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ADHD 아동 및 일반 아동 두 집단을 대상으로 설명글 쓰기를 실시하여 글에 나타난 질적 측면이 집단 간 차이가 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ADHD 아동의 설명글 쓰기에 나타난 질면 측면을 보기 위해 글의 내용, 글의 조직, 글의 표현을 분석하여 ADHD 아동의 글쓰기 능력을 일반아동과 비교했을 때 어떠한 차이가 나타나는지 알아보았다. 대상자는 서울·경기에 거주하며 초등학교 5-6학년에 재학 중인 ADHD 아동 15명과,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일반 아동 15명으로서 총 30명이었다. 두 집단은 웩슬러 지능검사에서 지능이 정상범주에 있으며, 표준화된 언어검사인 REVT 검사 결과 -1SD 이상으로 정상범주에 해당하며, 두 검사의 수행 평균 점수에서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자는 아동에게 자신이 잘 아는 사람, 놀이, 동·식물, 물건 등을 자유롭게 선택하도록 제재를 제시하고 아동으로 하여 친구에게 설명하는 글을 작성하도록 하였다. 수집된 쓰기 샘플은 글의 내용범주에서 객관성, 통일성, 글의 조직범주에서 글의 구조, 내용전개방법, 글의 표현 범주에서 어휘사용 적절성, 문장 정확성을 분석하였다. ADHD 아동과 일반 아동 집단 간의 수행을 비교하기 위해 ...
본 연구는 ADHD 아동 및 일반 아동 두 집단을 대상으로 설명글 쓰기를 실시하여 글에 나타난 질적 측면이 집단 간 차이가 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ADHD 아동의 설명글 쓰기에 나타난 질면 측면을 보기 위해 글의 내용, 글의 조직, 글의 표현을 분석하여 ADHD 아동의 글쓰기 능력을 일반아동과 비교했을 때 어떠한 차이가 나타나는지 알아보았다. 대상자는 서울·경기에 거주하며 초등학교 5-6학년에 재학 중인 ADHD 아동 15명과,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일반 아동 15명으로서 총 30명이었다. 두 집단은 웩슬러 지능검사에서 지능이 정상범주에 있으며, 표준화된 언어검사인 REVT 검사 결과 -1SD 이상으로 정상범주에 해당하며, 두 검사의 수행 평균 점수에서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자는 아동에게 자신이 잘 아는 사람, 놀이, 동·식물, 물건 등을 자유롭게 선택하도록 제재를 제시하고 아동으로 하여 친구에게 설명하는 글을 작성하도록 하였다. 수집된 쓰기 샘플은 글의 내용범주에서 객관성, 통일성, 글의 조직범주에서 글의 구조, 내용전개방법, 글의 표현 범주에서 어휘사용 적절성, 문장 정확성을 분석하였다. ADHD 아동과 일반 아동 집단 간의 수행을 비교하기 위해 t검정을 실시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설명글 쓰기에서 글의 내용적 측면을 분석한 결과 객관성과 통일성에서 ADHD 아동은 일반 아동에 비해 전반적으로 수행이 낮게 나타났으나, 두 집단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설명글 쓰기에서 글의 조직적 측면을 분석한 결과 ADHD 아동은 일반 아동에 비해 글의 구조(처음-가운데-끝), 내용전개방법(ex. 정의, 예시, 비교, 대조 등)을 사용하는데 있어서 낮은 수준을 보였으며, 내용전개방법에서는 두 집단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글의 구조에서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설명글 쓰기에서 글의 표현적 측면을 분석한 결과, ADHD 아동은 일반 아동에 비해 어휘사용 적절성, 문장 정확성에 대한 낮은 수준을 보였으며, 어휘사용 적절성에서는 두 집단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문장 정확성에서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 결과, ADHD 아동들은 설명글의 주제에 맞게 아이디어를 생성하고, 적절한 내용을 구성할 수 있었다. 그러나 그 글에서 문장들을 논리적으로 조직하고 의미를 갖도록 구성하는데 미숙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생각과 글을 동시에 처리하는 표현과정에서 복잡성이 높아지면서 더 많은 구문적 오류가 산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ADHD 아동에게 특징적으로 보이는 실행기능의 결함이 영향을 미친것이라 볼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ADHD 아동의 설명글 쓰기에 나타난 글의 조직과 문장표현 능력이 일반아동과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따라서 학령기 ADHD 아동의 설명글 쓰기 중재를 위해 글의 구조 지식 및 정확한 문장표현을 고려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ADHD 아동 및 일반 아동 두 집단을 대상으로 설명글 쓰기를 실시하여 글에 나타난 질적 측면이 집단 간 차이가 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ADHD 아동의 설명글 쓰기에 나타난 질면 측면을 보기 위해 글의 내용, 글의 조직, 글의 표현을 분석하여 ADHD 아동의 글쓰기 능력을 일반아동과 비교했을 때 어떠한 차이가 나타나는지 알아보았다. 대상자는 서울·경기에 거주하며 초등학교 5-6학년에 재학 중인 ADHD 아동 15명과,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일반 아동 15명으로서 총 30명이었다. 두 집단은 웩슬러 지능검사에서 지능이 정상범주에 있으며, 표준화된 언어검사인 REVT 검사 결과 -1SD 이상으로 정상범주에 해당하며, 두 검사의 수행 평균 점수에서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자는 아동에게 자신이 잘 아는 사람, 놀이, 동·식물, 물건 등을 자유롭게 선택하도록 제재를 제시하고 아동으로 하여 친구에게 설명하는 글을 작성하도록 하였다. 수집된 쓰기 샘플은 글의 내용범주에서 객관성, 통일성, 글의 조직범주에서 글의 구조, 내용전개방법, 글의 표현 범주에서 어휘사용 적절성, 문장 정확성을 분석하였다. ADHD 아동과 일반 아동 집단 간의 수행을 비교하기 위해 t검정을 실시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설명글 쓰기에서 글의 내용적 측면을 분석한 결과 객관성과 통일성에서 ADHD 아동은 일반 아동에 비해 전반적으로 수행이 낮게 나타났으나, 두 집단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설명글 쓰기에서 글의 조직적 측면을 분석한 결과 ADHD 아동은 일반 아동에 비해 글의 구조(처음-가운데-끝), 내용전개방법(ex. 정의, 예시, 비교, 대조 등)을 사용하는데 있어서 낮은 수준을 보였으며, 내용전개방법에서는 두 집단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글의 구조에서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설명글 쓰기에서 글의 표현적 측면을 분석한 결과, ADHD 아동은 일반 아동에 비해 어휘사용 적절성, 문장 정확성에 대한 낮은 수준을 보였으며, 어휘사용 적절성에서는 두 집단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문장 정확성에서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 결과, ADHD 아동들은 설명글의 주제에 맞게 아이디어를 생성하고, 적절한 내용을 구성할 수 있었다. 그러나 그 글에서 문장들을 논리적으로 조직하고 의미를 갖도록 구성하는데 미숙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생각과 글을 동시에 처리하는 표현과정에서 복잡성이 높아지면서 더 많은 구문적 오류가 산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ADHD 아동에게 특징적으로 보이는 실행기능의 결함이 영향을 미친것이라 볼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ADHD 아동의 설명글 쓰기에 나타난 글의 조직과 문장표현 능력이 일반아동과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따라서 학령기 ADHD 아동의 설명글 쓰기 중재를 위해 글의 구조 지식 및 정확한 문장표현을 고려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expository writing between the ADHD children group and the normal children group, in terms of the quality of writing. To identify quality aspects of expository writing by ADHD children, contents, structure and expression of their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expository writing between the ADHD children group and the normal children group, in terms of the quality of writing. To identify quality aspects of expository writing by ADHD children, contents, structure and expression of their writing are analyzed. Then, what difference exists in writing ability between ADHD children and normal children has been examined. The participants consist of total 30 Year 5 and 6 children who live in Seoul and Gyeonggido; 15 ADHD children and 15 normal children who are equivalent to their counterpart in age. Children in both groups has intelligence within a normal range of Wechsler Scale of Intelligence and higher than –1SD of the REVT test, which is a standardized linguistic test.