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감성지능 계발을 위한 음악수업 지도방안 및 적용 연구 : 2009개정 초등 5학년 음악교과 중심으로 A Study of Musical Methods and Application for Development of the Emotinal Intelligence원문보기
감성 교육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확산되고 보편화되면서 최근 학교를 중심으로 예술 감성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가고 있다. 실제 교육 현장에서는 내면의 감성을 인식하고 표현하고 조절하면서 타인과의 조화로운 관계 형성을 도와주는 정의적 영역에서의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한 현실이다. 또한, 미술과 체험 놀이 중심의 감성지능 적용 연구는 많았으나 현장 적용이 가능한 음악교과의 감성지능 계발에 관한 연구는 찾기가 어려웠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감성지능과 감성지능모델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바탕으로 감성지능을 계발시킬 수 있는 음악수업 프로그램을 구안하고 특히, 가창 및 감상 지도방안을 모색하여 초등학생들의 감성지능 계발 적용 가능성을 분석하는데 있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감성과 감성지능 이론의 개념과 접근방식에 따른 이론을 정리하여 제시하였고, 감성지능의 개념 및 특징, 감성지능모델의 변천과정과 각 구성요소에 관해서 정리하였다. 나아가 최근의 감성지능모델을 토대로 단계별로 적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감성인식 중심 활동, 감성표현 및 활용 중심 활동, 감성이해 및 조절 중심 활동을 구성한 지도활동을 제시하였다. 이를 5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구체적인 교수․학습 과정안과 전략을 마련하여 적용해 봄으로써 실제 현장에서의 감성교육의 효과성이 나타남을 spss(ver. 21.0)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1학기 총 15차시 수업 결과를 1차로 정리하였고 한 달의 휴식기를 거친 후 5차시를 추가한 총 20차시 수업결과를 2차로 정리하였다. 이에 음악 감성지능계발 프로그램의 구안과 적용에 대한 연구의 결과를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감성인식 중심 활동은 1차 분석 결과 실험집단(M=38.41), 통제집단(M=33.9)로 실험집단의 평균이 4.51 높게 나타났다(t=7.323, p<.001). 2차 분석 결과 실험집단(M=34.2), 통제집단(M=33.22)로 실험집단의 평균이 0.98 조금 높게 나타났다(t=1.285, p>.05). 이는 음악수업의 여러 가지 전략들이 효과가 있으나 한 한기 이상의 지속적이 지도가 있어야 효용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감성표현 및 활용 중심 활동은 1차 분석 결과 감성표현 영역인 경우 실험집단(M=27.14), 통제집단(M=24.93)로 실험 집단의 평균이 2.21 높게 나타났다(t=2.433, p<.05). 2차 분석 결과 감성표현 영역인 경우 실험집단(M=26.32), 통제집단(M=26.01)로 실험 집단의 평균이 0.31 조금 높게 나타났다(t=.317, p>.05).이는 감성표현이 긍정적인 효과를 보려면 한 학기 이상의 지속적인 지도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셋째, 감성이해 및 조절 중심 활동은 감성지능의 최상위 단계로서 1차 분석결과 감정이입 영역인 경우 실험집단(M=26.34), 통제집단(M=24.59)로 실험 집단의 평균이 1.75 높게 나타났다(t=2.069, p<.05). 2차 분석결과 감정이입 영역의 경우 실험집단(M=23.68), 통제집단(M=23.9)로 통제집단의 평균이 0.22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t=-.220, p>.05). 감성조절의 영역을 살펴보면, 1차 분석결과 실험집단 (M=60.02), 통제집단(M=56.76)로 실험집단의 평균이 3.26 높게 나타났으며 (t=4.172, p<.001) 2차 분석 결과도 실험집단(M=60.41), 통제집단(M=54.54)로 실험집단의 평균이 5.87 높게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t=3.092, p<.01). 넷째, 감성지능 계발 지도방안을 5학년 실험집단 60명(2개 반), 통제집단 60명(2개 반) 총 120명(4개 반)을 대상으로 15차시를 1학기동안 적용한 결과 1차 사전 사후 검사에서 감성인식(평균 4.51), 감성표현(평균 2.21), 감정이입(평균 1.75), 감성조절(3.26), 전체 영역(평균 11.72)에서 실험집단의 유의미한 효과성이 나타났고 긍정적인 영향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2차 분석결과 감정이입을 제외한 사전 사후 검사에서 감성인식(평균 0.74), 감성표현(평균 0.31), 감성조절(평균 5.87), 전체영역 (평균 6.94)로서 2차 결과도 실험집단의 효과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1차 결과에서만 유의미한 효과성을 보인 감성인식과 감성표현, ...
