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만 2세 영아를 위한 숲 체험 교육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및 요구의 차이가 어떠한지, 알아보고 만 2세 영아의 숲 체험 교육을 더욱 정착하고 안정적으로 활성화 시키는데 적용 · 반영하는데 정보를 제공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다음과 같이 다음과 같이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만 2세 영아를 위한 숲 체험 교육에 대한 학부모와 교사의 인식 차이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2. 만 2세 영아를 위한 숲 체험 교육에 대한 학부모와 교사의 요구 차이는 어떠한가? 본 연구를 위하여 경기도 안양시에 소재하고 있는 어린이집에 재원중인 어린이집 대상으로 2015년 6월 3일부터 숲 체험 교육과 관련한 선행연구 중 생태유아교육 관련 선행연구(박귀자, 2008; 권성현, 2006; 정소희, 2010)와 숲 유치원 선행연구(송주은, 2011; 이용수, 2013)에 사용한 질문지를 토대로 수정 · 보완하여 학부모 250부, 교사 170부 총420부를 배부 하였으며 ,2015년 9월 20일 까지 최종적으로 학부모 202부, 교사 152부를 분석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의 결과에 대한 요약은 다음과 같다. 만 2세 영아를 위한 숲 체험 교육에 대한 학부모는 대중매체를 통해 인지하였고, 교육이나 연수를 통해 습득하여 교육 현장에 노출 되어 있는 교사가 더 많이 알고 있음으로 나타났다. 만2세 영아의 숲 체험 교육시기로 학부모와 교사가 모두 만 3세 이전에 시작하는 것이 적절 하다는 것으로 보아 학부모 및 교사는 만 2세가 아직 이르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숲 체험 교육에 필요한 장소 및 여건조성에 대해 학부모 교사가 거의 준비되고 있지 않다고 인식 하였으며, 만2세 영아 숲 체험교육 기관에 자녀를 보낼 의향이 높았으며, 교사 역시 근무희망이 높았다. 숲 체험 교육을 운영하기 위한 필요한 지원 사항에 학부모는 국가적 지원의 필요성, 교사는 연수의 필요성에 대한 많은 인식을 보여 학부모와 교사의 인식에 있어서 대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아 숲 체험 교육이 영아의 교육적 측면의 효과 수준에서 학부모와 교사 모두 영아의 감성 향상에 효과적인 도움이 된다고 인식하였으며, 숲 체험 교육에 대한 교육적 효과 내용에 대한 학부모와 교사의 인식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는데, 영아의 문제해결 능력 향상에는 학부모가 교사에 비해 더욱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는 반응을 보였고, 숲 체험 운영 관련 인식으로 숲 체험 교육을 위한 숲을 선정할 때 가장 중요한 요소로 학부모와 교사 모두 안전성을 가장 중요한 요소로 생각하고 있었으나 학부모가 교사에 비해 더욱 중요하게 여기고 있었다. 숲 체험 교육의 적합한 장소는 학부모는 ...
본 연구는 만 2세 영아를 위한 숲 체험 교육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및 요구의 차이가 어떠한지, 알아보고 만 2세 영아의 숲 체험 교육을 더욱 정착하고 안정적으로 활성화 시키는데 적용 · 반영하는데 정보를 제공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다음과 같이 다음과 같이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만 2세 영아를 위한 숲 체험 교육에 대한 학부모와 교사의 인식 차이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2. 만 2세 영아를 위한 숲 체험 교육에 대한 학부모와 교사의 요구 차이는 어떠한가? 본 연구를 위하여 경기도 안양시에 소재하고 있는 어린이집에 재원중인 어린이집 대상으로 2015년 6월 3일부터 숲 체험 교육과 관련한 선행연구 중 생태유아교육 관련 선행연구(박귀자, 2008; 권성현, 2006; 정소희, 2010)와 숲 유치원 선행연구(송주은, 2011; 이용수, 2013)에 사용한 질문지를 토대로 수정 · 보완하여 학부모 250부, 교사 170부 총420부를 배부 하였으며 ,2015년 9월 20일 까지 최종적으로 학부모 202부, 교사 152부를 분석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의 결과에 대한 요약은 다음과 같다. 만 2세 영아를 위한 숲 체험 교육에 대한 학부모는 대중매체를 통해 인지하였고, 교육이나 연수를 통해 습득하여 교육 현장에 노출 되어 있는 교사가 더 많이 알고 있음으로 나타났다. 만2세 영아의 숲 체험 교육시기로 학부모와 교사가 모두 만 3세 이전에 시작하는 것이 적절 하다는 것으로 보아 학부모 및 교사는 만 2세가 아직 이르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숲 체험 교육에 필요한 장소 및 여건조성에 대해 학부모 교사가 거의 준비되고 있지 않다고 인식 하였으며, 만2세 영아 숲 체험교육 기관에 자녀를 보낼 의향이 높았으며, 교사 역시 근무희망이 높았다. 