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초등문학수업에서의 정서함양을 위한 교육연극 활용 방안 : 4학년 국어교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educational drama for emotional cultivation in an elementary school literature class : centered on Korean language curriculum of the fourth grade원문보기
본 연구는 초등 문학수업에서 정서함양을 위한 교육연극 활용 방안을 모색하고 수업에 적용해 봄으로써 그 효과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목적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연극이 문학수업에 활용될 교육적 준거는 무엇인가? 둘째, 교육연극 기법을 활용한 문학수업 재구성 방안은 무엇인가? 셋째, 교육연극을 활용한 문학수업이 학생들의 정서 함양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가? 본 연구자는 수업을 설계하기에 앞서 교육연극이 문학 수업에서 활용될 준거를 찾아보고자 관련 문헌과 선행연구들을 검토하였다. 연극과 문학의 관련성과, 문학교육과 교육연극이 추구하는 교육 목적과 특성 등을 분석함으로써 교육연극을 활용한 문학 수업이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였다. ...
본 연구는 초등 문학수업에서 정서함양을 위한 교육연극 활용 방안을 모색하고 수업에 적용해 봄으로써 그 효과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목적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연극이 문학수업에 활용될 교육적 준거는 무엇인가? 둘째, 교육연극 기법을 활용한 문학수업 재구성 방안은 무엇인가? 셋째, 교육연극을 활용한 문학수업이 학생들의 정서 함양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가? 본 연구자는 수업을 설계하기에 앞서 교육연극이 문학 수업에서 활용될 준거를 찾아보고자 관련 문헌과 선행연구들을 검토하였다. 연극과 문학의 관련성과, 문학교육과 교육연극이 추구하는 교육 목적과 특성 등을 분석함으로써 교육연극을 활용한 문학 수업이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였다. 수업설계를 위해 초등학교 4학년의 국어교과에서 문학 관련 단원을 추출하고, 국가수준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을 토대로 교육연극 수업 방법을 적용하여 수업을 재구성하였다. 수업은 총 16차시로 한 달에 걸쳐 진행되도록 설계하였다. 각 학습활동은 수업목표에 따라 텍스트에 대한 이해를 높임과 동시에 문학의 정서를 체험하고 개별 삶의 정서로 확대될 수 있도록 계획하였다. 수원시 소재의 J초등학교 4학년 1개 학급의 28명을 대상으로 수업을 진행한 후, 학생들의 정서 반응을 정서의 인식과 표현, 감정이입, 정서의 조절과 활용의 하위요소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구성주의 문학교육의 취지에 따라 작품 수용의 주체로서 각 학생들의 내부의 의미 구성과 정서적 반응을 살펴보기 위해, 학생들의 수업 소감문, 일기, 설문지 등을 토대로 한 질적 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방법을 토대로 수업을 진행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연극을 활용한 문학 수업은 학습자로 하여금 텍스트에서 느껴지는 정서를 인식하고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다. 둘째, 교육연극 문학 수업은 텍스트의 인물에 대한 감정이입뿐만 아니라 생활 주변의 타인에 대한 감정이입을 수월하게 하였다. 셋째, 교육연극 문학 수업은 문학의 정서를 삶의 정서로 확장하여 자기 자신과 타인의 정서를 조절하고 활용하는데 도움을 주었다. 넷째, 교육연극 문학 수업은 정서함양 뿐만 아니라, 학생들에게 의사소통하고 협동하는 방법을 가르쳐 줌으로써 사회성을 함양하는데 도움을 준다. 