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 약 제 목 :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사용행태 및 특성에 관한 연구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앱으로 약칭함)은 스마트폰 활용의 핵심이지만 아직 모바일 앱에 관한 학문적 연구가 부족하다. 본 연구는 모바일 앱을 사용하는 패널들의 실제 앱 사용 로그 데이터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여 사용자의 앱 사용행동과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사용자들의 모바일 앱 사용행태와 추이 분석 결과를 선행 이론 및 연구와 비교하여 검토하고, 우리 사회와 생활에 미치는 함의를 이끌어 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사용 앱의 구성 측면에서는 게임 앱이 여전히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지만 뚜렷하게 감소추세를 보이고 있고, 쇼핑, 라이프스타일 등 생활 밀착형 앱 사용이 늘어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미디어 ...
요 약 제 목 :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사용행태 및 특성에 관한 연구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앱으로 약칭함)은 스마트폰 활용의 핵심이지만 아직 모바일 앱에 관한 학문적 연구가 부족하다. 본 연구는 모바일 앱을 사용하는 패널들의 실제 앱 사용 로그 데이터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여 사용자의 앱 사용행동과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사용자들의 모바일 앱 사용행태와 추이 분석 결과를 선행 이론 및 연구와 비교하여 검토하고, 우리 사회와 생활에 미치는 함의를 이끌어 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사용 앱의 구성 측면에서는 게임 앱이 여전히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지만 뚜렷하게 감소추세를 보이고 있고, 쇼핑, 라이프스타일 등 생활 밀착형 앱 사용이 늘어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미디어 스트리밍, 모바일 커머스, O2O(Online to Offline), 오프라인 연계 앱의 비중이 커지면서 앱 유형이 다양해지고 있다. 둘째, 소셜 미디어는 모바일 메신저, SNS(Social Network Service), 커뮤니티 등으로 뚜렷이 분화되며, 분화된 영역에서도 각 앱들이 차별화되고 있다. 사용자들이 개방형 SNS에서 폐쇄형 SNS로 이동하고, 폐쇄형 SNS 앱 이용자들이 늘어날 것이라는 선행 연구의 예측에 대해서 로그 행동 데이터에 대한 분석결과가 일치하지 않아서 이를 반증하였다. 셋째, 연령과 직업 등 인구사회적 특성이 앱 이용의 주된 차이를 나타낸다. 10-20대는 커뮤니케이션, 소셜 콘텐츠, 미디어 스트리밍 앱을 30대 이상 연령층보다 많이 사용하여 의사소통, 주위와의 공유에 더 비중을 두고 있으나, 30대 이상으로 갈수록 쇼핑, O2O. 판매중개 앱 사용이 확연히 높아져서 개인 소비에 많이 이용하는 경향을 보인다. 넷째, O2O 앱 사용이 늘고, 이와 밀접한 관계를 가진 금융, 쇼핑 등 오프라인과 연계되는 앱 등의 사용이 빠르게 증가하여 앱의 상업성이 강화되고 있다. 