숲 체험 교육을 운영하기 위한 필요한 지원 사항에 학부모는 국가적 지원의 필요성, 교사는 연수의 필요성에 대한 많은 인식을 보여 학부모와 교사의 인식에 있어서 대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아 숲 체험 교육이 영아의 교육적 측면의 효과 수준에서 학부모와 교사 모두 영아의 감성 향상에 효과적인 도움이 된다고 인식하였으며, 숲 체험 교육에 대한 교육적 효과 내용에 대한 학부모와 교사의 인식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는데, 영아의 문제해결 능력 향상에는 학부모가 교사에 비해 더욱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는 반응을 보였고, 숲 체험 운영 관련 인식으로 숲 체험 교육을 위한 숲을 선정할 때 가장 중요한 요소로 학부모와 교사 모두 안전성을 가장 중요한 요소로 생각하고 있었으나 학부모가 교사에 비해 더욱 중요하게 여기고 있었다. 숲 체험 교육의 적합한 장소는 학부모는 국유림 및 공유림이, 교사는 도시나 근교에 만든 도시공원 숲이 적절하다는 인식이지만, 학부모와 교사의 인식에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만 2세 영아들이 숲에 가는 적절한 교육 횟수에 대해서는, 주 1회 정도가 적절하다는 학부모와 교사의 인식이 비슷하였다. 만 2세 영아들의 하루 평균 적절한 숲 체험 교육 시간은, 학부모는 1~2 시간미만이, 교사는 1시간 이내로 인식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숲 체험 교육 운영 방법에서, 학부모와 교사 모두 숲 체험 활동과 어린이집 활동을 통합 연계한 생활형 숲 운영기관이 적절하다는 인식에 차이를 나타나지 않았으며 특별활동으로 진행되는 정기 체험 형 숲 운영기관이 적절하다는 응답 또한 학부모와 교사의 인식에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숲 체험 교육 시 교사 1인당 학생 비율에 대해서는 학부모가 교사에 비해 교사 1인당 적은 학생비율로 교육하기를 많이 희망하고 있음으로 나타났다. 숲 체험 교육 담당에서 학부모와 교사의 인식은 교사와 숲 해설가가 상호 협력하여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하여 인식이 차이가 없었다. 숲 체험 교육 진행시 학부모와 교사 대부분이 교사는 영아의 안전과 보조적인 역할만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인식하고 있었고, 숲 체험 교육 장소까지의 이동 방법 및 시간에 대한 학부모는 체육복을 착용하고 10분이내의 통학버스로 의 이동, 교사는 체육복을 착용하고 도보로 10분이내의 이동거리가 좋다는 인식을 하여서 이동방법의 방법을 제외하곤 학부모 및 교사의 인식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현장에서의 교구는 자연물을 이용해 교사가 제작하는 것이 좋다는 것으로 나타나 학부모와 교사의 인식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숲 체험 교육 시 점심식사 방법에 있어서 학부모와 교사는 숲 체험 교육 끝난 후 교육기관에 가서 먹는 것이 좋다는 응답이 많았으나 교사는 각자 가져간 점심을 먹는다. 라는 인식도 31.7%가 되어 교사와 학부모의 숲 체험 교육 시 점심식사 방법에 대한 인식에 약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숲 체험 교육 필요한 교육 활동 내용에 나무, 돌, 흙 등과 직접적인 접촉 활동의 필요성에 대한 반응이 학부모와 교사 모두 가장 높았고, 학부모의 숲 체험 교육 관련 부모 교육내용으로 숲 체험 활동에 대한 이해와 필요성 내용의 교육이, 교사는 영아 대상의 숲 체험 교육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궁금해서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만 2세 영아의 숲 체험 교육 실천 시 가장 기본적인 조건에 학부모 및 교사는 숲 활동 공간의 확보가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어서 인식에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부모와 교사가 생각하는 만 2세 영아의 숲 체험 교육의 현장 적용 시 문제점에 대한 인식에서 학부모와 교사 모두 숲 체험 교육의 현장 적용 시 영아의 안전 문제가 걱정된다는 인식은 같으나 교사는 상대적으로 새로운 교육적인 시도에 대한 심리적 부담감이나 현행 교육과정과 불일치 등의 문제점을 학부모에 비해 많이 걱정하는 것으로 학부모와 교사의 숲 체험 교육의 현장 적용 시 문제점에 대한 인식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는 만 2세 영아를 위한 숲 체험 교육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및 요구의 차이가 어떠한지, 알아보고 만 2세 영아의 숲 체험 교육을 더욱 정착하고 안정적으로 활성화 시키는데 적용 · 반영하는데 정보를 제공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다음과 같이 다음과 같이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만 2세 영아를 위한 숲 체험 교육에 대한 학부모와 교사의 인식 차이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2. 만 2세 영아를 위한 숲 체험 교육에 대한 학부모와 교사의 요구 차이는 어떠한가? 본 연구를 위하여 경기도 안양시에 소재하고 있는 어린이집에 재원중인 어린이집 대상으로 2015년 6월 3일부터 숲 체험 교육과 관련한 선행연구 중 생태유아교육 관련 선행연구(박귀자, 2008; 권성현, 2006; 정소희, 2010)와 숲 유치원 선행연구(송주은, 2011; 이용수, 2013)에 사용한 질문지를 토대로 수정 · 보완하여 학부모 250부, 교사 170부 총420부를 배부 하였으며 ,2015년 9월 20일 까지 최종적으로 학부모 202부, 교사 152부를 분석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의 결과에 대한 요약은 다음과 같다. 