keyhole' by Assetize co,. With this program, collected data of the number of total posts, the number of total users during the investigation period, the number of male and female users, the number of posts by timeline and country, the number of followers of influenced users who used brand hashtag and the number of like of the posts with brand hashtag. Based on these data, with regard to the analysis, Numbers(spreadsheet software program on Mac) was utilized for contents analysis and SPSS Statistics(statistics software program) 22.0 was utilized to perform correlat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meaningful correlation between the number of like in the posts and the number of followers of users. Second, there was a difference of brand hashtag's use between male and female users, only in case of sports brands, the rate of male users' use of brand hashtag was higher than female's. Third, according to the number of stores and brand preference, there were differences of using brand hashtag among countries. Fourth, there were differences of status of use by date during the research period. In case of #hm, the number of posts with brand hashtag was increased rapidly at the date of launching H&M and Balmain collaborated collection. Also, in case of luxurious brands, use of their brand hashtag was effected by social issues, the number of posts with brand hashtag was decreased at the date of Russian airplane crash and terrorism in Paris. Fifth, it was possible to understand brand image with associated hashtag, and categorized by brand asset elements, it was possible to understand brand asset value. Putting the above results together, conclusions are as follows. There are differences using brand hashtag on Instagram according to users' brand preference and fashion involvement, and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brand image through the use of brand hashtag. This study researched on use of fashion brands' hashtag. Users ' characteristics and social issue effect on the use of brand hashtag and by analyzing brand hashtag, it is possible to figure out brand image. This study provides basic data for constructing marketing strategies and will be helpful to select target consumers when brands utilize hashtag on Instagram as a marketing tool.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