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고령화 인구의 급격한 증가에 따라 많은 노인문제가 발생하고 있으며 노인의 자살률 또한 높아지고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OECD국가 가운데 가장 높은 노인 자살률을 기록하고 있으며 노인 자살은 우리 사회가 해결해야 할 큰 문제임에 틀림없다. 이러한 노인 자살의 원인으로는 노화에서 오는 각종 질병, 역할과 능력의 상실, 경제적 어려움에서 오는 심리적인 스트레스 등이 있으며 그 중에서 가장 큰 요인은 외로움에 따른 우울감이라고 통계청은 언급하였다. 가족과 사회에서 점점 분리되어 상실감과 외로움, 우울감을 겪고 있는 노인에 대하여 경제적, 물질적인 지원뿐만 아니라 정서적인 부분의 지원이 시급하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우울 노인을 대상으로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원예치료 프로그램이 노인의 우울감과 원예활동 태도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원예치료 프로그램은 2015년 04월13일부터 2015년 05월 28일까지 주2회씩 총 12회기, 이후 사후모임 1회기를 합하여 총 13회기로 구성되었고, 우울감을 가진 노인 6명을 실험군으로 구성하여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우울 노인에게 효율적인 치료가 되도록 사전에 복지관의 담당자들과 회의를 통해 12회기의 치료프로그램을 기획하였고, “마음정원-나도 꽃”이라는 집단명을 기획하여 외부적으로 자신을 드러내고 싶지 않은 우울 노인의 집단치료 접근을 용이하도록 하였다. 특히 우울 노인들이 프로그램에 참여하면서 “나도 꽃” 이란 단어를 스스로 빈번하게 말하게 함으로써 자신을 존중하고 인정하며 생활의 즐거움을 찾을 수 있는 긍정적인 정서를 유발하도록 실행하였다. 본 연구의 평가도구는 SGDS-K로 원예치료 프로그램 실험 전과 후의 우울감을 측정하여 평가하였고, 매 회기 마다 프로그램 전 과정을 관찰하고 이를 풀레코딩을 한 뒤, 자료를 전문가 3인이 사후 검토하여 원예활동 평가표에 우울 노인의 원예활동 태도변화를 평가하였다. 또한, 원예활동을 마친 후 사후모임을 통하여 노인들의 우울감과 생활태도의 변화에 미친 원예치료의 긍정적인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실험군의 우울감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사전, 사후평가를 통하여 집단전체의 유의미한 변화를 산출하고 개별적 평가의 평균값을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측정자료 분석은 ...
최근 고령화 인구의 급격한 증가에 따라 많은 노인문제가 발생하고 있으며 노인의 자살률 또한 높아지고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OECD국가 가운데 가장 높은 노인 자살률을 기록하고 있으며 노인 자살은 우리 사회가 해결해야 할 큰 문제임에 틀림없다. 이러한 노인 자살의 원인으로는 노화에서 오는 각종 질병, 역할과 능력의 상실, 경제적 어려움에서 오는 심리적인 스트레스 등이 있으며 그 중에서 가장 큰 요인은 외로움에 따른 우울감이라고 통계청은 언급하였다. 가족과 사회에서 점점 분리되어 상실감과 외로움, 우울감을 겪고 있는 노인에 대하여 경제적, 물질적인 지원뿐만 아니라 정서적인 부분의 지원이 시급하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우울 노인을 대상으로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원예치료 프로그램이 노인의 우울감과 원예활동 태도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원예치료 프로그램은 2015년 04월13일부터 2015년 05월 28일까지 주2회씩 총 12회기, 이후 사후모임 1회기를 합하여 총 13회기로 구성되었고, 우울감을 가진 노인 6명을 실험군으로 구성하여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우울 노인에게 효율적인 치료가 되도록 사전에 복지관의 담당자들과 회의를 통해 12회기의 치료프로그램을 기획하였고, “마음정원-나도 꽃”이라는 집단명을 기획하여 외부적으로 자신을 드러내고 싶지 않은 우울 노인의 집단치료 접근을 용이하도록 하였다. 특히 우울 노인들이 프로그램에 참여하면서 “나도 꽃” 이란 단어를 스스로 빈번하게 말하게 함으로써 자신을 존중하고 인정하며 생활의 즐거움을 찾을 수 있는 긍정적인 정서를 유발하도록 실행하였다. 본 연구의 평가도구는 SGDS-K로 원예치료 프로그램 실험 전과 후의 우울감을 측정하여 평가하였고, 매 회기 마다 프로그램 전 과정을 관찰하고 이를 풀레코딩을 한 뒤, 자료를 전문가 3인이 사후 검토하여 원예활동 평가표에 우울 노인의 원예활동 태도변화를 평가하였다. 또한, 원예활동을 마친 후 사후모임을 통하여 노인들의 우울감과 생활태도의 변화에 미친 원예치료의 긍정적인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실험군의 우울감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사전, 사후평가를 통하여 집단전체의 유의미한 변화를 산출하고 개별적 평가의 평균값을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측정자료 분석은 SPSS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 22.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평균과 표준 편차, 유의 수준 등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실험군의 우울감 지수 평균을 보면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실시 전에 7.83점, 실시 후에 4.83점이며 유의수준은 0.034로 실험 전체집단의 우울감 감소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원예활동 평가표는 Oaeas(1961)가 작업치료에서 집단 활동 시 대상자의 참여도와 작업태도 흥미 등을 알아보기 위해 9개 문항으로 구성하여 만든 것을 원용한 것으로 그 점수가 높을수록 원예활동의 태도가 바람직한 것을 의미한다. 