감성 교육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확산되고 보편화되면서 최근 학교를 중심으로 예술 감성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가고 있다. 실제 교육 현장에서는 내면의 감성을 인식하고 표현하고 조절하면서 타인과의 조화로운 관계 형성을 도와주는 정의적 영역에서의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한 현실이다. 또한, 미술과 체험 놀이 중심의 감성지능 적용 연구는 많았으나 현장 적용이 가능한 음악교과의 감성지능 계발에 관한 연구는 찾기가 어려웠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감성지능과 감성지능모델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바탕으로 감성지능을 계발시킬 수 있는 음악수업 프로그램을 구안하고 특히, 가창 및 감상 지도방안을 모색하여 초등학생들의 감성지능 계발 적용 가능성을 분석하는데 있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감성과 감성지능 이론의 개념과 접근방식에 따른 이론을 정리하여 제시하였고, 감성지능의 개념 및 특징, 감성지능모델의 변천과정과 각 구성요소에 관해서 정리하였다. 나아가 최근의 감성지능모델을 토대로 단계별로 적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감성인식 중심 활동, 감성표현 및 활용 중심 활동, 감성이해 및 조절 중심 활동을 구성한 지도활동을 제시하였다. 이를 5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구체적인 교수․학습 과정안과 전략을 마련하여 적용해 봄으로써 실제 현장에서의 감성교육의 효과성이 나타남을 spss(ver. 21.0)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1학기 총 15차시 수업 결과를 1차로 정리하였고 한 달의 휴식기를 거친 후 5차시를 추가한 총 20차시 수업결과를 2차로 정리하였다. 이에 음악 감성지능계발 프로그램의 구안과 적용에 대한 연구의 결과를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감성인식 중심 활동은 1차 분석 결과 실험집단(M=38.41), 통제집단(M=33.9)로 실험집단의 평균이 4.51 높게 나타났다(t=7.323, p<.001). 2차 분석 결과 실험집단(M=34.2), 통제집단(M=33.22)로 실험집단의 평균이 0.98 조금 높게 나타났다(t=1.285, p>.05). 이는 음악수업의 여러 가지 전략들이 효과가 있으나 한 한기 이상의 지속적이 지도가 있어야 효용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감성표현 및 활용 중심 활동은 1차 분석 결과 감성표현 영역인 경우 실험집단(M=27.14), 통제집단(M=24.93)로 실험 집단의 평균이 2.21 높게 나타났다(t=2.433, p<.05). 2차 분석 결과 감성표현 영역인 경우 실험집단(M=26.32), 통제집단(M=26.01)로 실험 집단의 평균이 0.31 조금 높게 나타났다(t=.317, p>.05).이는 감성표현이 긍정적인 효과를 보려면 한 학기 이상의 지속적인 지도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셋째, 감성이해 및 조절 중심 활동은 감성지능의 최상위 단계로서 1차 분석결과 감정이입 영역인 경우 실험집단(M=26.34), 통제집단(M=24.59)로 실험 집단의 평균이 1.75 높게 나타났다(t=2.069, p<.05). 2차 분석결과 감정이입 영역의 경우 실험집단(M=23.68), 통제집단(M=23.9)로 통제집단의 평균이 0.22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t=-.220, p>.05). 감성조절의 영역을 살펴보면, 1차 분석결과 실험집단 (M=60.02), 통제집단(M=56.76)로 실험집단의 평균이 3.26 높게 나타났으며 (t=4.172, p<.001) 2차 분석 결과도 실험집단(M=60.41), 통제집단(M=54.54)로 실험집단의 평균이 5.87 높게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t=3.092, p<.01). 넷째, 감성지능 계발 지도방안을 5학년 실험집단 60명(2개 반), 통제집단 60명(2개 반) 총 120명(4개 반)을 대상으로 15차시를 1학기동안 적용한 결과 1차 사전 사후 검사에서 감성인식(평균 4.51), 감성표현(평균 2.21), 감정이입(평균 1.75), 감성조절(3.26), 전체 영역(평균 11.72)에서 실험집단의 유의미한 효과성이 나타났고 긍정적인 영향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2차 분석결과 감정이입을 제외한 사전 사후 검사에서 감성인식(평균 0.74), 감성표현(평균 0.31), 감성조절(평균 5.87), 전체영역 (평균 6.94)로서 2차 결과도 실험집단의 효과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1차 결과에서만 유의미한 효과성을 보인 감성인식과 감성표현, 감정이입 능력은 한 학기 이상의 지속적인 지도가 필요함을 시사하고 감정조절영역은 그 잠재성이 강하고 합창과 감상의 느낌을 나누는 다양한 전략이 매우 긍정적인 효과성을 보였음을 알 수 있다. 감성지능의 계발을 위한 좀 더 구체화된 음악 감성지능계발을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발달연령에 맞는 학년별 음악 감성지능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지필 검사만으로는 정확한 감성지능의 지도 결과를 나타내는데 한계가 있기 때문에 음악적인 감성지능 측정도구의 개발이 필요하다. 셋째, 음악 교과서 분석을 통해서 본 연구에서 제외 되었던 기악과 창작의 음악수업 영역에 대한 후속연구로 감성지능 계발 프로그램이 많이 개발 보급되길 기대한다.
