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Chapter1에서는 나트륨 섭취와 혈압에 대한 조사 시에 혈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하나인 비만과 나트륨 섭취와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를 진행함으로써 앞으로의 나트륨 섭취와 혈압과의 상관관계 연구에 있어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Chapter2에서는 각각의 나트륨 섭취 지표가 가지고 있는 특징들로 인해 고혈압과의 상관관계에 대한 결과가 사실과 다르게 나올 수 있기에 여러 나트륨 지표를 통해 나트륨 섭취와 고혈압과의 상관관계에 대해 알아보았다. 마지막으로 Chapter3에서는 실제 나트륨 급원식품과 고혈압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우리나라 나트륨 섭취 급원 식품 1위인 김치 섭취량과 고혈압과의 상관관계에 대해 알아보았으며, 혈압에 미치는 영향이 나트륨에 의한 영향인지에 대해 알아볼 수 있도록 전체 채소군, 염장 채소군, 김치군, 비염장 채소군의 섭취량(g)과 각 채소군으로부터 오는 나트륨 섭취량(mg) 그리고 전체 나트륨 섭취량 중 각 채소군으로부터 오는 나트륨 섭취량 비율(%)과 고혈압과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았다. Chapter1. 한국 성인의 나트륨 섭취에 따른 비만과의 상관관계 본 연구는 선정된 변수에 대해 ...
본 연구의 Chapter1에서는 나트륨 섭취와 혈압에 대한 조사 시에 혈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하나인 비만과 나트륨 섭취와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를 진행함으로써 앞으로의 나트륨 섭취와 혈압과의 상관관계 연구에 있어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Chapter2에서는 각각의 나트륨 섭취 지표가 가지고 있는 특징들로 인해 고혈압과의 상관관계에 대한 결과가 사실과 다르게 나올 수 있기에 여러 나트륨 지표를 통해 나트륨 섭취와 고혈압과의 상관관계에 대해 알아보았다. 마지막으로 Chapter3에서는 실제 나트륨 급원식품과 고혈압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우리나라 나트륨 섭취 급원 식품 1위인 김치 섭취량과 고혈압과의 상관관계에 대해 알아보았으며, 혈압에 미치는 영향이 나트륨에 의한 영향인지에 대해 알아볼 수 있도록 전체 채소군, 염장 채소군, 김치군, 비염장 채소군의 섭취량(g)과 각 채소군으로부터 오는 나트륨 섭취량(mg) 그리고 전체 나트륨 섭취량 중 각 채소군으로부터 오는 나트륨 섭취량 비율(%)과 고혈압과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았다. Chapter1. 한국 성인의 나트륨 섭취에 따른 비만과의 상관관계 본 연구는 선정된 변수에 대해 결측치가 있거나 중등도 신체활동 지속 시간과 걷기 지속 시간을 모른다고 대답한 자를 제외한 500-5000kcal을 섭취하는 20세 이상의 한국 성인을 대상으로 총 15,987명(남성 6911명, 여성 9076명)을 분석하였다. 나트륨 섭취 지표는 단일 시간 소변 자료를 이용한 소변 중 나트륨과 크레아티닌 비와 나트륨과 요 비중 비를 이용하였으며, 식이 데이터로는 24시간 회상 자료를 통한 나트륨 섭취량을 비만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기 위해 이용하였다. 나트륨 섭취 지표와 비만과의 상관성을 살펴본 결과 모든 공변량을 보정한 model3에서 24시간 회상자료를 통해 얻은 나트륨 섭취량이 높은 그룹의 BMI가 25kg/m2 이상일 OR 값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경향성 또한 보였다. 나트륨 섭취 지표를 섭취 수준에 따라 4 그룹으로 나눠 각 그룹별 BMI 차이를 살펴 본 결과 모든 공변량을 보정한 model3에서는 소변 중 나트륨과 크레아티닌 비 및 나트륨 섭취량이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다. 하지만 선형 회귀 분석(linear regression)을 통한 분석 결과 소변 중 나트륨과 크레아티닌 비와 소변 중 나트륨과 요 비중 비가 1unit 증가 하거나 나트륨 섭취량이 1,000mg 증가할 때마다 BMI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따라서 나트륨 섭취가 BMI를 증가시키며, 이러한 효과는 나트륨 섭취와 혈압과의 관계를 살펴 볼 때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사료된다. Chapter2. 