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성인 발달장애인의 평생과정설계를 위한 준비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reparation Program about Permanency Process Planning for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원문보기
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 발달장애인의 자립에 필요한 자립역량과 자아존중감 증진을 위해 평생과정설계 준비프로그램을 구성, 실시하고 자립역량과 자아존중감의 증가정도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평생과정설계 준비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입증하고 궁극적으로 미래설계를 위한 평생과정설계의 관점과 평생과정설계 교육프로그램 내용 및 체계의 제안을 통해 성인 발달장애인의 자립생활을 위한 평생과정설계의 실천적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평생과정설계 준비프로그램은 총 23회기로 구성하였다. 준비프로그램은 교육과 연계활동을 병행하여 프로그램에 참여한 성인 발달장애인의 이해와 인식을 강화하고 자립에 필요한 행동기능을 습득, 체험하는 과정으로 진행하였다. 매 회기 ...
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 발달장애인의 자립에 필요한 자립역량과 자아존중감 증진을 위해 평생과정설계 준비프로그램을 구성, 실시하고 자립역량과 자아존중감의 증가정도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평생과정설계 준비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입증하고 궁극적으로 미래설계를 위한 평생과정설계의 관점과 평생과정설계 교육프로그램 내용 및 체계의 제안을 통해 성인 발달장애인의 자립생활을 위한 평생과정설계의 실천적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평생과정설계 준비프로그램은 총 23회기로 구성하였다. 준비프로그램은 교육과 연계활동을 병행하여 프로그램에 참여한 성인 발달장애인의 이해와 인식을 강화하고 자립에 필요한 행동기능을 습득, 체험하는 과정으로 진행하였다. 매 회기 교류분석과 치료레크리에이션 이론을 활용한 기법, 모델링, 역할극, 시각적 단서, 집단 활동 등 다중교수접근을 사용하였다. 연구 설계는 사전·사후검사 통제집단 설계이며, 실험집단 15명, 통제집단 15명 등 총 30명이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실험집단은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통제집단은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았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대상으로 사전검사는 프로그램 개입 직전, 사후검사는 개입 직후, 추후검사는 개입 후 2주 뒤, 4주 뒤 반복측정 하였다. 측정시기에 따른 자립역량 변화와 실험집단 및 통제집단의 자립역량 증가차이, 측정시기에 따른 자아존중감 변화와 실험집단 및 통제집단의 자아존중감 증가차이를 검증하였다. 연구 문제의 가설검증에 관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평생과정설계 준비프로그램에 참여한 성인 발달장애인의 인지적 차원의 개인적 자립역량은 측정시기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성인 발달장애인의 인지적 차원의 개인적 자립역량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준비프로그램에 참여한 성인 발달장애인의 측정시기에 따른 인지적 차원의 사회적 자립역량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프로그램 비참여 성인 발달장애인의 인지적 차원의 사회적 자립역량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평생과정설계 준비프로그램에 참여한 성인 발달장애인의 행동적 차원의 개인적 자립역량은 측정시기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성인 발달장애인의 행동적 차원의 개인적 자립역량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검증되었다. 프로그램에 참여한 성인 발달장애인의 측정시기에 따른 행동적 차원의 사회적 자립역량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비참여 성인 발달장애인에 비해 행동적 차원의 사회적 자립역량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평생과정설계 준비프로그램에 참여한 성인 발달장애인의 측정시기에 따른 자아존중감의 증가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검증되었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자아존중감에 대한 사전 동질성이 기각됨에 따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자아존중감은 통계적으로 의미 있게 비교할 수 없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논의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평생과정설계 준비프로그램이 비교적 단기간에 실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자립역량은 단기 지표인 인지적 차원뿐만 아니라 중기 지표인 행동적 차원 자립역량까지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있었다. 둘째, 평생과정설계 준비프로그램에 참여한 성인 발달장애인의 인지적, 행동적 차원의 개인적 자립역량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있었다. 개인적 자립역량인 자기관리, 자기결정, 옹호는 자립생활을 이루는 중요한 능력이다. 셋째, 평생과정설계 준비프로그램에 참여한 성인 발달장애인의 인지적, 행동적 차원의 사회적 자립역량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있었으며, 이후에도 지속되었다. 사회적 자립역량은 사회적 관계망 형성과 확대, 지역사회 이용 및 참여로 구성되어 있다. 사회적 자립역량은 지역사회 내 통합의 정도와 자립생활을 확인할 수 있는 요인이다. 넷째, 평생과정설계 준비프로그램에 참여한 성인 발달장애인의 자아존중감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함의를 도출하였다. 실천적 함의는 첫째, 평생과정설계를 통해 미래설계에 대한 실행과정과 포괄적인 구성요소 등을 제안하여 미래설계를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했다고 하겠다. 둘째, 실천현장에서 활용 가능한 평생과정설계 교육프로그램 내용과 체계를 구성하여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셋째, 그동안 미래설계 과정에서 배제되어 왔던 발달장애인을 대상으로 하였다. 정책적 함의는 첫째, 장애인복지관과 유관기관, 전환교육기관 등 실천현장에서 발달장애인의 자립을 위한 방안으로 평생과정설계의 관점과 모델이 적극적으로 도입되고 적용되어야 한다. 둘째, 평생과정설계를 위한 정보제공과 지원체계, 전문가 양성을 위한 기관 설치 및 교육이 요구된다. 셋째, 평생과정설계의 필요성과 자립에 대한 인식개선, 지역사회 지원체계가 마련되어야 한다.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거주시설 발달장애인을 대상으로 하는 후속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둘째, 자립을 위한 평생과정설계는 생애주기의 이른 단계부터 시작하는 것이 요구됨으로 성인기 이전의 발달장애인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도 의미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셋째, 보호자를 대상으로 하는 후속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 발달장애인의 자립에 필요한 자립역량과 자아존중감 증진을 위해 평생과정설계 준비프로그램을 구성, 실시하고 자립역량과 자아존중감의 증가정도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평생과정설계 준비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입증하고 궁극적으로 미래설계를 위한 평생과정설계의 관점과 평생과정설계 교육프로그램 내용 및 체계의 제안을 통해 성인 발달장애인의 자립생활을 위한 평생과정설계의 실천적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평생과정설계 준비프로그램은 총 23회기로 구성하였다. 준비프로그램은 교육과 연계활동을 병행하여 프로그램에 참여한 성인 발달장애인의 이해와 인식을 강화하고 자립에 필요한 행동기능을 습득, 체험하는 과정으로 진행하였다. 매 회기 교류분석과 치료레크리에이션 이론을 활용한 기법, 모델링, 역할극, 시각적 단서, 집단 활동 등 다중교수접근을 사용하였다. 연구 설계는 사전·사후검사 통제집단 설계이며, 실험집단 15명, 통제집단 15명 등 총 30명이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실험집단은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통제집단은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았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대상으로 사전검사는 프로그램 개입 직전, 사후검사는 개입 직후, 추후검사는 개입 후 2주 뒤, 4주 뒤 반복측정 하였다. 