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교사의 자기성찰 경험이 지닌 의미와 본질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초등교사의 자기성찰 경험을 보다 분명하게 이해하기 위해서, 개인의 주관적인 경험을 해석하고 의미를 탐색하는 해석학적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였다. 초등교사의 자기성찰 경험을 현상학적으로 연구한다는 것은, 초등교사가 경험한 자기성찰 체험을 풍부하게 기술하고 그 안에 담긴 의미를 깊이 있게 해석해보는 일이다. 이 연구의 과정은 크게 ‘가정과 선 이해 내려놓기’, ‘체험 자료의 수집’, ‘체험 자료의 분석’, ‘체험 자료...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교사의 자기성찰 경험이 지닌 의미와 본질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초등교사의 자기성찰 경험을 보다 분명하게 이해하기 위해서, 개인의 주관적인 경험을 해석하고 의미를 탐색하는 해석학적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였다. 초등교사의 자기성찰 경험을 현상학적으로 연구한다는 것은, 초등교사가 경험한 자기성찰 체험을 풍부하게 기술하고 그 안에 담긴 의미를 깊이 있게 해석해보는 일이다. 이 연구의 과정은 크게 ‘가정과 선 이해 내려놓기’, ‘체험 자료의 수집’, ‘체험 자료의 분석’, ‘체험 자료의 해석’ 순으로 진행되었다. 연구자는 초등교사의 자기성찰에 대한 자신의 경험과 선행연구를 통해 지니게 된 가정과 선 이해를 내려놓았다. 초등교사의 자기성찰 경험에 관한 체험 자료를 수집하기 위해서 연구자의 체험과 관찰 경험, 연구 참여자의 체험 기록 및 인터뷰 내용, 체험의 원천으로서 문학, 예술, 일기, 현상학적 문헌, 사진, 영화 등을 활용하였다. 연구자는 10년 경력의 초등교사이며, 연구 참여자는 1년 이상 20년 이하의 경력을 지닌 초등교사 10명이었다. 체험 자료의 분석은 수집한 체험 자료에 대해서 반복적인 해석학적 현상학적 반성을 통해, 초등교사의 자기성찰 경험에 대한 주제를 정식화하는 과정을 거쳤다. 이를 통해 구성된 4영역 21개의 주제에 대하여, 연구자는 해석학적 현상학적 글쓰기를 통해서 초등교사의 자기성찰 경험에 대한 해석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첫 번째 해석영역은 ‘교육을 끌어안다’였다. 이 장에서는 초등교사가 무엇에 대해 성찰하고 있는지를 탐색해보고, 그 의미를 해석해보았다. 교사는 자기 삶과 교육 그 자체에 대해 성찰하였다. 교사는 가르친다는 것과 배운다는 것, 교사와 학생이 교육적으로 관계를 맺는 것에 대해 성찰하였다. 또한 교육적 이상과 현실의 차이를 바라보는 것, 자신의 욕심을 버리는 것, 교육적으로 행동하는 것에 대해 성찰하였다. 두 번째 해석영역은 ‘변화와 성장을 이끌다’였다. 이 장에서는 초등교사가 자기성찰을 통해서 무엇을 경험하게 되었는지를 탐색해보고, 그 의미를 해석해보았다. 교사의 성찰은 교사를 변화와 성장으로 이끌어주었다. 교사는 성찰을 통해, 부끄러움을 마주하고, 두려움을 극복하며, 불안과 직면하였다. 또한 교사는 성찰을 통해, 교육적 안목을 키우고, 타인의 진심을 바라보며, 자신과 타인을 수용하였고, 관계의 깊이를 더하였다. 교사는 자기를 성찰하면서 상처를 치유하고 소진을 극복하였다. 세 번째 해석영역은 ‘성찰하는 교사, 실천하다’였다. 