참여성과 관심, 조력성의 최고점수는 3점, 나머지 7항목의 최고 점수는 4점으로 평가 점수의 도출이 구분되어 있다. 실험 결과 실험군의 전, 후반 원예활동 평가표의 평균값의 차이는 참여성 0.53, 관심 및 조력성0.60, 언어소통능력 1.10, 자아개념 및 주체성1.08, 욕구-충동적 적응력1.18, 대인관계 능력1.50, 인지 및 문제 해결 능력1.13, 운동지각 능력0.97, 숙련도와 작업 적응력0.82점으로 원예활동 평가의 9개 항목 모든 부분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최근 고령화 인구의 급격한 증가에 따라 많은 노인문제가 발생하고 있으며 노인의 자살률 또한 높아지고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OECD국가 가운데 가장 높은 노인 자살률을 기록하고 있으며 노인 자살은 우리 사회가 해결해야 할 큰 문제임에 틀림없다. 이러한 노인 자살의 원인으로는 노화에서 오는 각종 질병, 역할과 능력의 상실, 경제적 어려움에서 오는 심리적인 스트레스 등이 있으며 그 중에서 가장 큰 요인은 외로움에 따른 우울감이라고 통계청은 언급하였다. 가족과 사회에서 점점 분리되어 상실감과 외로움, 우울감을 겪고 있는 노인에 대하여 경제적, 물질적인 지원뿐만 아니라 정서적인 부분의 지원이 시급하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우울 노인을 대상으로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원예치료 프로그램이 노인의 우울감과 원예활동 태도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원예치료 프로그램은 2015년 04월13일부터 2015년 05월 28일까지 주2회씩 총 12회기, 이후 사후모임 1회기를 합하여 총 13회기로 구성되었고, 우울감을 가진 노인 6명을 실험군으로 구성하여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우울 노인에게 효율적인 치료가 되도록 사전에 복지관의 담당자들과 회의를 통해 12회기의 치료프로그램을 기획하였고, “마음정원-나도 꽃”이라는 집단명을 기획하여 외부적으로 자신을 드러내고 싶지 않은 우울 노인의 집단치료 접근을 용이하도록 하였다. 특히 우울 노인들이 프로그램에 참여하면서 “나도 꽃” 이란 단어를 스스로 빈번하게 말하게 함으로써 자신을 존중하고 인정하며 생활의 즐거움을 찾을 수 있는 긍정적인 정서를 유발하도록 실행하였다. 본 연구의 평가도구는 SGDS-K로 원예치료 프로그램 실험 전과 후의 우울감을 측정하여 평가하였고, 매 회기 마다 프로그램 전 과정을 관찰하고 이를 풀레코딩을 한 뒤, 자료를 전문가 3인이 사후 검토하여 원예활동 평가표에 우울 노인의 원예활동 태도변화를 평가하였다. 또한, 원예활동을 마친 후 사후모임을 통하여 노인들의 우울감과 생활태도의 변화에 미친 원예치료의 긍정적인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실험군의 우울감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사전, 사후평가를 통하여 집단전체의 유의미한 변화를 산출하고 개별적 평가의 평균값을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측정자료 분석은 SPSS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 22.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평균과 표준 편차, 유의 수준 등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실험군의 우울감 지수 평균을 보면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실시 전에 7.83점, 실시 후에 4.83점이며 유의수준은 0.034로 실험 전체집단의 우울감 감소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원예활동 평가표는 Oaeas(1961)가 작업치료에서 집단 활동 시 대상자의 참여도와 작업태도 흥미 등을 알아보기 위해 9개 문항으로 구성하여 만든 것을 원용한 것으로 그 점수가 높을수록 원예활동의 태도가 바람직한 것을 의미한다. 참여성과 관심, 조력성의 최고점수는 3점, 나머지 7항목의 최고 점수는 4점으로 평가 점수의 도출이 구분되어 있다. 실험 결과 실험군의 전, 후반 원예활동 평가표의 평균값의 차이는 참여성 0.53, 관심 및 조력성0.60, 언어소통능력 1.10, 자아개념 및 주체성1.08, 욕구-충동적 적응력1.18, 대인관계 능력1.50, 인지 및 문제 해결 능력1.13, 운동지각 능력0.97, 숙련도와 작업 적응력0.82점으로 원예활동 평가의 9개 항목 모든 부분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Recently, it is reported that there are many problems of the elderly due to rapid increase in the aging population and the suicide rate of the elderly is also higher. Korea has recorded the highest elderly suicide rate among OECD countries. Therefore the elderly suicide is no doubt one of the most i...
Recently, it is reported that there are many problems of the elderly due to rapid increase in the aging population and the suicide rate of the elderly is also higher. Korea has recorded the highest elderly suicide rate among OECD countries. Therefore the elderly suicide is no doubt one of the most important problems to resolve in our society. National Statistical Office (NSO) mentioned that the causes of elderly suicide were various diseases coming from aging, the loss of role, power and psychological stress from financial difficulties etc. They say the biggest among them