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자기주도학습을 단지 학업성취를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보는 기존 연구와 단기적 훈련 프로그램으로 접근하는 교육현장에 문제의식을 가지고 시작되었다. 교육현장은 물론 사회전반에 걸쳐 자기주도학습의 필요성 및 중요성에 대해서는 다들 공감하고 있지만 자기주도학습에 대한 높은 관심에도 불구하고 실제 자기주도학습은 잘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이에 일상생활 속에서 자기주도학습 능력을 증진시키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자기주도학습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학습자의 주체성이 우선되어야 하므로 학습자의 동기적 요인과 자율성지지 환경의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구체적으로는 부모와 교사의 자율성 지지와 청소년들의 유능감과 성취목표 및 자기주도학습 간에 어떤 관계가 있으며 어떠한 경로를 통해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지 실증적인 자료를 통해 총체적으로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경기도의 중학생과 고등학생 519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2차의 데이터 정제 과정을 거쳐 416명을 최종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의 성별 분포는 남학생 193명, 여학생 223명이었으며 학교급별은 중학생 206명, 고등학생 201명이었다. 분석방법은 ...
본 연구는 자기주도학습을 단지 학업성취를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보는 기존 연구와 단기적 훈련 프로그램으로 접근하는 교육현장에 문제의식을 가지고 시작되었다. 교육현장은 물론 사회전반에 걸쳐 자기주도학습의 필요성 및 중요성에 대해서는 다들 공감하고 있지만 자기주도학습에 대한 높은 관심에도 불구하고 실제 자기주도학습은 잘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이에 일상생활 속에서 자기주도학습 능력을 증진시키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자기주도학습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학습자의 주체성이 우선되어야 하므로 학습자의 동기적 요인과 자율성지지 환경의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구체적으로는 부모와 교사의 자율성 지지와 청소년들의 유능감과 성취목표 및 자기주도학습 간에 어떤 관계가 있으며 어떠한 경로를 통해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지 실증적인 자료를 통해 총체적으로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경기도의 중학생과 고등학생 519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2차의 데이터 정제 과정을 거쳐 416명을 최종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의 성별 분포는 남학생 193명, 여학생 223명이었으며 학교급별은 중학생 206명, 고등학생 201명이었다. 분석방법은 구조방정식을 이용하여 주요변인 간의 관계와 영향력을 검증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자율성 지지와 유능감, 성취목표 및 자기주도학습 간의 직접적인 영향과 매개효과 및 집단 간 차이를 분석하였다. 분석에 따른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자율성 지지와 자기주도학습 간의 직접경로를 제외하고 연구모형의 모든 경로가 자기주도학습에 유의미한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자율성 지지는 자기주도학습에 직접영향은 없었으나 유능감과 성취목표를 매개하여 간접영향을 미쳤다. 또한 유능감은 성취목표를 경유하여 자기주도학습에 영향력을 나타내었다. 집단별 차이검증에서 성별의 차이는 없었고 중학생과 고등학생 간에는 자기주도학습의 영향변인에 있어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중학생은 유능감이 자기주도학습에 좀 더 중요한 역할을 하는 반면 고등학생은 성취목표가 자기주도학습에 보다 더 중요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유능감과 성취목표는 성별에 관계없이 자기주도학습에 기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청소년들에게 있어 유능감과 성취목표가 자기주도학습에 동기적 요인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청소년들이 유능감을 지각하고 성취목표를 갖기 위해서는 자율성지지 환경이 선행되어야 한다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또한 부모와 교사는 자율성 지지를 하는데 있어 중학생은 유능감을 지각할 수 있도록 하고 고등학생은 성취목표를 가질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시사점을 갖는다.
본 연구는 자기주도학습을 단지 학업성취를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보는 기존 연구와 단기적 훈련 프로그램으로 접근하는 교육현장에 문제의식을 가지고 시작되었다. 교육현장은 물론 사회전반에 걸쳐 자기주도학습의 필요성 및 중요성에 대해서는 다들 공감하고 있지만 자기주도학습에 대한 높은 관심에도 불구하고 실제 자기주도학습은 잘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이에 일상생활 속에서 자기주도학습 능력을 증진시키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자기주도학습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학습자의 주체성이 우선되어야 하므로 학습자의 동기적 요인과 자율성지지 환경의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구체적으로는 부모와 교사의 자율성 지지와 청소년들의 유능감과 성취목표 및 자기주도학습 간에 어떤 관계가 있으며 어떠한 경로를 통해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지 실증적인 자료를 통해 총체적으로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경기도의 중학생과 고등학생 519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2차의 데이터 정제 과정을 거쳐 416명을 최종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의 성별 분포는 남학생 193명, 여학생 223명이었으며 학교급별은 중학생 206명, 고등학생 201명이었다. 분석방법은 구조방정식을 이용하여 주요변인 간의 관계와 영향력을 검증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자율성 지지와 유능감, 성취목표 및 자기주도학습 간의 직접적인 영향과 매개효과 및 집단 간 차이를 분석하였다. 분석에 따른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자율성 지지와 자기주도학습 간의 직접경로를 제외하고 연구모형의 모든 경로가 자기주도학습에 유의미한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자율성 지지는 자기주도학습에 직접영향은 없었으나 유능감과 성취목표를 매개하여 간접영향을 미쳤다. 또한 유능감은 성취목표를 경유하여 자기주도학습에 영향력을 나타내었다. 집단별 차이검증에서 성별의 차이는 없었고 중학생과 고등학생 간에는 자기주도학습의 영향변인에 있어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중학생은 유능감이 자기주도학습에 좀 더 중요한 역할을 하는 반면 고등학생은 성취목표가 자기주도학습에 보다 더 중요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유능감과 성취목표는 성별에 관계없이 자기주도학습에 기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청소년들에게 있어 유능감과 성취목표가 자기주도학습에 동기적 요인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청소년들이 유능감을 지각하고 성취목표를 갖기 위해서는 자율성지지 환경이 선행되어야 한다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또한 부모와 교사는 자율성 지지를 하는데 있어 중학생은 유능감을 지각할 수 있도록 하고 고등학생은 성취목표를 가질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시사점을 갖는다.