쇼핑, 결제, 뱅킹뿐만 아니라 앱 스토어, 티켓 구매, 배달/숙박/부동산 등에까지 확산되어, 앱이 사용자들의 오프라인 생활에 밀착하는 기능으로 확대되어 일상의 지배력을 높이고 있다는 점을 로그 데이터를 통해서 재확인하였다. 다섯째, 모바일 앱도 다른 미디어 연구의 사례처럼 일정한 수의 사용목록이 존재하였다. 전체 상위 5개 앱의 비중이 늘고, 앱 카테고리 별로 상위 10-30개의 앱이 사용시간의 80% 이상을 차지하여 집중성이 심화되고 있다. 여섯째, 거대 인터넷 기업인 구글, 네이버, 카카오, 페이스북 등의 모바일 앱들의 사용시간이 늘고, 주요 유형의 앱에서는 독점적 지위가 강화되고 있다. 거대 기업 플랫폼의 지배력 증대와 폐쇄성을 비판하는 연구들을 데이터 분석을 통해 뒷받침하였다. 일곱째, 페이스북, 유튜브를 포함한 앱들이 모바일 플랫폼을 구축, 진화해 왔다. 모바일 메신저에서 출발한 카카오톡과 라인도 모바일 중심 플랫폼으로 확장되고 있다. 모바일 앱이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넘나들며 우리 생활에 깊이 관여하고 있음이 확인되었고, 이로 인해 프라이버시, 상업화, 독점과 폐쇄성 등의 정책과제들이 대두되었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정책적 함의를 가진다. 먼저, 신뢰성 있는 개인정보보호 정책과 안전성 관련 정책 가이드라인이 필요하다. 프라이버시는 소셜 미디어 이용과 관련한 것 외에 모바일 앱 결제를 연결고리로 온·오프라인 연계와 같은 소비 및 생활 전반에도 영향을 주는 문제이다. 제도적, 법적 논의가 필요하겠지만 개인정보가 유통되는 시스템과 구체적인 프로세스를 분석, 공유하고 사회적 합의를 형성하는 것도 유용하다고 할 것이다. 또한 소수 앱 집중과 거대 모바일 플랫폼의 독점적 지위를 완화하고 다양하고 경쟁력 있는 앱 개발 및 대안을 찾는 정책이 요청된다. 소비자 선택에 맡겨두는 것보다는 전문기업의 특색 있는 앱 개발과 성장을 지원하는 정책이 필요하다. 기존의 관행이나 시각과는 구별되는 앱을 개발하고, 사용자에게 더 노출될 수 있게 지원하는 것이다. 독점적 모바일 플랫폼과 앱에 대한 비판적 관점에서 개방성을 지지하고, 시민들의 공감을 구하며 대안을 모색하는 정책이 요청된다. 또한 미디어로서의 모바일 플랫폼이 미치는 사회문화적 영향을 정책에 반영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리고 앱 상업화에 대해서는 균형 정책이 필요하다. 생활을 편리하게 하는 혜택이 있지만, 서비스의 범위가 확대되면서 기존의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업체와의 경쟁, 소규모 영세 업종이나 업체와의 경쟁으로 사회적인 쟁점이 될 수 있다. 앱의 개방성, 소통, 공유라는 본연의 특성을 살리는 앱 정책이 요청된다. 모바일 앱을 잘 쓰지 않는 연령층이나 집단에 사용 정보의 공유나 동기부여를 하는 정책이 필요하다. 높은 연령층이나 상대적으로 정보가 늦은 계층에게 모바일 앱에 관심을 갖고 활용 능력을 증진할 수 있도록 이용 동기부여나 교육, 정보 제공을 하는 것이 요청된다. 이는 정보의 불평등을 줄이는 데 기여할 것이다. 본 연구는 사용자 실제 행동 자료인 로그 데이터를 활용함으로써 객관성과 신뢰성을 높였다는 점과, 사용자의 실제 앱 사용 분석을 바탕으로 기존 연구를 검토하고, 함의를 제시한 점에서 유용성이 있다. 하지만 로그 데이터인 까닭에 데이터를 자유롭게 재구성(customize)하기는 어려웠다는 점과 안드로이드 앱 사용 데이터와 애플 앱 사용 데이터를 비교하지 못한 점, 시계열 데이터 분석이 부족한 점을 한계로 지적하고자 한다.