만 2세 영아를 위한 숲 체험 교육에 대한 학부모는 대중매체를 통해 인지하였고, 교육이나 연수를 통해 습득하여 교육 현장에 노출 되어 있는 교사가 더 많이 알고 있음으로 나타났다. 만2세 영아의 숲 체험 교육시기로 학부모와 교사가 모두 만 3세 이전에 시작하는 것이 적절 하다는 것으로 보아 학부모 및 교사는 만 2세가 아직 이르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숲 체험 교육에 필요한 장소 및 여건조성에 대해 학부모 교사가 거의 준비되고 있지 않다고 인식 하였으며, 만2세 영아 숲 체험교육 기관에 자녀를 보낼 의향이 높았으며, 교사 역시 근무희망이 높았다. 숲 체험 교육을 운영하기 위한 필요한 지원 사항에 학부모는 국가적 지원의 필요성, 교사는 연수의 필요성에 대한 많은 인식을 보여 학부모와 교사의 인식에 있어서 대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아 숲 체험 교육이 영아의 교육적 측면의 효과 수준에서 학부모와 교사 모두 영아의 감성 향상에 효과적인 도움이 된다고 인식하였으며, 숲 체험 교육에 대한 교육적 효과 내용에 대한 학부모와 교사의 인식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는데, 영아의 문제해결 능력 향상에는 학부모가 교사에 비해 더욱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는 반응을 보였고, 숲 체험 운영 관련 인식으로 숲 체험 교육을 위한 숲을 선정할 때 가장 중요한 요소로 학부모와 교사 모두 안전성을 가장 중요한 요소로 생각하고 있었으나 학부모가 교사에 비해 더욱 중요하게 여기고 있었다. 숲 체험 교육의 적합한 장소는 학부모는 국유림 및 공유림이, 교사는 도시나 근교에 만든 도시공원 숲이 적절하다는 인식이지만, 학부모와 교사의 인식에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만 2세 영아들이 숲에 가는 적절한 교육 횟수에 대해서는, 주 1회 정도가 적절하다는 학부모와 교사의 인식이 비슷하였다. 만 2세 영아들의 하루 평균 적절한 숲 체험 교육 시간은, 학부모는 1~2 시간미만이, 교사는 1시간 이내로 인식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숲 체험 교육 운영 방법에서, 학부모와 교사 모두 숲 체험 활동과 어린이집 활동을 통합 연계한 생활형 숲 운영기관이 적절하다는 인식에 차이를 나타나지 않았으며 특별활동으로 진행되는 정기 체험 형 숲 운영기관이 적절하다는 응답 또한 학부모와 교사의 인식에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숲 체험 교육 시 교사 1인당 학생 비율에 대해서는 학부모가 교사에 비해 교사 1인당 적은 학생비율로 교육하기를 많이 희망하고 있음으로 나타났다. 숲 체험 교육 담당에서 학부모와 교사의 인식은 교사와 숲 해설가가 상호 협력하여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하여 인식이 차이가 없었다. 숲 체험 교육 진행시 학부모와 교사 대부분이 교사는 영아의 안전과 보조적인 역할만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인식하고 있었고, 숲 체험 교육 장소까지의 이동 방법 및 시간에 대한 학부모는 체육복을 착용하고 10분이내의 통학버스로 의 이동, 교사는 체육복을 착용하고 도보로 10분이내의 이동거리가 좋다는 인식을 하여서 이동방법의 방법을 제외하곤 학부모 및 교사의 인식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현장에서의 교구는 자연물을 이용해 교사가 제작하는 것이 좋다는 것으로 나타나 학부모와 교사의 인식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숲 체험 교육 시 점심식사 방법에 있어서 학부모와 교사는 숲 체험 교육 끝난 후 교육기관에 가서 먹는 것이 좋다는 응답이 많았으나 교사는 각자 가져간 점심을 먹는다. 라는 인식도 31.7%가 되어 교사와 학부모의 숲 체험 교육 시 점심식사 방법에 대한 인식에 약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숲 체험 교육 필요한 교육 활동 내용에 나무, 돌, 흙 등과 직접적인 접촉 활동의 필요성에 대한 반응이 학부모와 교사 모두 가장 높았고, 학부모의 숲 체험 교육 관련 부모 교육내용으로 숲 체험 활동에 대한 이해와 필요성 내용의 교육이, 교사는 영아 대상의 숲 체험 교육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궁금해서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만 2세 영아의 숲 체험 교육 실천 시 가장 기본적인 조건에 학부모 및 교사는 숲 활동 공간의 확보가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어서 인식에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부모와 교사가 생각하는 만 2세 영아의 숲 체험 교육의 현장 적용 시 문제점에 대한 인식에서 학부모와 교사 모두 숲 체험 교육의 현장 적용 시 영아의 안전 문제가 걱정된다는 인식은 같으나 교사는 상대적으로 새로운 교육적인 시도에 대한 심리적 부담감이나 현행 교육과정과 불일치 등의 문제점을 학부모에 비해 많이 걱정하는 것으로 학부모와 교사의 숲 체험 교육의 현장 적용 시 문제점에 대한 인식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This study aims at finding out the differences among the perceptions and demands of the infants 2 years old and providing information to apply and reflect in fixing and invigorating the forest experience education of infants 2 years old in a stable manner. For this, it has set the research issues as...