측정시기에 따른 자립역량 변화와 실험집단 및 통제집단의 자립역량 증가차이, 측정시기에 따른 자아존중감 변화와 실험집단 및 통제집단의 자아존중감 증가차이를 검증하였다. 연구 문제의 가설검증에 관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평생과정설계 준비프로그램에 참여한 성인 발달장애인의 인지적 차원의 개인적 자립역량은 측정시기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성인 발달장애인의 인지적 차원의 개인적 자립역량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준비프로그램에 참여한 성인 발달장애인의 측정시기에 따른 인지적 차원의 사회적 자립역량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프로그램 비참여 성인 발달장애인의 인지적 차원의 사회적 자립역량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평생과정설계 준비프로그램에 참여한 성인 발달장애인의 행동적 차원의 개인적 자립역량은 측정시기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성인 발달장애인의 행동적 차원의 개인적 자립역량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검증되었다. 프로그램에 참여한 성인 발달장애인의 측정시기에 따른 행동적 차원의 사회적 자립역량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비참여 성인 발달장애인에 비해 행동적 차원의 사회적 자립역량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평생과정설계 준비프로그램에 참여한 성인 발달장애인의 측정시기에 따른 자아존중감의 증가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검증되었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자아존중감에 대한 사전 동질성이 기각됨에 따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자아존중감은 통계적으로 의미 있게 비교할 수 없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논의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평생과정설계 준비프로그램이 비교적 단기간에 실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자립역량은 단기 지표인 인지적 차원뿐만 아니라 중기 지표인 행동적 차원 자립역량까지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있었다. 둘째, 평생과정설계 준비프로그램에 참여한 성인 발달장애인의 인지적, 행동적 차원의 개인적 자립역량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있었다. 개인적 자립역량인 자기관리, 자기결정, 옹호는 자립생활을 이루는 중요한 능력이다. 셋째, 평생과정설계 준비프로그램에 참여한 성인 발달장애인의 인지적, 행동적 차원의 사회적 자립역량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있었으며, 이후에도 지속되었다. 사회적 자립역량은 사회적 관계망 형성과 확대, 지역사회 이용 및 참여로 구성되어 있다. 사회적 자립역량은 지역사회 내 통합의 정도와 자립생활을 확인할 수 있는 요인이다. 넷째, 평생과정설계 준비프로그램에 참여한 성인 발달장애인의 자아존중감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함의를 도출하였다. 실천적 함의는 첫째, 평생과정설계를 통해 미래설계에 대한 실행과정과 포괄적인 구성요소 등을 제안하여 미래설계를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했다고 하겠다. 둘째, 실천현장에서 활용 가능한 평생과정설계 교육프로그램 내용과 체계를 구성하여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셋째, 그동안 미래설계 과정에서 배제되어 왔던 발달장애인을 대상으로 하였다. 정책적 함의는 첫째, 장애인복지관과 유관기관, 전환교육기관 등 실천현장에서 발달장애인의 자립을 위한 방안으로 평생과정설계의 관점과 모델이 적극적으로 도입되고 적용되어야 한다. 둘째, 평생과정설계를 위한 정보제공과 지원체계, 전문가 양성을 위한 기관 설치 및 교육이 요구된다. 셋째, 평생과정설계의 필요성과 자립에 대한 인식개선, 지역사회 지원체계가 마련되어야 한다.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거주시설 발달장애인을 대상으로 하는 후속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둘째, 자립을 위한 평생과정설계는 생애주기의 이른 단계부터 시작하는 것이 요구됨으로 성인기 이전의 발달장애인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도 의미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셋째, 보호자를 대상으로 하는 후속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A Study of Preparation Program about Permanency Process Planning for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You, SuJin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The Graduate School of University of Seoul This study is to construct and execute the preparation program about permanency process planning(PPP) for th...
A Study of Preparation Program about Permanency Process Planning for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You, SuJin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The Graduate School of University of Seoul This study is to construct and execute the preparation program about permanency process planning(PPP) for the enhancement of independent competency and self-esteem, which are necessary in the independence of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measure the increase of independent competency and self-esteem. It aim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eparation program about PPP and ultimately suggest a practical plan of PPP for the independent living of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by suggesting perspective of PPP for future plans and contents and structure of PPP education program. The preparation program of PPP was constructed as 23 sessions. Preparation program, combining education and associated activities, consisted of processes of reinforcing the understanding and perception of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at participated in the program and learning and experiencing behavioral functions that are needed in independence. Multiple instructional approaches were adopted for each session, including transactional analysis, method using therapeutic recreation theory, modeling, role playing, visual cues and group activities. Study design was the 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design with 30 subjects for the final analysis, consisting of 15 subjects in experimental group and 15 subjects in control group.