is the depression due to loneliness. The emotional part support as well as economical, material support may be urgent for the elderly who are increasingly disconnected from family and society and suffered from loss, loneliness and depression. Hereupon, I investigate the effect of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on depression of the elderly by applying program to the depressed elderly. This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consists of total 13 sessions including 12 regular sessions which had been processed two times per week from Apr 1 2015 to May 20 2015 and 1 wrap up session. 6 depressed elderly were set to single target group and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was conducted. 12 sessions were programmed by preliminary meeting with managers of center to treat depressed elderly efficiently. The title, “Hearts Garden – I am flower too”, was named to let depressed elderly who don’t want to disclose themselves outside attend the program easily. Especially, depressed elderly respect, acknowledge themselves and are induced positive emotions to find joy of life by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and frequently saying “I am flower too”. SGDS-K was used as assessment tool for depression. It was measured and evaluated twice, before and after program. Every session was monitored, recorded and post reviewed by 3 experts to measure the attitude change of elderly based on Evaluation of Horticultural Activities. In addition, the positive impact of the horticultural therapy on elderly depression and a change in the attitudes was examined throughout the post-meeting after completing the program. To examine the difference of depression in experimental group, significant changes in the whole group was calculated and the individual average of data was compared. SPSS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 22.0 program was run to calculate Mean, SD and level of significant. Before the program, the average of depression index of experimental group was 7.33 but it was changed to 4.83 after program. The level of significant was 0.034 which means the depression in experimental group statistically decreases. “Evaluation of Horticultural Activities” which Oaeas(1961) configure 9 questions to determine experimental group's participation, work attitude, and interest etc. was quoted. A higher score means the attitude of horticultural activities is desirable. The highest score of "Participation" and "Interest and assistant" is 3. The highest score of remaining 7 questions is 4. The average value of first half and last half sessions shows that all 9 questions were statistically increased. The differences of average are 0.53 for Participation, 0.60 for Interest and assistant, 1.10 for Verbal interaction during activity, 1.08 for Self-concept and identify, 1.18 for Need-drive adaption, 1.50 for Interpersonal and social relations, 1.13 for Cognition and problem solving, 0.97 for Exercise perceptive, and 0.82 for Life-tasks skill and vocational adjustment.
