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청소년의 가정폭력 노출경험이 학교폭력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 : 의사소통능력과 충동성 중심으로 The Effects that Teenagers, exposed to Family Violence, Have on Their School Violence Acts원문보기
본 연구는 가정폭력 노출경험이 학교폭력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의사소통능력과 충동성 중심으로 구명하고자 했다. 최근 청소년의 학교폭력이 심각한 사회적 문제로 대두됨에 따라 학교폭력에 대한 원인분석과 그 해결책을 마련하기 위해 학계는 물론 청소년지도현장에서 다양한 논의가 진행되고 있어, 이러한 현실적인 청소년 폭력문제를 예방하기 위한 일환으로 본 연구를 시작하게 되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에 따라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청소년들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주요변인 간 차이는 어떠한지를 살펴보고, 가정폭력 노출경험이 있는 청소년들이 학교폭력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지를 밝히고자 했다. 그리고 청소년들의 가정폭력 노출경험에 의사소통능력과 충동성의 ...
본 연구는 가정폭력 노출경험이 학교폭력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의사소통능력과 충동성 중심으로 구명하고자 했다. 최근 청소년의 학교폭력이 심각한 사회적 문제로 대두됨에 따라 학교폭력에 대한 원인분석과 그 해결책을 마련하기 위해 학계는 물론 청소년지도현장에서 다양한 논의가 진행되고 있어, 이러한 현실적인 청소년 폭력문제를 예방하기 위한 일환으로 본 연구를 시작하게 되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에 따라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청소년들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주요변인 간 차이는 어떠한지를 살펴보고, 가정폭력 노출경험이 있는 청소년들이 학교폭력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지를 밝히고자 했다. 그리고 청소년들의 가정폭력 노출경험에 의사소통능력과 충동성의 매개효과에 대한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시에 소재하고 있는 K구 2개 지역, S구 2에서 각 2곳씩 총 4개 중학교를 선정하고, 각 중학교에 175명씩을 조사대상자로 선정하기 위하여 비확률 표본추출방법의 판단표집방법과 할당표집에 따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700부를 배부하여, 회수된 설문지 중 무응답, 성의 없는 응답 등의 설문지 36부를 제외한 664부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차이분석을 통해 청소년들의 성별, 학년, 학업성적, 가정의 경제수준과 같은 일반적 특성이 가정폭력 노출경험, 의사소통능력, 충동성, 학교폭력 가해행동 변인 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가정폭력 노출경험이 학교폭력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 가정폭력 노출경험이 의사소통능력과 충동성에 미치는 영향, 의사소통능력과 충동성이 학교폭력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했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가정폭력 노출경험, 의사소통능력, 충동성, 학교폭력 가해행동 등에 부분적으로 차이가 나타났고, 영향관계 분석에서는 가정폭력 노출경험이 학교폭력 가해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정폭력 노출경험이 의사소통능력에 β값이 -.092(p<.001)로 나타나 부적인 영향을 미쳤고, 충동성에는 β값이 .187(p<.001)로 나타나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Sobel Test 결과 의사소통능력(Z=4.34, p<.001)과 충동성(Z=4.25, p<.001)의 Z값이 1.96이상으로 나타나 이들 매개변인들이 학교폭력 가해 행동에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논문의 연구결과 가정폭력 노출경험이 학교폭력 가해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가정폭력 노출경험은 청소년들의 의사소통능력과 충동성의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가정폭력의 노출을 최소화하고 부모와 자녀 간 또는 부모 간에 원활한 의사소통이 이루어질 경우, 가정폭력 피해경험과 학교폭력 가해행동 역시 감소되어 학교폭력예방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이에 부모 자녀 간 가정폭력 노출의 예방과 의사소통능력의 향상에 관한 구체적인 프로그램과 실천방안이 마련되기를 제언한다.
본 연구는 가정폭력 노출경험이 학교폭력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의사소통능력과 충동성 중심으로 구명하고자 했다. 최근 청소년의 학교폭력이 심각한 사회적 문제로 대두됨에 따라 학교폭력에 대한 원인분석과 그 해결책을 마련하기 위해 학계는 물론 청소년지도현장에서 다양한 논의가 진행되고 있어, 이러한 현실적인 청소년 폭력문제를 예방하기 위한 일환으로 본 연구를 시작하게 되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에 따라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청소년들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주요변인 간 차이는 어떠한지를 살펴보고, 가정폭력 노출경험이 있는 청소년들이 학교폭력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지를 밝히고자 했다. 그리고 청소년들의 가정폭력 노출경험에 의사소통능력과 충동성의 매개효과에 대한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시에 소재하고 있는 K구 2개 지역, S구 2에서 각 2곳씩 총 4개 중학교를 선정하고, 각 중학교에 175명씩을 조사대상자로 선정하기 위하여 비확률 표본추출방법의 판단표집방법과 할당표집에 따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700부를 배부하여, 회수된 설문지 중 무응답, 성의 없는 응답 등의 설문지 36부를 제외한 664부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차이분석을 통해 청소년들의 성별, 학년, 학업성적, 가정의 경제수준과 같은 일반적 특성이 가정폭력 노출경험, 의사소통능력, 충동성, 학교폭력 가해행동 변인 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가정폭력 노출경험이 학교폭력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 가정폭력 노출경험이 의사소통능력과 충동성에 미치는 영향, 의사소통능력과 충동성이 학교폭력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했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가정폭력 노출경험, 의사소통능력, 충동성, 학교폭력 가해행동 등에 부분적으로 차이가 나타났고, 영향관계 분석에서는 가정폭력 노출경험이 학교폭력 가해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정폭력 노출경험이 의사소통능력에 β값이 -.092(p<.001)로 나타나 부적인 영향을 미쳤고, 충동성에는 β값이 .187(p<.001)로 나타나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Sobel Test 결과 의사소통능력(Z=4.34, p<.001)과 충동성(Z=4.25, p<.001)의 Z값이 1.96이상으로 나타나 이들 매개변인들이 학교폭력 가해 행동에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논문의 연구결과 가정폭력 노출경험이 학교폭력 가해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가정폭력 노출경험은 청소년들의 의사소통능력과 충동성의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가정폭력의 노출을 최소화하고 부모와 자녀 간 또는 부모 간에 원활한 의사소통이 이루어질 경우, 가정폭력 피해경험과 학교폭력 가해행동 역시 감소되어 학교폭력예방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이에 부모 자녀 간 가정폭력 노출의 예방과 의사소통능력의 향상에 관한 구체적인 프로그램과 실천방안이 마련되기를 제언한다.