This study aims at finding out the differences among the perceptions and demands of the infants 2 years old and providing information to apply and reflect in fixing and invigorating the forest experience education of infants 2 years old in a stable manner. For this, it has set the research issues as follows. Issue 1. What is the differences of perceptions between the parents and tutors as to the forest experience education for 2 years old infants? Issue 2. What is the differences of demands between the parents and tutors as to the forest experience education for 2 years old infants? For this research, the survey was corrected, supplemented on the basis of survey sheets used in ecological early childhood education-related precedent research (Park Gui Ja, 2008; Kwon Seong Hyeon, 2006; Jeong So Hee, 2010) and the forest kindergarten precedent research (Song Joo Eun, 2011; Lee Yong Soo, 2013) out of the precedent researches related to the forest experience education from June 3, 2015, targeting the day-care centers located in Anyang city, Gyeonggi-do Province, distributing 250 sheets to their parents and 170 sheets to tutors, 420 sheets in total, and 202 sheets to the parents and 152 sheets to the tutors at last. Summary as to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ccordingly is as follows. As for forest experience education for 2 years old infants, their parents perceived through mass media, and acquired through the education or training, which shows that tutors exposed to the education field know about it all the more. We saw that it is appropriate for the parents and tutors start before 3 years old as the period when the infants are educated with forest education, showing that the parents and tutors are perceiving that 2 years old is premature, yet. The parents and tutors perceived that they are almost not prepared yet as to the places and creation of conditions necessary for forest experience education. They were highly inclined to send their children to the institute related to their education, and the tutors also had great wish for working therein. The parents and tutors perceived that the forest experience education for infants offers help effectively for the improvement of infant sentiment, and they display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parents and teachers as to educational effects on forest experience education. For the improvement of infants’ problem solving ability, they showed response that the parents will be of more help than the tutors, and as for the most important factor during the forest experience education, the parents and teachers considered safety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and the parents deemed it more important than the tutors.