Recently, it is reported that there are many problems of the elderly due to rapid increase in the aging population and the suicide rate of the elderly is also higher. Korea has recorded the highest elderly suicide rate among OECD countries. Therefore the elderly suicide is no doubt one of the most important problems to resolve in our society. National Statistical Office (NSO) mentioned that the causes of elderly suicide were various diseases coming from aging, the loss of role, power and psychological stress from financial difficulties etc. They say the biggest among them is the depression due to loneliness. The emotional part support as well as economical, material support may be urgent for the elderly who are increasingly disconnected from family and society and suffered from loss, loneliness and depression. Hereupon, I investigate the effect of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on depression of the elderly by applying program to the depressed elderly. This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consists of total 13 sessions including 12 regular sessions which had been processed two times per week from Apr 1 2015 to May 20 2015 and 1 wrap up session. 6 depressed elderly were set to single target group and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was conducted. 12 sessions were programmed by preliminary meeting with managers of center to treat depressed elderly efficiently. The title, “Hearts Garden – I am flower too”, was named to let depressed elderly who don’t want to disclose themselves outside attend the program easily. Especially, depressed elderly respect, acknowledge themselves and are induced positive emotions to find joy of life by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and frequently saying “I am flower too”. SGDS-K was used as assessment tool for depression. It was measured and evaluated twice, before and after program. Every session was monitored, recorded and post reviewed by 3 experts to measure the attitude change of elderly based on Evaluation of Horticultural Activities. In addition, the positive impact of the horticultural therapy on elderly depression and a change in the attitudes was examined throughout the post-meeting after completing the program. To examine the difference of depression in experimental group, significant changes in the whole group was calculated and the individual average of data was compared. SPSS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 22.0 program was run to calculate Mean, SD and level of significant. Before the program, the average of depression index of experimental group was 7.33 but it was changed to 4.83 after program. The level of significant was 0.034 which means the depression in experimental group statistically decreases. “Evaluation of Horticultural Activities” which Oaeas(1961) configure 9 questions to determine experimental group's participation, work attitude, and interest etc. was quoted. A higher score means the attitude of horticultural activities is desirable. The highest score of "Participation" and "Interest and assistant" is 3. The highest score of remaining 7 questions is 4. The average value of first half and last half sessions shows that all 9 questions were statistically increased. The differences of average are 0.53 for Participation, 0.60 for Interest and assistant, 1.10 for Verbal interaction during activity, 1.08 for Self-concept and identify, 1.18 for Need-drive adaption, 1.50 for Interpersonal and social relations, 1.13 for Cognition and problem solving, 0.97 for Exercise perceptive, and 0.82 for Life-tasks skill and vocational adjustment.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