한국 성인의 나트륨 섭취에 따른 고혈압과의 상관관계 본 연구는 선정 변수에 대해 결측치가 없으며, 고혈압이 있거나 고혈압 약을 복용하는 대상자 중 흡연이나 음주 빈도를 모른다고 한 자를 제외한 500-5000kcal을 섭취하는 20세 이상의 한국 성인을 대상으로 총 12,194명(남성 5238명, 여성 6956명)을 분석하였다. 선형 회귀 분석(linear regression)을 통해 나트륨 섭취 지표와 혈압과의 상관성을 살펴본 결과 모든 공변량을 보정한 model3에서 소변 중 나트륨과 크레아티닌 비와 소변 중 나트륨과 요 비중 비의 경우 1unit 증가할 때마다 유의적으로 수축기, 이완기 혈압이 증가하였으며, 나트륨과 칼륨 섭취 비가 1unit 증가할 때마다 유의적으로 이완기 혈압이 증가하였다. 나트륨 섭취 지표를 섭취 수준에 따라 4 그룹으로 나눠 각 그룹별 혈압 차이를 살펴 본 결과 모든 공변량을 보정한 model3에서는 단일 시간 소변 자료의 나트륨 섭취 지표만이 가장 많은 나트륨 섭취를 한 4번째 그룹이 다른 그룹과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다. 한편 고혈압과의 상관관계를 살펴 본 결과 모든 공변량을 보정한 model3에서 소변 중 나트륨과 크레아티닌 비와 소변 중 나트륨과 요 비중 비의 경우 고혈압 OR 값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경향성 또한 나타났다. 따라서 이번 연구를 통해 대규모 단면 연구에서 나트륨의 섭취가 혈압 및 고혈압과 연관이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Chapter3. 한국 성인의 채소 섭취에 따른 고혈압과의 상관관계 본 연구는 선정 변수에 대해 결측치가 없으며, 고혈압이 있거나 고혈압 약을 복용하는 대상자 중 흡연이나 음주 빈도를 모른다고 한 자를 제외한 500-5000kcal을 섭취하는 20세 이상의 한국 성인을 대상으로 총 12,194명(남성 5238명, 여성 6956명)을 분석하였다. 염장채소 및 김치 섭취량(g), 채소 및 염장채소와 김치로부터 오는 나트륨 섭취량(mg) 그리고 전체 나트륨 섭취 중 채소, 염장채소, 김치로부터 오는 나트륨 섭취 비율(%)의 경우 4분위로 나눴을 때 섭취량이 가장 높거나 비율이 높은 Q4 그룹에 비해 섭취량이 낮거나 비율이 낮은 Q1 그룹이 유의적으로 혈압이 낮았다. 또한 전체 나트륨 섭취 중 채소, 염장채소, 김치로부터 오는 나트륨 섭취 비율이 1% 증가 할 때마다 유의하게 이완기 혈압이 증가하였다. 하지만 고혈압과의 OR 값을 살펴본 결과 채소, 염장채소, 김치, 그리고 비염장 채소에서 경향성은 나타나지 않았으나, 채소 섭취량이 많은 그룹일수록 수축기 혈압이 120mmHg 이상일 OR값이 유의적으로 높았고, 전체 나트륨 섭취 중 채소, 염장채소로부터 오는
본 연구의 Chapter1에서는 나트륨 섭취와 혈압에 대한 조사 시에 혈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하나인 비만과 나트륨 섭취와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를 진행함으로써 앞으로의 나트륨 섭취와 혈압과의 상관관계 연구에 있어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Chapter2에서는 각각의 나트륨 섭취 지표가 가지고 있는 특징들로 인해 고혈압과의 상관관계에 대한 결과가 사실과 다르게 나올 수 있기에 여러 나트륨 지표를 통해 나트륨 섭취와 고혈압과의 상관관계에 대해 알아보았다. 마지막으로 Chapter3에서는 실제 나트륨 급원식품과 고혈압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우리나라 나트륨 섭취 급원 식품 1위인 김치 섭취량과 고혈압과의 상관관계에 대해 알아보았으며, 혈압에 미치는 영향이 나트륨에 의한 영향인지에 대해 알아볼 수 있도록 전체 채소군, 염장 채소군, 김치군, 비염장 채소군의 섭취량(g)과 각 채소군으로부터 오는 나트륨 섭취량(mg) 그리고 전체 나트륨 섭취량 중 각 채소군으로부터 오는 나트륨 섭취량 비율(%)과 고혈압과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았다. Chapter1. 한국 성인의 나트륨 섭취에 따른 비만과의 상관관계 본 연구는 선정된 변수에 대해 결측치가 있거나 중등도 신체활동 지속 시간과 걷기 지속 시간을 모른다고 대답한 자를 제외한 500-5000kcal을 섭취하는 20세 이상의 한국 성인을 대상으로 총 15,987명(남성 6911명, 여성 9076명)을 분석하였다. 