이 장에서는 초등교사의 자기성찰이 어떻게 일어나고 있는지를 탐색해보고 그 의미를 해석해보았다. 교사의 성찰은 교사의 내면에서 멈추지 않고, 실천하는 교사의 노력을 통해서 삶으로 드러나게 되었다. 교사는 끊임없이 ‘왜’라고 질문하며, 당연한 것은 낯설게 보기 위해 노력하면서 자기를 성찰하였다. 교사는 타자 및 자기와 꾸준히 교육적으로 대화하면서 자기를 성찰하였다. 교사가 지닌 오해와 편견, 선입견을 버리고 자신의 판단을 멈춘 채, 주위 현상을 있는 그대로 바라보는 자기성찰의 태도를 통해서 교사는 교육의 본질을 마주할 수 있었다. 교육현상을 통합적으로 바라보는 교사의 태도는 교사가 교육을 성찰하게 하였다. 마지막 해석영역은 ‘교사, 삶의 지평을 넓히다’였다. 이 장에서는 초등교사가 성찰한다는 것이 근본적으로 무엇을 지향하는지에 대해서 탐색해보고 그 의미를 해석해보았다. 교사가 자기를 성찰한다는 것은 교사의 삶에 새로운 지평을 열어주는 일이다. 교사는 자기성찰을 통해서 변화와 성장을 지향하는 교사로서의 존재적 속성을 깨닫게 된다. 또한 교사의 성찰은 자기와 타자가 하나임을 깨달으면서 온전히 하나 되는 경험을 하게 한다. 교사는 교육적 존재들과 온전히 하나 되는 경험을 통해서, 교육의 순간에 현존할 수 있다. 해석을 종합해보면, 초등교사가 경험한 자기성찰은 크게 ‘살피는’ 행위와, ‘바라보는’ 행위로 나타났다. 초등교사가 살피고 바라본 대상에 주목하면서 초등교사의 자기성찰 경험이 지닌 본질과 의미에 다가가고자 하였다. 초등교사는 ‘학생’, ‘수업’, ‘관계’, ‘나’를 살폈고, ‘자기’, ‘타자’, ‘존재’를 바라보았다. 살피고 바라본 이 대상들은 초등교사의 ‘참된 본성’을 지향하게 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서 연구자는 초등교사의 자기성찰 경험이 지닌 본질과 의미를 알아가는 것과 동시에 초등교사로서 살아가는 나 자신의 행위를 성찰하는 경험을 하게 되었다. 연구자, 연구 참여자, 그리고 이 연구를 접하는 독자가 이 연구를 통해서 얻어진 자기성찰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지식을 경험적으로 받아들이면서 실제 자신의 삶에서 ‘살아낼 수’ 있기를 기대한다.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교사의 자기성찰 경험이 지닌 의미와 본질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초등교사의 자기성찰 경험을 보다 분명하게 이해하기 위해서, 개인의 주관적인 경험을 해석하고 의미를 탐색하는 해석학적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였다. 초등교사의 자기성찰 경험을 현상학적으로 연구한다는 것은, 초등교사가 경험한 자기성찰 체험을 풍부하게 기술하고 그 안에 담긴 의미를 깊이 있게 해석해보는 일이다. 이 연구의 과정은 크게 ‘가정과 선 이해 내려놓기’, ‘체험 자료의 수집’, ‘체험 자료의 분석’, ‘체험 자료의 해석’ 순으로 진행되었다. 연구자는 초등교사의 자기성찰에 대한 자신의 경험과 선행연구를 통해 지니게 된 가정과 선 이해를 내려놓았다. 초등교사의 자기성찰 경험에 관한 체험 자료를 수집하기 위해서 연구자의 체험과 관찰 경험, 연구 참여자의 체험 기록 및 인터뷰 내용, 체험의 원천으로서 문학, 예술, 일기, 현상학적 문헌, 사진, 영화 등을 활용하였다. 연구자는 10년 경력의 초등교사이며, 연구 참여자는 1년 이상 20년 이하의 경력을 지닌 초등교사 10명이었다. 