This study defines how youths' domestic violence exposure experience influences their school violence acts, in terms of communication ability and impulsiveness. This study was conducted as part of preventing such youth violence problems as, in recent years, youths' school violence is emerging as a s...
This study defines how youths' domestic violence exposure experience influences their school violence acts, in terms of communication ability and impulsiveness. This study was conducted as part of preventing such youth violence problems as, in recent years, youths' school violence is emerging as a serious social problem so that not only schools but also the youth guidance organizations are conducting diverse discussions to analyze the causes of school violence and to resolve the problems. Research issues thus were established as follow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youth, major variables were compared, and how youths' domestic violence exposure experience influenced their school violence was identified.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youths' communication ability and impulsiveness on their domestic violence exposure experience were analyzed. Using the judgment sampling method and quota sampling method among nonprobability sampling methods, 175 subjects were sampled, targeting two middle schools each (in a total of four) in K and S district each in Seoul. 700 copies of questionnaire were distributed, and a final effective 664 answered copies were adopted and analyzed, excluding 36 inappropriate copies. This study examined, using the gap analysis, how youth's gender, school year, academic performance, and home economic level, among other general characteristics, influenced variables such as their domestic violence exposure experience, communication ability, impulsiveness, and school violence acts. A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how their domestic violence exposure experience would influence their school violence acts, communication ability and impulsiveness, and how their communication ability and impulsiveness would influence their school violence act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described below. According to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subjects' domestic violence exposure experience, communication ability, impulsiveness, and school violence acts partly varied, and the influence relationship analysis revealed that their domestic violence exposure experience directly influenced their school violence acts. Domestic violence exposure experience had negative effects on communication ability with the β value being -.092(p<.001), and positive effects on impulsiveness with β value being .187(p<.001). And Sobel test revealed that with communication ability(Z=4.34, p<.001) and impulsiveness(Z=4.25, p<.001), the Z vale was all above 1.96, suggesting that these mediating variables had mediating effects on school violence acts. This study found that youths' domestic violence exposure experience directly influenced their school violence acts, and that youths' domestic violence exposure experience had mediating effects on their communication ability and impulsiveness. Thus, if domestic violence exposure is minimized and communications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and between parents are facilitated, it will reduce domestic violence victimization experience and school violence acts, eventually helping prevent school violence. Thus, it is proposed that specific programs and their practice measures be prepared to prevent parents and children from being exposed to domestic violence, and to improve their communication ability.
This study defines how youths' domestic violence exposure experience influences their school violence acts, in terms of communication ability and impulsiveness. This study was conducted as part of preventing such youth violence problems as, in recent years, youths' school violence is emerging as a serious social problem so that not only schools but also the youth guidance organizations are conducting diverse discussions to analyze the causes of school violence and to resolve the problems. Research issues thus were established as follow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youth, major variables were compared, and how youths' domestic violence exposure experience influenced their school violence was identified.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youths' communication ability and impulsiveness on their domestic violence exposure experience were analyzed. Using the judgment sampling method and quota sampling method among nonprobability sampling methods, 175 subjects were sampled, targeting two middle schools each (in a total of four) in K and S district each in Seoul. 700 copies of questionnaire were distributed, and a final effective 664 answered copies were adopted and analyzed, excluding 36 inappropriate copies. This study examined, using the gap analysis, how youth's gender, school year, academic performance, and home economic level, among other general characteristics, influenced variables such as their domestic violence exposure experience, communication ability, impulsiveness, and school violence acts. A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how their domestic violence exposure experience would influence their school violence acts, communication ability and impulsiveness, and how their communication ability and impulsiveness would influence their school violence act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described below. According to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subjects' domestic violence exposure experience, communication ability, impulsiveness, and school violence acts partly varied, and the influence relationship analysis revealed that their domestic violence exposure experience directly influenced their school violence acts. Domestic violence exposure experience had negative effects on communication ability with the β value being -.092(p<.001), and positive effects on impulsiveness with β value being .187(p<.001). And Sobel test revealed that with communication ability(Z=4.34, p<.001) and impulsiveness(Z=4.25, p<.001), the Z vale was all above 1.96, suggesting that these mediating variables had mediating effects on school violence acts. This study found that youths' domestic violence exposure experience directly influenced their school violence acts, and that youths' domestic violence exposure experience had mediating effects on their communication ability and impulsiveness. Thus, if domestic violence exposure is minimized and communications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and between parents are facilitated, it will reduce domestic violence victimization experience and school violence acts, eventually helping prevent school violence. Thus, it is proposed that specific programs and their practice measures be prepared to prevent parents and children from being exposed to domestic violence, and to improve their communication ability.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