요 약 제 목 :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사용행태 및 특성에 관한 연구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앱으로 약칭함)은 스마트폰 활용의 핵심이지만 아직 모바일 앱에 관한 학문적 연구가 부족하다. 본 연구는 모바일 앱을 사용하는 패널들의 실제 앱 사용 로그 데이터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여 사용자의 앱 사용행동과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사용자들의 모바일 앱 사용행태와 추이 분석 결과를 선행 이론 및 연구와 비교하여 검토하고, 우리 사회와 생활에 미치는 함의를 이끌어 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사용 앱의 구성 측면에서는 게임 앱이 여전히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지만 뚜렷하게 감소추세를 보이고 있고, 쇼핑, 라이프스타일 등 생활 밀착형 앱 사용이 늘어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미디어 스트리밍, 모바일 커머스, O2O(Online to Offline), 오프라인 연계 앱의 비중이 커지면서 앱 유형이 다양해지고 있다. 둘째, 소셜 미디어는 모바일 메신저, SNS(Social Network Service), 커뮤니티 등으로 뚜렷이 분화되며, 분화된 영역에서도 각 앱들이 차별화되고 있다. 사용자들이 개방형 SNS에서 폐쇄형 SNS로 이동하고, 폐쇄형 SNS 앱 이용자들이 늘어날 것이라는 선행 연구의 예측에 대해서 로그 행동 데이터에 대한 분석결과가 일치하지 않아서 이를 반증하였다. 셋째, 연령과 직업 등 인구사회적 특성이 앱 이용의 주된 차이를 나타낸다. 10-20대는 커뮤니케이션, 소셜 콘텐츠, 미디어 스트리밍 앱을 30대 이상 연령층보다 많이 사용하여 의사소통, 주위와의 공유에 더 비중을 두고 있으나, 30대 이상으로 갈수록 쇼핑, O2O. 판매중개 앱 사용이 확연히 높아져서 개인 소비에 많이 이용하는 경향을 보인다. 넷째, O2O 앱 사용이 늘고, 이와 밀접한 관계를 가진 금융, 쇼핑 등 오프라인과 연계되는 앱 등의 사용이 빠르게 증가하여 앱의 상업성이 강화되고 있다. 쇼핑, 결제, 뱅킹뿐만 아니라 앱 스토어, 티켓 구매, 배달/숙박/부동산 등에까지 확산되어, 앱이 사용자들의 오프라인 생활에 밀착하는 기능으로 확대되어 일상의 지배력을 높이고 있다는 점을 로그 데이터를 통해서 재확인하였다. 다섯째, 모바일 앱도 다른 미디어 연구의 사례처럼 일정한 수의 사용목록이 존재하였다. 전체 상위 5개 앱의 비중이 늘고, 앱 카테고리 별로 상위 10-30개의 앱이 사용시간의 80% 이상을 차지하여 집중성이 심화되고 있다. 여섯째, 거대 인터넷 기업인 구글, 네이버, 카카오, 페이스북 등의 모바일 앱들의 사용시간이 늘고, 주요 유형의 앱에서는 독점적 지위가 강화되고 있다. 거대 기업 플랫폼의 지배력 증대와 폐쇄성을 비판하는 연구들을 데이터 분석을 통해 뒷받침하였다. 일곱째, 페이스북, 유튜브를 포함한 앱들이 모바일 플랫폼을 구축, 진화해 왔다. 모바일 메신저에서 출발한 카카오톡과 라인도 모바일 중심 플랫폼으로 확장되고 있다. 모바일 앱이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넘나들며 우리 생활에 깊이 관여하고 있음이 확인되었고, 이로 인해 프라이버시, 상업화, 독점과 폐쇄성 등의 정책과제들이 대두되었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정책적 함의를 가진다. 먼저, 신뢰성 있는 개인정보보호 정책과 안전성 관련 정책 가이드라인이 필요하다. 프라이버시는 소셜 미디어 이용과 관련한 것 외에 모바일 앱 결제를 연결고리로 온·오프라인 연계와 같은 소비 및 생활 전반에도 영향을 주는 문제이다. 제도적, 법적 논의가 필요하겠지만 개인정보가 유통되는 시스템과 구체적인 프로세스를 분석, 공유하고 사회적 합의를 형성하는 것도 유용하다고 할 것이다. 또한 소수 앱 집중과 거대 모바일 플랫폼의 독점적 지위를 완화하고 다양하고 경쟁력 있는 앱 개발 및 대안을 찾는 정책이 요청된다. 소비자 선택에 맡겨두는 것보다는 전문기업의 특색 있는 앱 개발과 성장을 지원하는 정책이 필요하다. 기존의 관행이나 시각과는 구별되는 앱을 개발하고, 사용자에게 더 노출될 수 있게 지원하는 것이다. 독점적 모바일 플랫폼과 앱에 대한 비판적 관점에서 개방성을 지지하고, 시민들의 공감을 구하며 대안을 모색하는 정책이 요청된다. 또한 미디어로서의 모바일 플랫폼이 미치는 사회문화적 영향을 정책에 반영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리고 앱 상업화에 대해서는 균형 정책이 필요하다. 생활을 편리하게 하는 혜택이 있지만, 서비스의 범위가 확대되면서 기존의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업체와의 경쟁, 소규모 영세 업종이나 업체와의 경쟁으로 사회적인 쟁점이 될 수 있다. 앱의 개방성, 소통, 공유라는 본연의 특성을 살리는 앱 정책이 요청된다. 모바일 앱을 잘 쓰지 않는 연령층이나 집단에 사용 정보의 공유나 동기부여를 하는 정책이 필요하다. 높은 연령층이나 상대적으로 정보가 늦은 계층에게 모바일 앱에 관심을 갖고 활용 능력을 증진할 수 있도록 이용 동기부여나 교육, 정보 제공을 하는 것이 요청된다. 이는 정보의 불평등을 줄이는 데 기여할 것이다. 본 연구는 사용자 실제 행동 자료인 로그 데이터를 활용함으로써 객관성과 신뢰성을 높였다는 점과, 사용자의 실제 앱 사용 분석을 바탕으로 기존 연구를 검토하고, 함의를 제시한 점에서 유용성이 있다. 하지만 로그 데이터인 까닭에 데이터를 자유롭게 재구성(customize)하기는 어려웠다는 점과 안드로이드 앱 사용 데이터와 애플 앱 사용 데이터를 비교하지 못한 점, 시계열 데이터 분석이 부족한 점을 한계로 지적하고자 한다.
Abstract A Study on Mobile Application Usage Behavior and Characteristics Focused on Smartphone Log Data Analysis Kim, Seong Mook (Supervisor Paik, Wook Inn) Department of Digital and Cultural Policy The Graduate School of Public Policy and Information Techn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bstract A Study on Mobile Application Usage Behavior and Characteristics Focused on Smartphone Log Data Analysis Kim, Seong Mook (Supervisor Paik, Wook Inn) Department of Digital and Cultural Policy The Graduate School of Public Policy and Information Techn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This study quantitatively analyzes smartphone user panel’s mobile application log data and aims to understand the panel’s mobile application usage behavior and characteristics. This requires understanding of the users’ mobile application usage behavior different from the existing theories and studies, and eventually, the implications it has on our society and everyday life.