감성 교육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확산되고 보편화되면서 최근 학교를 중심으로 예술 감성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가고 있다. 실제 교육 현장에서는 내면의 감성을 인식하고 표현하고 조절하면서 타인과의 조화로운 관계 형성을 도와주는 정의적 영역에서의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한 현실이다. 또한, 미술과 체험 놀이 중심의 감성지능 적용 연구는 많았으나 현장 적용이 가능한 음악교과의 감성지능 계발에 관한 연구는 찾기가 어려웠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감성지능과 감성지능모델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바탕으로 감성지능을 계발시킬 수 있는 음악수업 프로그램을 구안하고 특히, 가창 및 감상 지도방안을 모색하여 초등학생들의 감성지능 계발 적용 가능성을 분석하는데 있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감성과 감성지능 이론의 개념과 접근방식에 따른 이론을 정리하여 제시하였고, 감성지능의 개념 및 특징, 감성지능모델의 변천과정과 각 구성요소에 관해서 정리하였다. 나아가 최근의 감성지능모델을 토대로 단계별로 적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감성인식 중심 활동, 감성표현 및 활용 중심 활동, 감성이해 및 조절 중심 활동을 구성한 지도활동을 제시하였다. 이를 5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구체적인 교수․학습 과정안과 전략을 마련하여 적용해 봄으로써 실제 현장에서의 감성교육의 효과성이 나타남을 spss(ver. 21.0)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1학기 총 15차시 수업 결과를 1차로 정리하였고 한 달의 휴식기를 거친 후 5차시를 추가한 총 20차시 수업결과를 2차로 정리하였다. 이에 음악 감성지능계발 프로그램의 구안과 적용에 대한 연구의 결과를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감성인식 중심 활동은 1차 분석 결과 실험집단(M=38.41), 통제집단(M=33.9)로 실험집단의 평균이 4.51 높게 나타났다(t=7.323, p<.001). 2차 분석 결과 실험집단(M=34.2), 통제집단(M=33.22)로 실험집단의 평균이 0.98 조금 높게 나타났다(t=1.285, p>.05). 이는 음악수업의 여러 가지 전략들이 효과가 있으나 한 한기 이상의 지속적이 지도가 있어야 효용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감성표현 및 활용 중심 활동은 1차 분석 결과 감성표현 영역인 경우 실험집단(M=27.14), 통제집단(M=24.93)로 실험 집단의 평균이 2.21 높게 나타났다(t=2.433, p<.05). 2차 분석 결과 감성표현 영역인 경우 실험집단(M=26.32), 통제집단(M=26.01)로 실험 집단의 평균이 0.31 조금 높게 나타났다(t=.317, p>.05).이는 감성표현이 긍정적인 효과를 보려면 한 학기 이상의 지속적인 지도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셋째, 감성이해 및 조절 중심 활동은 감성지능의 최상위 단계로서 1차 분석결과 감정이입 영역인 경우 실험집단(M=26.34), 통제집단(M=24.59)로 실험 집단의 평균이 1.75 높게 나타났다(t=2.069, p<.05). 2차 분석결과 감정이입 영역의 경우 실험집단(M=23.68), 통제집단(M=23.9)로 통제집단의 평균이 0.22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t=-.220, p>.05). 감성조절의 영역을 살펴보면, 1차 분석결과 실험집단 (M=60.02), 통제집단(M=56.76)로 실험집단의 평균이 3.26 높게 나타났으며 (t=4.172, p<.001) 2차 분석 결과도 실험집단(M=60.41), 통제집단(M=54.54)로 실험집단의 평균이 5.87 높게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t=3.092, p<.01). 넷째, 감성지능 계발 지도방안을 5학년 실험집단 60명(2개 반), 통제집단 60명(2개 반) 총 120명(4개 반)을 대상으로 15차시를 1학기동안 적용한 결과 1차 사전 사후 검사에서 감성인식(평균 4.51), 감성표현(평균 2.21), 감정이입(평균 1.75), 감성조절(3.26), 전체 영역(평균 11.72)에서 실험집단의 유의미한 효과성이 나타났고 긍정적인 영향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2차 분석결과 감정이입을 제외한 사전 사후 검사에서 감성인식(평균 0.74), 감성표현(평균 0.31), 감성조절(평균 5.87), 전체영역 (평균 6.94)로서 2차 결과도 실험집단의 효과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1차 결과에서만 유의미한 효과성을 보인 감성인식과 감성표현, 감정이입 능력은 한 학기 이상의 지속적인 지도가 필요함을 시사하고 감정조절영역은 그 잠재성이 강하고 합창과 감상의 느낌을 나누는 다양한 전략이 매우 긍정적인 효과성을 보였음을 알 수 있다. 감성지능의 계발을 위한 좀 더 구체화된 음악 감성지능계발을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발달연령에 맞는 학년별 음악 감성지능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지필 검사만으로는 정확한 감성지능의 지도 결과를 나타내는데 한계가 있기 때문에 음악적인 감성지능 측정도구의 개발이 필요하다. 셋째, 음악 교과서 분석을 통해서 본 연구에서 제외 되었던 기악과 창작의 음악수업 영역에 대한 후속연구로 감성지능 계발 프로그램이 많이 개발 보급되길 기대한다.
As the awareness for the importance of the emotional education becomes spread and more common, interest for art-emotional education is increasing nowadays. A study of emotional education to help harmonical human relationship through emotional perception, emotional expression, emotional facilities, e...
As the awareness for the importance of the emotional education becomes spread and more common, interest for art-emotional education is increasing nowadays. A study of emotional education to help harmonical human relationship through emotional perception, emotional expression, emotional facilities, emotional understanding, emotional regulation was relatively lack. Also many studies of application is focused art and experience centered play, but it was difficult to find a applicable study about the development of emotional intelligence in schoo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the developing program based on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 about the emotional intelligence and emotional intelligence model, It