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체류 난민여성의 인권 실태에 관한 연구
Study on Human Rights of Refugee Women Staying in Korea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한국여성정책연구원
Korean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연구책임자 송효진
참여연구자 김소영 , 이인선 , 한지영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16-03
과제시작연도 2016
주관부처 국무조정실
The Office for Government Policy Coordination
등록번호 TRKO201700005744
과제고유번호 1105011291
사업명 한국여성정책연구원
DB 구축일자 2017-09-20
DOI https://doi.org/10.23000/TRKO201700005744

초록

Ⅰ. 서론
1. 연구필요성 및 목적
□ 최근 국제적으로 난민 문제가 가장 큰 현안으로 대두됨에 따라 우리나라의 국내 난민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적극적으로 자신들의 목소리를 내는 난민은 성인 남성이 주가 되어, 난민여성의 실태와 취약성은 드러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따라 시의적절한 보호를 받지 못하고 있고, 성인지적 관점에서 난민여성에 대한 정책도 부재한 실정이다.

□ 난민여성이 여성이기 때문에 노출될 수 있는 박해(정치적 박해로 인한 성폭력, 여성할례, 성매매)에 대한 이해가 국내에서는 매우

Abstract

Since the enforcement of the refugee act in 2013, the number of women refugees has fundamentally increased, at the same time, the refugees in korea showed a growth in its amount. Among the population of refugees, only males make their voices, not females. By doing so, refugee women could not reveal

목차 Contents

  • 표지 ... 1발간사 ... 4연구요약 ... 6목차 ... 14표목차 ... 16그림목차 ... 17Ⅰ. 서 론 ... 18 1. 연구 필요성 및 목적 ... 20 2. 연구 내용 및 방법 ... 24 가. 연구 내용 ... 24 나. 연구 방법 ... 25 다. 연구 범위 ... 26Ⅱ. 한국 체류 난민여성의 인권 실태 ... 28 1. 심층면접 조사 개요 ... 30 2. 심층면접 결과 분석 ... 33 가. 난민 사유와 젠더 이슈 ... 33 나. 난민 입국 과정 및 신청 절차에서의 여성 인권 이슈 ... 36 다. 난민 여성으로서의 정착과정과 삶 ... 41 3. 소결 ... 53Ⅲ. 난민여성 관련 법제의 문제점 ... 56 1. 난민 관련 국제 규약 및 우리나라 법제 ... 58 가. 난민 관련 국제 규약 ... 58 나. 우리나라 난민법제 ... 63 2. 우리나라 난민여성 관련 법제의 문제점 ... 70 가. 젠더박해와 「난민법」상 난민인정사유 ... 71 나. 난민심사절차 시 성인지적 관점의 결여 ... 80 다. 난민여성에 대한 정착과정에서의 처우 문제 ... 89Ⅳ. 결론: 법・제도 개선방안 ... 96 1. 난민인정사유에 있어 젠더박해에 대한 고려 ... 98 2. 난민신청 절차 및 심사 과정에서의 여성에 대한 고려 ... 100 가. 출입국항 대기실 및 출국대기실(송환대기실)에 있어 성별특성 고려 및 인도적 처우 ... 100 나. 난민신청절차에 있어 같은 성(性)의 심사관, 통역관 의무화 ... 101 다. 난민심사관 및 조사관, 난민대기실 등의 담당 공무원에 대한 성인지 교육 ... 103 라. 난민심사과정에서 상담 및 의료지원 ... 103 마. 난민위원회의 이의신청 심사 시 성인지성 확보 ... 104 3. 난민여성의 정착과정에서의 지원 및 처우 개선 ... 105 가. 생계비 지원에 있어 성별특성 고려 ... 105 나. 성별특성을 반영한 주거지원 개선 ... 107 다. 의료지원에 있어 지원 내용 개선 및 확대 ... 107 라. 난민여성의 자립을 위한 지원 ... 108 마. 난민에 대한 가이드 내용에 성인지적 관점 반영 및 정보제공의 실효성 제고 ... 109 바. 난민처우 협의회 구성에 있어 성별 균형 및 운영 활성화 ... 112 4. 결론 ... 113참고문헌 ... 116참고자료 ... 118Abstract ... 120끝페이지 ... 122

표/그림 (14)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