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below.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such as age and occupation are what distinguish main differences in app usage. The younger group of smartphone users in their teens and 20’s mainly use communication, social contents and media streaming applications, which implies their greater focus on sharing with others. On the other hand, those in their 30’s and above tend to use apps for personal consumption such as shopping and O2O(online to offline) applications. The commercial viability of applications is also reinforced these days along with more frequent usage of O2O apps and rapid increase of offline-connected apps usage such as finance and shopping, which are closely related to O2O apps. This trend has expanded the app store, ticket purchase and delivery beyond shopping, payment, and banking, indicating that app functions are getting more connected to users’ offline lives. Mobile applications, similarly with other media research cases, had a certain number of repertoires. Usage of top 5 apps’ has increased and the use of top 10∼30 apps in each category account for approximately more than 80% of the total usage time, showing higher centralization. Time spent using major internet companies’ apps such as Google, Naver, Kakao and Facebook are in constant increase, consolidating their dominant positions in the applications market. Apps such as Facebook and Youtube have been established and evolved around mobile platform. Kakao talk and Line, which have started off as mobile messengers, are expanding as mobile-centered platforms as well. Mobile applications are deeply connected to our everyday lives, which therefore entails issues such as privacy breach, commercialization, monopoly, exclusiveness, etc. This study has following policy implications. First of all, policy guidelines are required with regards to reliable privacy protection and security. Privacy issues are involved with not only the usage of social media, but also consumption based on mobile payment which brings online and offline life together. Although institutional and legal debate should be firstly accompanied, it would be safe to argue the usefulness of analysis, sharing and social discussion about the system and process through which personal information is distributed. Furthermore, it is required to leverage small, but professional companies’ diverse and competitive app development and growth by alleviating dominant positions of a few concentrative apps and the giant mobile platform. Political process that supports openness on critical point of view towards monopolistic mobile platform and applications is required. In addition, social and cultural effects that mobile platform has as a media should be reflected in the policies. In terms of app commercialization, equilibrium policy is required. It certainly enables more convenient lives, but as the service range expands, it entails the potential of social controversy and competition between online and offline companies, and between small businesses and giant companies. Policies that can highlight the natural characteristics of applications such as openness, communication and, sharing are in urgent need. Policies that can motivate those who do not more frequently use mobile apps and those of older age groups to share information with others are required, so that those not in the picture can enjoy mobile apps and learn how to utilize them to enjoy the benefits. However, this study recognize limitations as difficulties existed in complete customization of data due to the nature of syndicated log data. Also, it was not possible to directly compare Android vs. Apple applications data and provide sufficient amount of time series analysis through this study.
