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애니메이션 캐릭터의 젠더 담론에 관한 연구: 디즈니 애니메이션 <겨울왕국>의 여성 캐릭터를 중심으로
A Research on Gender Discourse of Animation Character: Focused on Female Characters of Disney Animation Frozen 원문보기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v.15 no.5, 2014년, pp.613 - 620  

오동일 (선문대학교 문화콘텐츠학과) ,  최혜림 (인천대학교 기초교육원)

초록

본 논문에서 논의하고 있는 애니메이션의 젠더담론은 동시대 관객과의 원활한 소통과 관련된 의미론적 치원이라고 할 수 있다. 애니메이션 캐릭터의 젠더 문제는 관객과의 의미작용을 위한 언어적 요소가 구체화된 것이라고 할 수 있기 때문에 관객과의 소통 차원에서 상당히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디즈니의 장편 애니메이션 <겨울왕국>의 상업적 성공은 먼저 작품이 보여주는 우수한 미학적 기법과 원리, 그리고 디즈니 스튜디오의 글로벌 마케팅 역량에서 그 요인을 찾아볼 수 있으나, 무엇보다 기존 디즈니 애니메이션에서 볼 수 없었던 여성 캐릭터의 젠더 표상에서 그 가치를 논의해 볼 수 있다. <겨울왕국>의 주요 여성 캐릭터 엘사와 안나의 젠더 표상은 동시대 관객들이 공감하고 몰입할 수 있는 시대정신과 이데올로기를 잘 반영함으로써 문화와 언어의 장벽을 뛰어넘는 보편적인 의미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그러므로 애니메이션에서 보이는 캐릭터의 젠더 담론에 관한 고찰은 소통적 관점에서 작품을 풍요롭게 읽어내는 기초적인 연구라고 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Gender Representation of animation character that is discussed in this essay is a semantic discourse that is related to communication with contemporary audience. For gender Representation of animation character, as it can be thought that linguistic elements for signification with audience are mater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본 연구의 목적은 엘사와 안나의 젠더 표상을 분석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의 흥행 요인을 의미론적 차원에서 해석하는 데에 있다.
  • 그러므로 이에 대한 이론적 배경으로서 젠더 담론을 이론적으로 간략하게 살펴보고자 한다. 그리고 그러한 이론적 틀을 토대로 작품 전반에 걸쳐 나타나는 엘사와 안나 두 캐릭터의 젠더 표상을 분석함으로써 담론적 차원에서 <겨울왕국>이 보여주는 여성 캐릭터의 시대적 의미망을 해석해 보고자 한다.
  • 그리고 그러한 이론적 틀을 토대로 작품 전반에 걸쳐 나타나는 엘사와 안나 두 캐릭터의 젠더 표상을 분석함으로써 담론적 차원에서 이 보여주는 여성 캐릭터의 시대적 의미망을 해석해 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의 스토리텔링에 있어서 구심적 역할을 하고 있는 엘사와 안나의 젠더 표상에 관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겨울왕국의 원작은 무엇인가? <겨울왕국>의 원작은 한스 크리스타인 안데르센(Hans Christian Andersen)의 동화 <눈의 여왕(The Snow Queen)>이다. 그러나 <눈의 여왕>은 <겨울왕국>이라는 작품의 스토리 개발을 위한 영감과 모티브만을 제공했을 뿐, <겨울왕국>에서 보이는 이야기의 전개와 구성은 원작과큰 차이를 보여준다.
겨울왕국은 개봉 이후 어떠한 평가를 받았는가? 2013년 겨울에 들어서며 전 세계 애니메이션 관객들은 디즈니 스튜디오의 새로운 극장용 장편 애니메이션 <겨울왕국(Frozen)>을 만났다. 이 작품은 개봉 이후 디즈니 스튜디오가 제작한 최고의 뮤지컬 애니메이션이라는 찬사를 받으며, 아카데미 장편 애니메이션상과 주제가상 등을 수상하는 등 상업적으로나 비평적으로 큰 성공을 거두었다.
젠더 개념은 어떻게 발전해왔는가? 젠더 개념은 ‘생물학적 성과 구분되는 사회문화적으로 구성되는 성적 특질을 지칭하는 것’, ‘성 특질이 고정된 인성적 특질이나 안정된 실체가 아니라 행위자들에 의해 적극적으로 행위가 되고 생산되는 수행적인 것’, ‘남성 지배를 위한 이데올로기 도구로서 섹스에 대한 지식이나 현실자체를 구성하는 담론적 권력의 한 형태’와 같이 점점 다양하게 의미적으로 분화되고 발전되어 왔다. 여기서 특히 두 번째, 세 번째의 젠더 개념은 인간을 남성, 여성으로 분리하는 원리 자체에 문제를 제기한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Lecture at Content Insight 2014, Coex in Seoul, March 31, 2014. 

  2. J. Scott, "Gender and the Politics of History," translated by H. Song, Korean Literature, The Society of Korean Literature, Vol. 31, p. 291-295, 1996. 

  3. N. Lee, Looking Back Media and Gender, Seoul, Ewha Womans University Press, 2013, pp. 203-204 

  4. H. Cho, "Gender Identity Theory of Judith Butler," Korean Academic Information, pp.134-167, 2007. 

  5. B. Judith, Gender Trouble: Feminism and the Subver sion of Identity, New York, Routledge, 1990, p.31 

  6. C. Karl, "The Importance of the FBI's Walt Disney File to animation scholars", Animation Journal, Spring, pp. 67-77, 1995. 

  7. B. Roland, Mythologies, translated by Annette Lavers, Hill &Wang, New York, 1972. 

  8. L. John, "Principles of Traditional Animation Applied to 3D Computer Animation," ACM Computer Graphics, Vol. 21, No. 4, July 1987. 

  9. Y. Lee, "Between the Witch and the Royal Princess - Seeing with Commercial Success of Frozen, Korea Society," Culture and Science, Seoul, Culture and Science Press, Spring, 2014, p.168. 

  10. M. Kim, "A Study on the Expression of Femininity in Animation: focusing on the Female Gesture," The Korean Journal of Animation, Seoul, The Animation Society of Korea, Vol. 9. No. 4, p.55, 2013. 

  11. J. Joo and C. Kim, "Research on the Expression of Aesthetics in Animation,"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Seoul, Digital Contents Society, Vol. 6, No. 4, p. 250, 200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