체험 자료의 분석은 수집한 체험 자료에 대해서 반복적인 해석학적 현상학적 반성을 통해, 초등교사의 자기성찰 경험에 대한 주제를 정식화하는 과정을 거쳤다. 이를 통해 구성된 4영역 21개의 주제에 대하여, 연구자는 해석학적 현상학적 글쓰기를 통해서 초등교사의 자기성찰 경험에 대한 해석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첫 번째 해석영역은 ‘교육을 끌어안다’였다. 이 장에서는 초등교사가 무엇에 대해 성찰하고 있는지를 탐색해보고, 그 의미를 해석해보았다. 교사는 자기 삶과 교육 그 자체에 대해 성찰하였다. 교사는 가르친다는 것과 배운다는 것, 교사와 학생이 교육적으로 관계를 맺는 것에 대해 성찰하였다. 또한 교육적 이상과 현실의 차이를 바라보는 것, 자신의 욕심을 버리는 것, 교육적으로 행동하는 것에 대해 성찰하였다. 두 번째 해석영역은 ‘변화와 성장을 이끌다’였다. 이 장에서는 초등교사가 자기성찰을 통해서 무엇을 경험하게 되었는지를 탐색해보고, 그 의미를 해석해보았다. 교사의 성찰은 교사를 변화와 성장으로 이끌어주었다. 교사는 성찰을 통해, 부끄러움을 마주하고, 두려움을 극복하며, 불안과 직면하였다. 또한 교사는 성찰을 통해, 교육적 안목을 키우고, 타인의 진심을 바라보며, 자신과 타인을 수용하였고, 관계의 깊이를 더하였다. 교사는 자기를 성찰하면서 상처를 치유하고 소진을 극복하였다. 세 번째 해석영역은 ‘성찰하는 교사, 실천하다’였다. 이 장에서는 초등교사의 자기성찰이 어떻게 일어나고 있는지를 탐색해보고 그 의미를 해석해보았다. 교사의 성찰은 교사의 내면에서 멈추지 않고, 실천하는 교사의 노력을 통해서 삶으로 드러나게 되었다. 교사는 끊임없이 ‘왜’라고 질문하며, 당연한 것은 낯설게 보기 위해 노력하면서 자기를 성찰하였다. 교사는 타자 및 자기와 꾸준히 교육적으로 대화하면서 자기를 성찰하였다. 교사가 지닌 오해와 편견, 선입견을 버리고 자신의 판단을 멈춘 채, 주위 현상을 있는 그대로 바라보는 자기성찰의 태도를 통해서 교사는 교육의 본질을 마주할 수 있었다. 교육현상을 통합적으로 바라보는 교사의 태도는 교사가 교육을 성찰하게 하였다. 마지막 해석영역은 ‘교사, 삶의 지평을 넓히다’였다. 이 장에서는 초등교사가 성찰한다는 것이 근본적으로 무엇을 지향하는지에 대해서 탐색해보고 그 의미를 해석해보았다. 교사가 자기를 성찰한다는 것은 교사의 삶에 새로운 지평을 열어주는 일이다. 교사는 자기성찰을 통해서 변화와 성장을 지향하는 교사로서의 존재적 속성을 깨닫게 된다. 또한 교사의 성찰은 자기와 타자가 하나임을 깨달으면서 온전히 하나 되는 경험을 하게 한다. 교사는 교육적 존재들과 온전히 하나 되는 경험을 통해서, 교육의 순간에 현존할 수 있다. 해석을 종합해보면, 초등교사가 경험한 자기성찰은 크게 ‘살피는’ 행위와, ‘바라보는’ 행위로 나타났다. 초등교사가 살피고 바라본 대상에 주목하면서 초등교사의 자기성찰 경험이 지닌 본질과 의미에 다가가고자 하였다. 초등교사는 ‘학생’, ‘수업’, ‘관계’, ‘나’를 살폈고, ‘자기’, ‘타자’, ‘존재’를 바라보았다. 살피고 바라본 이 대상들은 초등교사의 ‘참된 본성’을 지향하게 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서 연구자는 초등교사의 자기성찰 경험이 지닌 본질과 의미를 알아가는 것과 동시에 초등교사로서 살아가는 나 자신의 행위를 성찰하는 경험을 하게 되었다. 연구자, 연구 참여자, 그리고 이 연구를 접하는 독자가 이 연구를 통해서 얻어진 자기성찰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지식을 경험적으로 받아들이면서 실제 자신의 삶에서 ‘살아낼 수’ 있기를 기대한다.
