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統一新羅時代 華嚴系 佛像 硏究 원문보기


서지민 (충북대학교 일반대학원 考古美術史學科 美術史專攻 국내박사)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통일신라시대 불교조각사에서 화엄계 불상이 차지하는 비중은 매우 크다. 특히 불교가 사회전반을 이끄는 이념이자 문화적인 번영의 밑거름으로 작용했던 통일신라시대에는 화엄이 불교계의 주축을 이루면서 융성했기 때문에 자연히 화엄계 불상도 많이 조성되었다. 그러므로 통일신라시대 화엄계 불상에 대해서 고찰하는 것은 불상의 양식이나 도상 특징을 통해서 당시 불교미술의 한 단면을 살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신라가 주변 국가들과의 교류를 통해 완성한 국제적인 불교문화의 토대 위에서 어떻게 나름의 독자성을 추구하고 정착시켰는지를 규명할 수 있기 때문에 통일신라시대 불교조각사 연구에서 차지하는 비중과 의의가 자못 크다고 하겠다. 이 논문에서는 기왕의 관련연구를 통해 통일신라시대 화엄계 불상 중에 대표적인 예들만을 개별적으로 다루었기 때문에 파악되지 못했거나, 구체적으로 논의되지 못했던 연구과제들을 해명하는데 주안점을 두면서 통일신라시대 불교사적인 맥락 속에서 화엄계 불상을 다각적인 측면에서 규명하고자 했다. 즉 통일신라시대 화엄계 불상과 관련되는 선행연구는 대부분 석굴암 본존불상이나 석남사 석조비로자나불상 등의 한국조각사에서 비중이 큰 연구대상만을 개별적으로 다루거나, 통일신라시대 화엄계 미술 전반에 대해서 개괄적인 흐름을 소략하게 살펴보는 정도에 머물렀다. 이에 이 논문에서는 이미 논해진 바 있는 불상뿐만 아니라 그 동안 주목하지 못했던 화엄계 불상들을 새롭게 발굴하여 논의의 대상에 포함시키고, 그 불상들을 계통별로 묶어서 살펴봄으로써 통일신라시대 화엄계 불상의 전개양상을 구체적이면서 일목요연하게 파악하고자 노력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에 따라 통일신라시대 화엄계 불상을 촉지인, 시무외·여원인, 지권인의 형식으로 분류한 다음 각 계통의 불상들을 화엄불신론에 입각하여 분석하고 화엄교의적인 관점으로 해석함으로써, 신라 화엄종에서 어떤 불상을 주존으로 신앙했는지, 또 그 양상은 어떻게 전개되었는지 규명하였다. 또 관련문헌이나 발굴조사를 통해서 화엄계 불상으로 추정할 수 있는 예나 도상체계를 판별할 수 없는 화엄계 불상까지 포괄하여 통일신라시대 화엄계 불상의 전개양상을 종합적으로 분석, 검토하였다. 이상의 고찰을 통해 도출된 통일신라시대 화엄계 불상에 대한 주요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신라 화엄종의 주축을 이루었던 의상계에서는『60화엄경』을 바탕으로 의상의 화엄불신론에 입각하여 주존불상을 형상화하였다. 즉 의상계 화엄종에서는 석가모니의 모습 속에서 화엄의 법신불을 찾고자했기 때문에 촉지인을 결한 모습으로 주존불상을 형상화하였다. 신라 화엄종의 근본도량인 부석사 무량수전에 봉안된 소조아미타불상이 그러한 경우이다. 기왕의 연구에서 부석사 무량수전 소조아미타불상의 尊名은 밝혀진 바 있지만 이 불상은 서방 극락정토를 주재하는 아미타불이 아니라 석가모니불, 노사나불과 同格의 개념을 갖고 있는 華嚴一乘의 아미타불상으로 파악된다. 석굴암도 표훈과 신림에 의해서 조영된 의상계 화엄종 사찰이다. 석굴암은 38軀에 이르는 불상군이 하나의 조합을 이루고 있는데, 불상군의 중심에서 이들을 圓融하는 본존불상도 華嚴一乘의 개념을 갖고 있다고 판단된다. 석굴암 본존불상은 석가모니의 정각을 표현한 인도 보드가야의 금강좌진용상을 模本으로 조성되었다는 사실은 널리 알려져 있다. 그러나 석가모니불의 개념 이외에도, 석굴암의 구조와 배치체계를 볼 때 본존불상은 문수보살상, 보현보살상과 함께 三尊을 이루기도 하며 11면관음보살상과는 완전히 포개져서 不二의 존재임을 드러내고 있다. 즉 석굴암 본존불상은『화엄경』의 經主인 비로자나불을 대신하여 설법을 하거나, 화엄세계를 체험하도록 지혜를 주고 법계를 보여주는 문수보살, 보현보살을 협시로 三尊을 이루고 있다. 이 삼존불상을 의상의「화엄일승발원문」의 내용과 결부시켜 해석해보면, 본존불상은 문수보살, 보현보살을 통해서 깨달음의 세계를 설명하며 보살도를 실천하고 중생을 구제하는 법신 비로자나불의 성격을 갖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또 의상의「백화도량발원문」에 나타나는 ...

학위논문 정보

저자 서지민
학위수여기관 충북대학교 일반대학원
학위구분 국내박사
학과 考古美術史學科 美術史專攻
지도교수 金春實
발행연도 2016
총페이지 iv, 285 p.
언어 kor
원문 URL http://www.riss.kr/link?id=T14010982&outLink=K
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