This study aims at finding out the differences among the perceptions and demands of the infants 2 years old and providing information to apply and reflect in fixing and invigorating the forest experience education of infants 2 years old in a stable manner. For this, it has set the research issues as follows. Issue 1. What is the differences of perceptions between the parents and tutors as to the forest experience education for 2 years old infants? Issue 2. What is the differences of demands between the parents and tutors as to the forest experience education for 2 years old infants? For this research, the survey was corrected, supplemented on the basis of survey sheets used in ecological early childhood education-related precedent research (Park Gui Ja, 2008; Kwon Seong Hyeon, 2006; Jeong So Hee, 2010) and the forest kindergarten precedent research (Song Joo Eun, 2011; Lee Yong Soo, 2013) out of the precedent researches related to the forest experience education from June 3, 2015, targeting the day-care centers located in Anyang city, Gyeonggi-do Province, distributing 250 sheets to their parents and 170 sheets to tutors, 420 sheets in total, and 202 sheets to the parents and 152 sheets to the tutors at last. Summary as to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ccordingly is as follows. As for forest experience education for 2 years old infants, their parents perceived through mass media, and acquired through the education or training, which shows that tutors exposed to the education field know about it all the more. We saw that it is appropriate for the parents and tutors start before 3 years old as the period when the infants are educated with forest education, showing that the parents and tutors are perceiving that 2 years old is premature, yet. The parents and tutors perceived that they are almost not prepared yet as to the places and creation of conditions necessary for forest experience education. They were highly inclined to send their children to the institute related to their education, and the tutors also had great wish for working therein. The parents and tutors perceived that the forest experience education for infants offers help effectively for the improvement of infant sentiment, and they display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parents and teachers as to educational effects on forest experience education. For the improvement of infants’ problem solving ability, they showed response that the parents will be of more help than the tutors, and as for the most important factor during the forest experience education, the parents and teachers considered safety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and the parents deemed it more important than the tutors.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