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e program while control group did not. Pretest was given to both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immediately before the program, posttest was given immediately after the program, and follow-up tests were given 2 weeks and 4 weeks after the program. The changes in independent competency at different measurement periods, difference in increase of independent competencies betwee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the changes in self-esteem at different measurement periods and the difference in increase of self-esteem betwee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were verified. Results of the study in verifying the hypothe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cognitive personal independent competency of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at participated in the preparation program for PPP display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based on the measurement period, and also displayed a statistically higher cognitive personal independent competency than the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at did not participate in the program. The cognitive social independent competency of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at participated in the program display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and also displayed a statistically higher cognitive social independent competency than the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at did not participate in the program. The behavioral personal independent competency of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at participated in the preparation program for PPP display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based on the measurement period, and also displayed a statistically higher behavioral personal independent competency than the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at did not participate in the program. The behavioral social independent competency of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at participated in the program display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and also displayed a statistically higher behavioral social independent competency than the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at did not participate in the program. The increase in self-esteem of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at participated in the preparation program for PPP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However, as the homogeneity of self-esteem betwee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prior to the program was denied, their self-esteem could not be compared statistically. Such results can be discussed as follows. First, despite the fact that the preparation program for PPP was executed in a relatively short period of time, the independent competency of experimental group that participated in the program display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 not only in the cognitive level which is a short-term indicator, but also in the behavioral level which is an intermediate-term indicator. Seco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 in the cognitive and behavioral personal independent competency of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at participated in the preparation program for PPP. Self-management, self-determination and advocacy, which are individual independent competencies, are important abilities that assist independent living. Thir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 in social independent competencies of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at participated in the preparation program for PPP at cognitive and behavioral levels, and such change sustained further on. Social independent competency consists of forming and expanding social network, and using and participating in local community. Social independent competency is an element that can verify the degree of integration within local community and independent living. Fourth, the self-esteem of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at participated in preparation program for PPP display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Following implications were drawn from this study. In terms of practical implications, first, it presented a specific plan for future plans by suggesting the execution process of future plans through PPP and overall components. Second, it constructed and presented contents and structure of PPP education program that can be utilized in the practice field. Third, it targeted the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ho had been excluded in future plans process. In terms of political implications, first, the perspective and model of PPP should be actively introduce and applied at the practical fields, such as welfare centers and related organizations, as the way for the independence of the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econd, information for PPP, support structure, establishment of organizations to foster experts and education are required. Third, necessity of PPP, improvement in perception toward independence, and support structure of local community should be furnishe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are as follows. First, follow-up study targeting the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living in residential facilities is needed. Second, since PPP for independence requires an early start at the beginning of life cycle, studies targeting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before reaching adulthood would also be significant. Third, follow-up studies targeting guardians should be conducted.