나트륨 섭취 지표는 단일 시간 소변 자료를 이용한 소변 중 나트륨과 크레아티닌 비와 나트륨과 요 비중 비를 이용하였으며, 식이 데이터로는 24시간 회상 자료를 통한 나트륨 섭취량을 비만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기 위해 이용하였다. 나트륨 섭취 지표와 비만과의 상관성을 살펴본 결과 모든 공변량을 보정한 model3에서 24시간 회상자료를 통해 얻은 나트륨 섭취량이 높은 그룹의 BMI가 25kg/m2 이상일 OR 값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경향성 또한 보였다. 나트륨 섭취 지표를 섭취 수준에 따라 4 그룹으로 나눠 각 그룹별 BMI 차이를 살펴 본 결과 모든 공변량을 보정한 model3에서는 소변 중 나트륨과 크레아티닌 비 및 나트륨 섭취량이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다. 하지만 선형 회귀 분석(linear regression)을 통한 분석 결과 소변 중 나트륨과 크레아티닌 비와 소변 중 나트륨과 요 비중 비가 1unit 증가 하거나 나트륨 섭취량이 1,000mg 증가할 때마다 BMI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따라서 나트륨 섭취가 BMI를 증가시키며, 이러한 효과는 나트륨 섭취와 혈압과의 관계를 살펴 볼 때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사료된다. Chapter2. 한국 성인의 나트륨 섭취에 따른 고혈압과의 상관관계 본 연구는 선정 변수에 대해 결측치가 없으며, 고혈압이 있거나 고혈압 약을 복용하는 대상자 중 흡연이나 음주 빈도를 모른다고 한 자를 제외한 500-5000kcal을 섭취하는 20세 이상의 한국 성인을 대상으로 총 12,194명(남성 5238명, 여성 6956명)을 분석하였다. 선형 회귀 분석(linear regression)을 통해 나트륨 섭취 지표와 혈압과의 상관성을 살펴본 결과 모든 공변량을 보정한 model3에서 소변 중 나트륨과 크레아티닌 비와 소변 중 나트륨과 요 비중 비의 경우 1unit 증가할 때마다 유의적으로 수축기, 이완기 혈압이 증가하였으며, 나트륨과 칼륨 섭취 비가 1unit 증가할 때마다 유의적으로 이완기 혈압이 증가하였다. 나트륨 섭취 지표를 섭취 수준에 따라 4 그룹으로 나눠 각 그룹별 혈압 차이를 살펴 본 결과 모든 공변량을 보정한 model3에서는 단일 시간 소변 자료의 나트륨 섭취 지표만이 가장 많은 나트륨 섭취를 한 4번째 그룹이 다른 그룹과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다. 한편 고혈압과의 상관관계를 살펴 본 결과 모든 공변량을 보정한 model3에서 소변 중 나트륨과 크레아티닌 비와 소변 중 나트륨과 요 비중 비의 경우 고혈압 OR 값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경향성 또한 나타났다. 따라서 이번 연구를 통해 대규모 단면 연구에서 나트륨의 섭취가 혈압 및 고혈압과 연관이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Chapter3. 한국 성인의 채소 섭취에 따른 고혈압과의 상관관계 본 연구는 선정 변수에 대해 결측치가 없으며, 고혈압이 있거나 고혈압 약을 복용하는 대상자 중 흡연이나 음주 빈도를 모른다고 한 자를 제외한 500-5000kcal을 섭취하는 20세 이상의 한국 성인을 대상으로 총 12,194명(남성 5238명, 여성 6956명)을 분석하였다. 염장채소 및 김치 섭취량(g), 채소 및 염장채소와 김치로부터 오는 나트륨 섭취량(mg) 그리고 전체 나트륨 섭취 중 채소, 염장채소, 김치로부터 오는 나트륨 섭취 비율(%)의 경우 4분위로 나눴을 때 섭취량이 가장 높거나 비율이 높은 Q4 그룹에 비해 섭취량이 낮거나 비율이 낮은 Q1 그룹이 유의적으로 혈압이 낮았다. 또한 전체 나트륨 섭취 중 채소, 염장채소, 김치로부터 오는 나트륨 섭취 비율이 1% 증가 할 때마다 유의하게 이완기 혈압이 증가하였다. 하지만 고혈압과의 OR 값을 살펴본 결과 채소, 염장채소, 김치, 그리고 비염장 채소에서 경향성은 나타나지 않았으나, 채소 섭취량이 많은 그룹일수록 수축기 혈압이 120mmHg 이상일 OR값이 유의적으로 높았고, 전체 나트륨 섭취 중 채소, 염장채소로부터 오는
This study use KNHANES data(2008-2011) which have urine data, to examine association between natrium index and hypertension and obesity. chapter1 examine association between natrium index and obesity to provide information to hypertension study because obesity is one of powerful factor about hyperte...