In this study, I aimed to reach an understanding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experience of self-reflection. In order to get to a better understanding of that experience, I adapted a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approach as a research methodology, which tries to explore subjective experiences and ...
In this study, I aimed to reach an understanding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experience of self-reflection. In order to get to a better understanding of that experience, I adapted a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approach as a research methodology, which tries to explore subjective experiences and find out their meanings. With a phenomenological approach, I have endeavored to make a detailed and broad description of elementary teachers’ self reflection experiences and to interpret the meanings of those experiences throughout this study. Overall, I carried out the research according to the following 3 steps: 1) Putting down the presumptions and pre-understandings, 2) Gathering the experiential data, 3) Analyzing and Interpreting the collected data. The researcher divested his/her presumption and pre-understanding through his/her own experience in the self-reflec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previous studies. The experiential data I gathered in this study include: 1) experience of myself as the researcher 2) the research participants’ descriptions on the experience and the interviews with them 3) literature, art, diary, phenomenological literature, pictures, movies, etc. I as the researcher have 10 year experience in elementary school. The 10 research participants of this study also have one to 20 year teaching experience in elementary school. After gathering the experiential data, I carefully analysed and interpreted those data through repetitive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reflection and came up with 21 themes. Those themes are organized and presented in the following 4 chapters: The first chapter is regarding ‘embracing education.’ Teachers tend to reflect on their life and education itself. Teachers reflect on their teaching practices and relationships with other teachers and students at schools. Through such reflections on themselves and educational practices, teachers can understand students and pedagogy more. Furthermore, they can face and overcome the differences between their educational ideals and their realities, throwing away their greed, and acting in educational way. The second chapter is regarding ‘leading change and growth’. In this chapter I look into what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flect about and try to analyse and interpret its meaning. Self reflection of teachers led them to the changes and grows. By reflecting on themselves they can face their shames, overcome fears, and confront their insecurities as they are. Furthermore, through these acts, they can enlarge their insights on education, respect the sincerity of others, accept themselves and others, and deepen the relationships with others. Teachers can heal their wounds and overcome exhaustion by reflecting on themselves. The third chapter is regarding ‘teachers who self-reflect, put into action’. In this chapter, I am discussing how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are reflecting on themselves and what this means. The act of reflecting on oneself does not stop influencing the teachers’ mind but it makes her/him act in a certain way. Teachers always ask "Why?" and reflect on themselves to try to look at things differently. Teacher’s self-reflection often takes place when she/he converse with others concerning educational matters. Teachers could see the essence of education through the attitude that enable teachers to look at things as they are, with suspending their own judgements and abandoning their own misunderstandings and prejudices. Such attitude that makes teachers have comprehensive perspective about education lead them to introspect the education genuinely. The last chapter is regarding ‘teacher, broaden the horizons of life’. In this chapter, I explore what the act of self-reflection of teachers aims for ultimately and interpret its meaning. By reflecting on themselves, teachers can open a new horizon in their life. They can also understand their existence as someone who focuses on change and improvement. Furthermore, it allows the person to understand that he or she is one with others and actually experience it. By experiencing becoming one with educational beings, teachers can exist in the moment of education. Based on all these analyses regardi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self-reflection experiences, I drew and explanation as the ‘watching’ and ‘looking’ behavior. Focusing on the target who was watched and looked, the researcher tried to get close to the essence and meaning of self-reflection experienc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Teacher watched ‘student’, ‘class’, ‘relationship’, ‘I’, and looked at ‘self’, ‘other’, ‘presence’. These targets led the teacher to the ‘true human natur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rough this study, the researcher knew the meaning and the essence of the self-reflection experienc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 and reflected on the acting as a teacher of primary school. The researcher hopes the other researchers, study participants, and the readers in contact with this research to accept the phenomenological knowledge of self-reflection experience obtained through this study, and to practice it in their real lives. Key words: elementary school teacher, self-reflection, experience, phenomenological study