다섯째, 교육연극 문학 수업은 학생들에게 수업에 대한 흥미와 몰입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기존의 주지주의 수업이 주는 문제점을 보완할 새로운 교육 방법으로서 그 가능성을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교육연극을 활용한 문학 수업은 학생들에게 문학에 대한 흥미를 가지게 함으로써, 학생들의 정서를 함양시키고 동시에 의사소통능력, 협동심과 같은 사회성을 기르는데 도움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교육연극 문학수업은 지성과 감성을 겸비한 전인적인 인간 양성을 위한 새로운 문학 수업의 방법으로써 계속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초등 문학수업에서 정서함양을 위한 교육연극 활용 방안을 모색하고 수업에 적용해 봄으로써 그 효과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목적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연극이 문학수업에 활용될 교육적 준거는 무엇인가? 둘째, 교육연극 기법을 활용한 문학수업 재구성 방안은 무엇인가? 셋째, 교육연극을 활용한 문학수업이 학생들의 정서 함양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가? 본 연구자는 수업을 설계하기에 앞서 교육연극이 문학 수업에서 활용될 준거를 찾아보고자 관련 문헌과 선행연구들을 검토하였다. 연극과 문학의 관련성과, 문학교육과 교육연극이 추구하는 교육 목적과 특성 등을 분석함으로써 교육연극을 활용한 문학 수업이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였다. 수업설계를 위해 초등학교 4학년의 국어교과에서 문학 관련 단원을 추출하고, 국가수준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을 토대로 교육연극 수업 방법을 적용하여 수업을 재구성하였다. 수업은 총 16차시로 한 달에 걸쳐 진행되도록 설계하였다. 각 학습활동은 수업목표에 따라 텍스트에 대한 이해를 높임과 동시에 문학의 정서를 체험하고 개별 삶의 정서로 확대될 수 있도록 계획하였다. 수원시 소재의 J초등학교 4학년 1개 학급의 28명을 대상으로 수업을 진행한 후, 학생들의 정서 반응을 정서의 인식과 표현, 감정이입, 정서의 조절과 활용의 하위요소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구성주의 문학교육의 취지에 따라 작품 수용의 주체로서 각 학생들의 내부의 의미 구성과 정서적 반응을 살펴보기 위해, 학생들의 수업 소감문, 일기, 설문지 등을 토대로 한 질적 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방법을 토대로 수업을 진행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연극을 활용한 문학 수업은 학습자로 하여금 텍스트에서 느껴지는 정서를 인식하고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다. 둘째, 교육연극 문학 수업은 텍스트의 인물에 대한 감정이입뿐만 아니라 생활 주변의 타인에 대한 감정이입을 수월하게 하였다. 셋째, 교육연극 문학 수업은 문학의 정서를 삶의 정서로 확장하여 자기 자신과 타인의 정서를 조절하고 활용하는데 도움을 주었다. 넷째, 교육연극 문학 수업은 정서함양 뿐만 아니라, 학생들에게 의사소통하고 협동하는 방법을 가르쳐 줌으로써 사회성을 함양하는데 도움을 준다. 다섯째, 교육연극 문학 수업은 학생들에게 수업에 대한 흥미와 몰입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기존의 주지주의 수업이 주는 문제점을 보완할 새로운 교육 방법으로서 그 가능성을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교육연극을 활용한 문학 수업은 학생들에게 문학에 대한 흥미를 가지게 함으로써, 학생들의 정서를 함양시키고 동시에 의사소통능력, 협동심과 같은 사회성을 기르는데 도움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교육연극 문학수업은 지성과 감성을 겸비한 전인적인 인간 양성을 위한 새로운 문학 수업의 방법으로써 계속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Prior to designing the plans for the class, I have searched for the educational standards of educational drama that could be applied in a literature class by examining relevant reference material and previous studies. I have analyzed the relevance of drama and literature, the purpose and characteris...