A Study of Preparation Program about Permanency Process Planning for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You, SuJin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The Graduate School of University of Seoul This study is to construct and execute the preparation program about permanency process planning(PPP) for the enhancement of independent competency and self-esteem, which are necessary in the independence of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measure the increase of independent competency and self-esteem. It aim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eparation program about PPP and ultimately suggest a practical plan of PPP for the independent living of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by suggesting perspective of PPP for future plans and contents and structure of PPP education program. The preparation program of PPP was constructed as 23 sessions. Preparation program, combining education and associated activities, consisted of processes of reinforcing the understanding and perception of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at participated in the program and learning and experiencing behavioral functions that are needed in independence. Multiple instructional approaches were adopted for each session, including transactional analysis, method using therapeutic recreation theory, modeling, role playing, visual cues and group activities. Study design was the 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design with 30 subjects for the final analysis, consisting of 15 subjects in experimental group and 15 subjects in control group.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e program while control group did not. Pretest was given to both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immediately before the program, posttest was given immediately after the program, and follow-up tests were given 2 weeks and 4 weeks after the program. The changes in independent competency at different measurement periods, difference in increase of independent competencies betwee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the changes in self-esteem at different measurement periods and the difference in increase of self-esteem betwee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were verified. Results of the study in verifying the hypothe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cognitive personal independent competency of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at participated in the preparation program for PPP display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based on the measurement period, and also displayed a statistically higher cognitive personal independent competency than the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at did not participate in the program. The cognitive social independent competency of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at participated in the program display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and also displayed a statistically higher cognitive social independent competency than the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at did not participate in the program. The behavioral personal independent competency of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at participated in the preparation program for PPP display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based on the measurement period, and also displayed a statistically higher behavioral personal independent competency than the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at did not participate in the program. The behavioral social independent competency of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at participated in the program display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and also displayed a statistically higher behavioral social independent competency than the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at did not participate in the program. The increase in self-esteem of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at participated in the preparation program for PPP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However, as the homogeneity of self-esteem betwee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prior to the program was denied, their self-esteem could not be compared statistically. Such results can be discussed as follows. First, despite the fact that the preparation program for PPP was executed in a relatively short period of time, the independent competency of experimental group that participated in the program display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 not only in the cognitive level which is a short-term indicator, but also in the behavioral level which is an intermediate-term indicator. Seco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 in the cognitive and behavioral personal independent competency of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at participated in the preparation program for PPP. Self-management, self-determination and advocacy, which are individual independent competencies, are important abilities that assist independent living. Thir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 in social independent competencies of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at participated in the preparation program for PPP at cognitive and behavioral levels, and such change sustained further on. Social independent competency consists of forming and expanding social network, and using and participating in local community. Social independent competency is an element that can verify the degree of integration within local community and independent living. Fourth, the self-esteem of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at participated in preparation program for PPP display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Following implications were drawn from this study. In terms of practical implications, first, it presented a specific plan for future plans by suggesting the execution process of future plans through PPP and overall components. Second, it constructed and presented contents and structure of PPP education program that can be utilized in the practice field. Third, it targeted the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ho had been excluded in future plans process. In terms of political implications, first, the perspective and model of PPP should be actively introduce and applied at the practical fields, such as welfare centers and related organizations, as the way for the independence of the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econd, information for PPP, support structure, establishment of organizations to foster experts and education are required. Third, necessity of PPP, improvement in perception toward independence, and support structure of local community should be furnishe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are as follows. First, follow-up study targeting the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living in residential facilities is needed. Second, since PPP for independence requires an early start at the beginning of life cycle, studies targeting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before reaching adulthood would also be significant. Third, follow-up studies targeting guardians should be conducted.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