In this study, I aimed to reach an understanding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experience of self-reflection. In order to get to a better understanding of that experience, I adapted a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approach as a research methodology, which tries to explore subjective experiences and find out their meanings. With a phenomenological approach, I have endeavored to make a detailed and broad description of elementary teachers’ self reflection experiences and to interpret the meanings of those experiences throughout this study. Overall, I carried out the research according to the following 3 steps: 1) Putting down the presumptions and pre-understandings, 2) Gathering the experiential data, 3) Analyzing and Interpreting the collected data. The researcher divested his/her presumption and pre-understanding through his/her own experience in the self-reflec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previous studies. The experiential data I gathered in this study include: 1) experience of myself as the researcher 2) the research participants’ descriptions on the experience and the interviews with them 3) literature, art, diary, phenomenological literature, pictures, movies, etc. I as the researcher have 10 year experience in elementary school. The 10 research participants of this study also have one to 20 year teaching experience in elementary school. After gathering the experiential data, I carefully analysed and interpreted those data through repetitive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reflection and came up with 21 themes. Those themes are organized and presented in the following 4 chapters: The first chapter is regarding ‘embracing education.’ Teachers tend to reflect on their life and education itself. Teachers reflect on their teaching practices and relationships with other teachers and students at schools. Through such reflections on themselves and educational practices, teachers can understand students and pedagogy more. Furthermore, they can face and overcome the differences between their educational ideals and their realities, throwing away their greed, and acting in educational way. The second chapter is regarding ‘leading change and growth’. In this chapter I look into what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flect about and try to analyse and interpret its meaning. Self reflection of teachers led them to the changes and grows. By reflecting on themselves they can face their shames, overcome fears, and confront their insecurities as they are. Furthermore, through these acts, they can enlarge their insights on education, respect the sincerity of others, accept themselves and others, and deepen the relationships with others. Teachers can heal their wounds and overcome exhaustion by reflecting on themselves. The third chapter is regarding ‘teachers who self-reflect, put into action’. In this chapter, I am discussing how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are reflecting on themselves and what this means. The act of reflecting on oneself does not stop influencing the teachers’ mind but it makes her/him act in a certain way. Teachers always ask "Why?" and reflect on themselves to try to look at things differently. Teacher’s self-reflection often takes place when she/he converse with others concerning educational matters. Teachers could see the essence of education through the attitude that enable teachers to look at things as they are, with suspending their own judgements and abandoning their own misunderstandings and prejudices. Such attitude that makes teachers have comprehensive perspective about education lead them to introspect the education genuinely. The last chapter is regarding ‘teacher, broaden the horizons of life’. In this chapter, I explore what the act of self-reflection of teachers aims for ultimately and interpret its meaning. By reflecting on themselves, teachers can open a new horizon in their life. They can also understand their existence as someone who focuses on change and improvement. Furthermore, it allows the person to understand that he or she is one with others and actually experience it. By experiencing becoming one with educational beings, teachers can exist in the moment of education. Based on all these analyses regardi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self-reflection experiences, I drew and explanation as the ‘watching’ and ‘looking’ behavior. Focusing on the target who was watched and looked, the researcher tried to get close to the essence and meaning of self-reflection experienc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Teacher watched ‘student’, ‘class’, ‘relationship’, ‘I’, and looked at ‘self’, ‘other’, ‘presence’. These targets led the teacher to the ‘true human natur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rough this study, the researcher knew the meaning and the essence of the self-reflection experienc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 and reflected on the acting as a teacher of primary school. The researcher hopes the other researchers, study participants, and the readers in contact with this research to accept the phenomenological knowledge of self-reflection experience obtained through this study, and to practice it in their real lives. Key words: elementary school teacher, self-reflection, experience, phenomenological study
Keyword
#초등교사 자기성찰 경험 체험 현상학적 연구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