Prior to designing the plans for the class, I have searched for the educational standards of educational drama that could be applied in a literature class by examining relevant reference material and previous studies. I have analyzed the relevance of drama and literature, the purpose and characteristics of literature education and educational drama, and suggested the future directions which literature education could pursue by applying educational drama. In order to examine my research questions, I have first extracted a chapter on literature from a Korean Langue textbook for 4th graders. Based on the national educational curriculum standards of achievement, I have reconstructed the class by applying the teaching methods of educational drama. The entire class was designed with 16 periods that lasted over a month and learning activities were included in accordance with the objective of each class. Each class was conducted based on the class model through educational drama activities, and it was designed to further increase the understanding of the text while experiencing the literary emotions which could later be expanded into one’s own personal emotions and lives. The class was conducted in accordance with the previously designed class plans at an elementary school in Suwon. A fourth grader class with 28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class experiment and the student’s emotional responses were analyzed in three sub-categories that included the recognition and expression of emotion, emotional empathy, control and utilization of emotion. To study the students’ internal construction of meaning and observe their emotional response as subjects of accepting the literary work, which shares the purposes of constructivist literature education, I applied a method of qualitative analysis by looking at the students’ class reviews, personal diaries, and surveys. The outcomes of the class experiment can be summarized as below: First, students recognized the emotions that could be felt from the text after the educational drama was included in their literature class. This had a positive impact for the students to express their feelings and emotions. Second, literature class that utilized educational drama not only made it easy for students to induce empathy for the character in the text and for those people surrounding the students in their lives. Third, the literature class with educational drama expanded the literary emotions to daily life and helped students to control and utilize their own emotions and that of others. Fourth, literature class with educational drama not only contributed to cultivating emotion but also taught students how to communicate and cooperate with others thereby helped students to become social. Fifth, literature class with educational drama also enabled students to increase their curiosity and enhanced students’ concentration levels. This demonstrated the potential of educational drama as a new educational method that can supplement the existing teaching methods that focuses on the cognitive aspects. This study has so far shown that a literature class that utilized educational drama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cultivation of students’ emotions. This highlights the significance and potential of educational drama as a new alternative method to supplement the existing literature education.
Prior to designing the plans for the class, I have searched for the educational standards of educational drama that could be applied in a literature class by examining relevant reference material and previous studies. I have analyzed the relevance of drama and literature, the purpose and characteristics of literature education and educational drama, and suggested the future directions which literature education could pursue by applying educational drama. In order to examine my research questions, I have first extracted a chapter on literature from a Korean Langue textbook for 4th graders. Based on the national educational curriculum standards of achievement, I have reconstructed the class by applying the teaching methods of educational drama. The entire class was designed with 16 periods that lasted over a month and learning activities were included in accordance with the objective of each class. Each class was conducted based on the class model through educational drama activities, and it was designed to further increase the understanding of the text while experiencing the literary emotions which could later be expanded into one’s own personal emotions and lives. The class was conducted in accordance with the previously designed class plans at an elementary school in Suwon. A fourth grader class with 28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class experiment and the student’s emotional responses were analyzed in three sub-categories that included the recognition and expression of emotion, emotional empathy, control and utilization of emotion. To study the students’ internal construction of meaning and observe their emotional response as subjects of accepting the literary work, which shares the purposes of constructivist literature education, I applied a method of qualitative analysis by looking at the students’ class reviews, personal diaries, and surveys. The outcomes of the class experiment can be summarized as below: First, students recognized the emotions that could be felt from the text after the educational drama was included in their literature class. This had a positive impact for the students to express their feelings and emotions. Second, literature class that utilized educational drama not only made it easy for students to induce empathy for the character in the text and for those people surrounding the students in their lives. Third, the literature class with educational drama expanded the literary emotions to daily life and helped students to control and utilize their own emotions and that of others. Fourth, literature class with educational drama not only contributed to cultivating emotion but also taught students how to communicate and cooperate with others thereby helped students to become social. Fifth, literature class with educational drama also enabled students to increase their curiosity and enhanced students’ concentration levels. This demonstrated the potential of educational drama as a new educational method that can supplement the existing teaching methods that focuses on the cognitive aspects. This study has so far shown that a literature class that utilized educational drama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cultivation of students’ emotions. This highlights the significance and potential of educational drama as a new alternative method to supplement the existing literature education.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