Abstract A Study on Mobile Application Usage Behavior and Characteristics Focused on Smartphone Log Data Analysis Kim, Seong Mook (Supervisor Paik, Wook Inn) Department of Digital and Cultural Policy The Graduate School of Public Policy and Information Techn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This study quantitatively analyzes smartphone user panel’s mobile application log data and aims to understand the panel’s mobile application usage behavior and characteristics. This requires understanding of the users’ mobile application usage behavior different from the existing theories and studies, and eventually, the implications it has on our society and everyday life.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below.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such as age and occupation are what distinguish main differences in app usage. The younger group of smartphone users in their teens and 20’s mainly use communication, social contents and media streaming applications, which implies their greater focus on sharing with others. On the other hand, those in their 30’s and above tend to use apps for personal consumption such as shopping and O2O(online to offline) applications. The commercial viability of applications is also reinforced these days along with more frequent usage of O2O apps and rapid increase of offline-connected apps usage such as finance and shopping, which are closely related to O2O apps. This trend has expanded the app store, ticket purchase and delivery beyond shopping, payment, and banking, indicating that app functions are getting more connected to users’ offline lives. Mobile applications, similarly with other media research cases, had a certain number of repertoires. Usage of top 5 apps’ has increased and the use of top 10∼30 apps in each category account for approximately more than 80% of the total usage time, showing higher centralization. Time spent using major internet companies’ apps such as Google, Naver, Kakao and Facebook are in constant increase, consolidating their dominant positions in the applications market. Apps such as Facebook and Youtube have been established and evolved around mobile platform. Kakao talk and Line, which have started off as mobile messengers, are expanding as mobile-centered platforms as well. Mobile applications are deeply connected to our everyday lives, which therefore entails issues such as privacy breach, commercialization, monopoly, exclusiveness, etc. This study has following policy implications. First of all, policy guidelines are required with regards to reliable privacy protection and security. Privacy issues are involved with not only the usage of social media, but also consumption based on mobile payment which brings online and offline life together. Although institutional and legal debate should be firstly accompanied, it would be safe to argue the usefulness of analysis, sharing and social discussion about the system and process through which personal information is distributed. Furthermore, it is required to leverage small, but professional companies’ diverse and competitive app development and growth by alleviating dominant positions of a few concentrative apps and the giant mobile platform. Political process that supports openness on critical point of view towards monopolistic mobile platform and applications is required. In addition, social and cultural effects that mobile platform has as a media should be reflected in the policies. In terms of app commercialization, equilibrium policy is required. It certainly enables more convenient lives, but as the service range expands, it entails the potential of social controversy and competition between online and offline companies, and between small businesses and giant companies. Policies that can highlight the natural characteristics of applications such as openness, communication and, sharing are in urgent need. Policies that can motivate those who do not more frequently use mobile apps and those of older age groups to share information with others are required, so that those not in the picture can enjoy mobile apps and learn how to utilize them to enjoy the benefits. However, this study recognize limitations as difficulties existed in complete customization of data due to the nature of syndicated log data. Also, it was not possible to directly compare Android vs. Apple applications data and provide sufficient amount of time series analysis through this study.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