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문화콘텐츠 속 여성상의 변화 양상 원문보기


김지희 (중앙대학교 대학원 문예창작학과 문학이론전공 국내석사)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고는 옛 이야기와 이를 원천으로 한 애니메이션 및 영화에 나타난 여성상의 변화 양상을 살펴보았다. 아동에게 많은 영향을 끼치는 대중매체 속 ‘성 고정관념’에 대한 정확한 인식의 필요성에서 출발한 문제제기는 아동이 성 차별적인 시선을 지닌 문화콘텐츠를 무분별하게 흡수할 경우, 부정적인 ‘성 인식’이 형성될 수 있다는 우려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하여 미국에서는 그림책에 나타난 성 역할 고정관념에 대한 연구가 1970년대부터 시작되었고, 국내의 경우 1990년대에 이르러 그림책과 아동의 성 고정관념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문화콘텐츠와 관련하여 아동의 성 인식에 대한 논의를 본고에서 추가적으로 다루고자하는 이유는 크게 두 가지이다. 첫째, 아동기는 인간이 사회화되는 과정 중에 가장 중요한 시기로 이 시기에 형성되는 편견적 인식의 위험성과 그 파급효과 때문이다. 둘째, 최근 아동들이 문화콘텐츠 속 인물을 ...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hanging modality of female characters in tales and tale-based animations and movies. Discussions on the need of correct recognition of 'gender stereotype' in mass media of which influence on children is enormous have been brought forth with the fear of c...

학위논문 정보

저자 김지희
학위수여기관 중앙대학교 대학원
학위구분 국내석사
학과 문예창작학과 문학이론전공
지도교수 이승하
발행연도 2016
총페이지 iv, 82장
언어 kor
원문 URL http://www.riss.kr/link?id=T14021281&outLink=K
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