is focused to analyze the possibility of emotional intelligence application for the teaching methods of singing and music appreciation area. This study presented the concept of the emotion and emotion theories, theories based on methods of approach, also this paper arranged the concept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features, the transition process and each component of emotional intelligence model. Furthermore, it presented the teaching methods consist of emotional perception activity, emotional expression and emotional facilitation activity, emotional understanding and emotional regulation activity to develop the program based on the recent emotion model. This study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the emotional education for 5th grade student in elementary school through the SPSS. Arranged the result of 15 teaching guides class in the first time, and after one month later arranged the result 20 teaching guides (adding 5 teaching guides). The result of this study about the emotion developing program and application is as in the following. First, in case of emotional perception activity, the experimental group's average was higher 4.51 than the controlled group in the first analysis result. The second analysis result, the experimental group's average was higher 0.98 than the controlled group. It means emotional musical class strategy is effective but it needs steady teaching time over 1 semester. Second, in case of emotional expression and facilitation activity, the experimental group's average was higher 2.21 than the controlled group in the first analysis result. The second analysis result, the experimental group's average was higher 0.31 than the controlled group. It means steady teaching over one semester can get the positive influence too. Third, emotional understanding and emotional regulation activity was the emotional highest stage. In case of empathy, the experimental group's average was higher 1.75 than the controlled group in the first analysis result. The second analysis result, the controlled group's average was higher 0.22 than experimental group but it was not effective. In case of emotional regulation, the experimental group's average was higher 3.26 than the controlled group in the first analysis result. The second analysis result, the experimental group's average was higher 5.87 than the controlled group. It was experimental group's average was very high and it proved the effectiveness of emotional program strategy. Forth, It can be synthesized the result that the emotional intelligence developing applied for 5th grade experimental group 60(2 class), control group 60(2 class), total 120 (4 class), 15 emotional class. The result of in the ex-ante and ex-post analysis is as follow. Emotional perception (average 4.51), emotional expression(average 2.21), empathy (average 1.75), emotional regulation(average 3.26), total(average 11.72) in the experimental group is effective and positive influence. Also the second analysis result of the ex-ante and ex-post analysis except for empathy is as follows. Emotional perception (average 0.74), emotional expression(aver -age 0.31), emotional regulation(average 5.87) total(average 6.94) in the experimental group is effective and positive influence too The emotional perception, the emotional expression, the empathy ability needs steady teaching and sufficient time over one semester to get the effective result. In the emotional regulation activity was proved a strong potential effect and various strategy to share the feelings after chorus and music appreciation influence positively. Proposal for the concrete music emotional intelligence improving program study is as in the following. First, the study is expected to make the more applicable emotion development program for the various grade in elementary school. Second, paper testing tools have a limit to show the result of the emotional intelligence teaching. It is required the development of musical testing tools. Third, It hopes a follow-up study for instrumental music and creative music class that is excluded from this study through the music textbooks analysis.
