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한국의 산신신앙은 설화나 신화는 물론 무속과 토착신앙의 형태로 현재까지면면이 전해지고 있다. 또한 불교의 전래 과정에서 수용되어 사찰 내에도 산신신앙의 흔적이 강하게 남아 있다. 산신에 관한 문헌자료와 기록도『삼국유사』,『삼국사기』를 비롯하여 중국기록인 첸쇼우(陳壽)의『삼국지』「위지 동이전」등 고대의 여러 자료에서 찾아진다. 산신신앙과 <산신도>에 관한 연구는 설화나 신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아직 국내 연구는 <산신도>가 그려지기 시작한 시기조차 불분명할 정도로 미진하고 큰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 현재까지 연구된 <산신도>제작 시기는 대체로 조선시대 후기인 1800년대 초엽부터 1800년대 중반으로좁혀진다. 이처럼 현존하는 <산신도> 중 시대가 올라가는 <산신도>는 드물다. 본고에서 다룬 지리산일대 사찰에 남아있는 대부분의 <산신도> 제작시기 역시 1900년 무렵 이후이며 무속의 <산신도>는 거의 근대 이후이다. 현재 전해오는 사찰의 <산신도> 가운데 시기가 가장 앞선 것은 영천 은해사 성보박물관에 소장된 <산신도>로 1817년에 제작되었다. 지리산일대 사찰에서 가장 앞선 <산신도>는 1872년 제작된 화엄사 수세전(壽世殿) <산신도>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 <산신도>는 현재 남아 있지 않고 1992년에 금어(金魚)...
저자 | 김은향 |
---|---|
학위수여기관 | 한양대학교 대학원 |
학위구분 | 국내박사 |
학과 | 문화인류학과 |
지도교수 | 이희수 |
발행연도 | 2016 |
총페이지 | vi, 125 p. |
키워드 | 인류학 |
언어 | kor |
원문 URL | http://www.riss.kr/link?id=T13960926&outLink=K |
정보원 | 한국교육학술정보원 |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