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ean performance score of both tests between two groups. Children were asked to freely choose a familiar person, play, animal, plant and item and write a expository text for their friends. With texts collected from the participants, objectivity and unity with regard to the contents, structure and development with regard to text structure and appropriateness of vocabulary and accuracy of a sentence with regard to expression were analyzed. To examine difference in the mean performance score between two groups, t-test was conducte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objectivity and unity in contents of expository writing are generally low in ADHD children although there i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Second, according to structure of expository writing, ADHD children show low competence in utilizing text structure, development of contents although there i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However,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ext structure between two groups. Third, with regard to expression of expository writing, there are low level of appropriateness of vocabulary use and accuracy of a sentence in ADHD children, compared to normal children.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is found in appropriateness of vocabulary use while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in accuracy of a sentence. According to the findings, ADHD children creates ideas and organize appropriate contents for expository writing. However, it is shown that they are incompetent at logical organization and meaningful configuration of a sentence. In addition, it seems that they make many errors in writing a text when complexity in the expression process that deals with thinking and writing at the same time increases. It is assumed that this results is influenced by deficiency of performance function, which is uniquely found in ADHD children. This study confirms that there is difference in text configuration and expression ability appeared in expository writing between two groups. Therefore, it is implied that an approach that considers knowledge of text structure and accurate expression of text is necessary for intervention of expository writing of ADHD childre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expository writing between the ADHD children group and the normal children group, in terms of the quality of writing. To identify quality aspects of expository writing by ADHD children, contents, structure and expression of their writing are analyzed. Then, what difference exists in writing ability between ADHD children and normal children has been examined. The participants consist of total 30 Year 5 and 6 children who live in Seoul and Gyeonggido; 15 ADHD children and 15 normal children who are equivalent to their counterpart in age. Children in both groups has intelligence within a normal range of Wechsler Scale of Intelligence and higher than –1SD of the REVT test, which is a standardized linguistic test.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ean performance score of both tests between two groups. Children were asked to freely choose a familiar person, play, animal, plant and item and write a expository text for their friends. With texts collected from the participants, objectivity and unity with regard to the contents, structure and development with regard to text structure and appropriateness of vocabulary and accuracy of a sentence with regard to expression were analyzed. To examine difference in the mean performance score between two groups, t-test was conducte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objectivity and unity in contents of expository writing are generally low in ADHD children although there i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Second, according to structure of expository writing, ADHD children show low competence in utilizing text structure, development of contents although there i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However,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ext structure between two groups. Third, with regard to expression of expository writing, there are low level of appropriateness of vocabulary use and accuracy of a sentence in ADHD children, compared to normal children.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is found in appropriateness of vocabulary use while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in accuracy of a sentence. According to the findings, ADHD children creates ideas and organize appropriate contents for expository writing. However, it is shown that they are incompetent at logical organization and meaningful configuration of a sentence. In addition, it seems that they make many errors in writing a text when complexity in the expression process that deals with thinking and writing at the same time increases. It is assumed that this results is influenced by deficiency of performance function, which is uniquely found in ADHD children. This study confirms that there is difference in text configuration and expression ability appeared in expository writing between two groups. Therefore, it is implied that an approach that considers knowledge of text structure and accurate expression of text is necessary for intervention of expository writing of ADHD children.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