This study use KNHANES data(2008-2011) which have urine data, to examine association between natrium index and hypertension and obesity. chapter1 examine association between natrium index and obesity to provide information to hypertension study because obesity is one of powerful factor about hypertension. chapter2 examine hypertension and each natrium index to reduce bias because each natrium index have a difference characteristics. finally chapter3 examine hypertension and natrium supply food(kimchi). to make a distinction between vegetable effect and natrium effect, examine vegetable(total), salted vegetable, kimchi, unsalted vegetable intake(g) and natrium from each vegetable group intake(mg), natrium from each vegatable group intake to total natrium intake percent(%). Chapter1. Association between natrium intake and obesity in Korea adults 15.987 participants included(which who have no missing value, intake 500-5000kcal, more than 20years old and exclude who don't know drinking and somking, exercise time and walk). using spot urine data and 24hr-recall data to analyse correlation about obesity. 24hr-recall data correlated with obesity but not spot urine data. all of natrium intake index correlated with BMI. Chapter2. Association between natrium intake and hypertension in Korea adults 12,194 participants included(which who have no missing value, no prior history of hypertension, not taking hypertension medicine, intake 500-5000kcal, more than 20years old and exclude who don't know drinking and somking) using spot urine data and 24hr-recall data to analyse correlation about hypertension. with 2 spot urine data(U[Na/Cr], U[Na/SGU]), there is association between natrium and hypertion. but there is no association between 24hr-recall data. but Na/K intake(24hr-recall) was associated with DBP(urine data is correlated with SBP too). Chapter3. Association between vegetable intake and hypertension in Korea adults 12,194 participants included(which who have no missing value, no prior history of hypertension, not taking hypertension medicine, intake 500-5000kcal, more than 20years old and exclude who don't know drinking and somking). there is no associated with vegetable intake and hypertension. but salted vegetable intake associated with DBP increase.
This study use KNHANES data(2008-2011) which have urine data, to examine association between natrium index and hypertension and obesity. chapter1 examine association between natrium index and obesity to provide information to hypertension study because obesity is one of powerful factor about hypertension. chapter2 examine hypertension and each natrium index to reduce bias because each natrium index have a difference characteristics. finally chapter3 examine hypertension and natrium supply food(kimchi). to make a distinction between vegetable effect and natrium effect, examine vegetable(total), salted vegetable, kimchi, unsalted vegetable intake(g) and natrium from each vegetable group intake(mg), natrium from each vegatable group intake to total natrium intake percent(%). Chapter1. Association between natrium intake and obesity in Korea adults 15.987 participants included(which who have no missing value, intake 500-5000kcal, more than 20years old and exclude who don't know drinking and somking, exercise time and walk). using spot urine data and 24hr-recall data to analyse correlation about obesity. 24hr-recall data correlated with obesity but not spot urine data. all of natrium intake index correlated with BMI. Chapter2. Association between natrium intake and hypertension in Korea adults 12,194 participants included(which who have no missing value, no prior history of hypertension, not taking hypertension medicine, intake 500-5000kcal, more than 20years old and exclude who don't know drinking and somking) using spot urine data and 24hr-recall data to analyse correlation about hypertension. with 2 spot urine data(U[Na/Cr], U[Na/SGU]), there is association between natrium and hypertion. but there is no association between 24hr-recall data. but Na/K intake(24hr-recall) was associated with DBP(urine data is correlated with SBP too). Chapter3. Association between vegetable intake and hypertension in Korea adults 12,194 participants included(which who have no missing value, no prior history of hypertension, not taking hypertension medicine, intake 500-5000kcal, more than 20years old and exclude who don't know drinking and somking). there is no associated with vegetable intake and hypertension. but salted vegetable intake associated with DBP increase.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