As the awareness for the importance of the emotional education becomes spread and more common, interest for art-emotional education is increasing nowadays. A study of emotional education to help harmonical human relationship through emotional perception, emotional expression, emotional facilities, emotional understanding, emotional regulation was relatively lack. Also many studies of application is focused art and experience centered play, but it was difficult to find a applicable study about the development of emotional intelligence in schoo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the developing program based on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 about the emotional intelligence and emotional intelligence model, It is focused to analyze the possibility of emotional intelligence application for the teaching methods of singing and music appreciation area. This study presented the concept of the emotion and emotion theories, theories based on methods of approach, also this paper arranged the concept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features, the transition process and each component of emotional intelligence model. Furthermore, it presented the teaching methods consist of emotional perception activity, emotional expression and emotional facilitation activity, emotional understanding and emotional regulation activity to develop the program based on the recent emotion model. This study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the emotional education for 5th grade student in elementary school through the SPSS. Arranged the result of 15 teaching guides class in the first time, and after one month later arranged the result 20 teaching guides (adding 5 teaching guides). The result of this study about the emotion developing program and application is as in the following. First, in case of emotional perception activity, the experimental group's average was higher 4.51 than the controlled group in the first analysis result. The second analysis result, the experimental group's average was higher 0.98 than the controlled group. It means emotional musical class strategy is effective but it needs steady teaching time over 1 semester. Second, in case of emotional expression and facilitation activity, the experimental group's average was higher 2.21 than the controlled group in the first analysis result. The second analysis result, the experimental group's average was higher 0.31 than the controlled group. It means steady teaching over one semester can get the positive influence too. Third, emotional understanding and emotional regulation activity was the emotional highest stage. In case of empathy, the experimental group's average was higher 1.75 than the controlled group in the first analysis result. The second analysis result, the controlled group's average was higher 0.22 than experimental group but it was not effective. In case of emotional regulation, the experimental group's average was higher 3.26 than the controlled group in the first analysis result. The second analysis result, the experimental group's average was higher 5.87 than the controlled group. It was experimental group's average was very high and it proved the effectiveness of emotional program strategy. Forth, It can be synthesized the result that the emotional intelligence developing applied for 5th grade experimental group 60(2 class), control group 60(2 class), total 120 (4 class), 15 emotional class. The result of in the ex-ante and ex-post analysis is as follow. Emotional perception (average 4.51), emotional expression(average 2.21), empathy (average 1.75), emotional regulation(average 3.26), total(average 11.72) in the experimental group is effective and positive influence. Also the second analysis result of the ex-ante and ex-post analysis except for empathy is as follows. Emotional perception (average 0.74), emotional expression(aver -age 0.31), emotional regulation(average 5.87) total(average 6.94) in the experimental group is effective and positive influence too The emotional perception, the emotional expression, the empathy ability needs steady teaching and sufficient time over one semester to get the effective result. In the emotional regulation activity was proved a strong potential effect and various strategy to share the feelings after chorus and music appreciation influence positively. Proposal for the concrete music emotional intelligence improving program study is as in the following. First, the study is expected to make the more applicable emotion development program for the various grade in elementary school. Second, paper testing tools have a limit to show the result of the emotional intelligence teaching. It is required the development of musical testing tools. Third, It hopes a follow-up study for instrumental music and creative music class that is excluded from this study through the music textbooks analysis.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