This study was initiated with the awareness of problems on existing studies which regards self-directed learning as only improving achievement in learning and on fields of school education that approaches by only short-term training programs. Not only schools but also the society as a whole feels th...
This study was initiated with the awareness of problems on existing studies which regards self-directed learning as only improving achievement in learning and on fields of school education that approaches by only short-term training programs. Not only schools but also the society as a whole feels the need and importance of self-directed learning and have great interest in it but self-directed learning has not been well adopted in the field. In this regards, this study searched for the alternatives which increased or developed the ability of self-directed learning in daily life. In order to improve self-directed learning learner's subjectivity should be considered at first and therefore this study was held to examine the effects of adolescents' motivation factors and the environment of autonomy support. Specifically, this study was comprehensively tested to examine the autonomy support of parents and teachers and youth's competence, achievement goal and self-directed learning, and tested the impact path among those variables based on empirical data.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19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city and Gyeong-gi province and two times of data screening process were performed and finally 416 subjects were used in study analysi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consisted of 193 male students and 223 female students; 206 middle school students and 210 high school students. By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relationship and influence between major variables were tested. To be more specific, the direct influence, mediating effect and difference among autonomy support, competence, achievement goal and self-directed learning were analyzed with the difference between groups.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all the paths of the study model had significant direct/indirect effects on self-directed learning except the direct paths between autonomy support and self-directed learning. Although autonomy support had no direct effects on self-directed learning, it had indirect effects with the mediation of competence and achievement goal. In addition, competence had effects on self-directed learning via achievement goal. Gender had no effects on the difference between groups. The influential variables of self-directed learning presente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iddle school students and high school students. While middle school student's competence played a more important role in self-directed learning, in the case of high school students, achievement goal played it in self-directed learning. Furthermore, regardless of gender competence and achievement goal contributed to self-directed learning. This study found out that youth's competence and achievement goal played an important role in self-directed learning as a motivating factor and in order for youths to perceive competence and have an achievement goal, environment of autonomy support must be established in advance. Moreover when supporting autonomy, parents and teachers should create such environment with which middle school students can perceive competence and high school students can have an achievement goal.
This study was initiated with the awareness of problems on existing studies which regards self-directed learning as only improving achievement in learning and on fields of school education that approaches by only short-term training programs. Not only schools but also the society as a whole feels the need and importance of self-directed learning and have great interest in it but self-directed learning has not been well adopted in the field. In this regards, this study searched for the alternatives which increased or developed the ability of self-directed learning in daily life. In order to improve self-directed learning learner's subjectivity should be considered at first and therefore this study was held to examine the effects of adolescents' motivation factors and the environment of autonomy support. Specifically, this study was comprehensively tested to examine the autonomy support of parents and teachers and youth's competence, achievement goal and self-directed learning, and tested the impact path among those variables based on empirical data.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19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city and Gyeong-gi province and two times of data screening process were performed and finally 416 subjects were used in study analysi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consisted of 193 male students and 223 female students; 206 middle school students and 210 high school students. By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relationship and influence between major variables were tested. To be more specific, the direct influence, mediating effect and difference among autonomy support, competence, achievement goal and self-directed learning were analyzed with the difference between groups.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all the paths of the study model had significant direct/indirect effects on self-directed learning except the direct paths between autonomy support and self-directed learning. Although autonomy support had no direct effects on self-directed learning, it had indirect effects with the mediation of competence and achievement goal. In addition, competence had effects on self-directed learning via achievement goal. Gender had no effects on the difference between groups. The influential variables of self-directed learning presente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iddle school students and high school students. While middle school student's competence played a more important role in self-directed learning, in the case of high school students, achievement goal played it in self-directed learning. Furthermore, regardless of gender competence and achievement goal contributed to self-directed learning. This study found out that youth's competence and achievement goal played an important role in self-directed learning as a motivating factor and in order for youths to perceive competence and have an achievement goal, environment of autonomy support must be established in advance. Moreover when supporting autonomy, parents and teachers should create such environment with which middle school students can perceive competence and high school students can have an achievement goal.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