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실험은 은행잎 추출물을 첨가수준별로 첨가하여 in vitro 반추위 발효와 미생물 성장 및 메탄 발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반추위액과 McDougall buffer를 1:2의 비율로 혼합한 배양액을 0.3 g timothy와 식물 추출물(기질의 1%, 3%, 5%, 7% 및 9%)이 담긴 50 mL serum bottle에 혐기상태로 15 mL를 분주하였다. Serum bottle은 39℃, 150 rpm 으로 24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pH는 6.87~6.95사이로 control에 비해 모든 첨가구가 유의적 (p<0.05)으로 낮았으나, in vitro pH의 정상 범위였고, 건물 소화율은 첨가 수준별로 유의적 (p<0.05) 차이가 없었다. 미생물 성장량은 5% 첨가구에서 유의적 (p<0.05)으로 높게 나타났다. 총 ...
본 실험은 은행잎 추출물을 첨가수준별로 첨가하여 in vitro 반추위 발효와 미생물 성장 및 메탄 발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반추위액과 McDougall buffer를 1:2의 비율로 혼합한 배양액을 0.3 g timothy와 식물 추출물(기질의 1%, 3%, 5%, 7% 및 9%)이 담긴 50 mL serum bottle에 혐기상태로 15 mL를 분주하였다. Serum bottle은 39℃, 150 rpm 으로 24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pH는 6.87~6.95사이로 control에 비해 모든 첨가구가 유의적 (p<0.05)으로 낮았으나, in vitro pH의 정상 범위였고, 건물 소화율은 첨가 수준별로 유의적 (p<0.05) 차이가 없었다. 미생물 성장량은 5% 첨가구에서 유의적 (p<0.05)으로 높게 나타났다. 총 휘발성 지방산과 acetate, propionate는 유의적 (p<0.05) 차이가 없었으나, butyrate는 7% 첨가구에서 증가하였고, A/P ratio는 유의적 (p<0.05) 차이가 없었다. 총 가스와 이산화탄소 발생량은 control에 비해 5% 첨가구에서 유의적 (p<0.05)으로 낮았으며, 메탄 발생량은 5%, 7% 및 9% 첨가구에서 유의적 (p<0.05)으로 낮았다. 발효성상과 가스 발생량에는 이상이 없었으나 메탄발생량은 5%, 7%, 9% 첨가구에서 유의적(p<0.05)으로 낮았다. 또한 섬유소박테리아(Ruminococcus albus, Fibrobacter succinogenes, Ruminococcus flavefaciens)와 Methanogen archaea, Ciliate associated methanogen 또한 5%, 7%, 9% 첨가구에서 control에 비해 발현율이 낮은 것으로 보아 5%, 7%, 9% 첨가구에서 메탄저감 효과가 있었다. 결과적으로 본 실험에 사용한 은행잎 추출물은 5%, 7%, 9% 첨가구에서 반추위 발효성상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고 메탄발생을 저감하는 것으로 생각된다.본 시험은 항염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식물 추출물의 첨가가 반추위 발효와 메탄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in vitro 실험을 수행하였다. 항염과 항산화 효과가 있는 산뽕나무(Morus bombycis), 뽕나무(Morus alba), 예덕나무(Mallotus japonicus), 오동나무(Paulownia coreana), 방아풀과(Isodon japonicus) 은행나무(Ginkgo biloba) 6종을 선발하였다. 반추위액과 McDougall buffer 혼합액 15 mL과 티모시 0.3 g, 각각의 추출물을 기질의 5%로 넣고 39℃에서 120 rpm으로 배양하였다. 12시간 배양 후, pH는 대조구와 비교하여 유의적 (p<0.05) 차이가 없었다. 건물 소화율은 은행나무 첨가구에서 낮았고, 대조구와 다른 첨가구 사이에는 유의적 (p<0.05) 차이가 없었다. 암모니아 함량과 단백질 함량은 대조구와 유의적(p<0.05) 차이가 없었다. 미생물 성장량은 대조구에 비해 뽕나무 첨가구에서 높았다. 배양 12시간대 총 휘발지방산은 뽕나무 첨가구에서 높았고, 방아풀 첨가구에서 낮았다. Acetate acid는 뽕나무 첨가구에서 높았고, 오동나무 첨가구에서 낮았다. Propionate acid는 뽕나무 첨가구에서 높았고, 은행나무 첨가구에서 낮았다. 그러나 식물추출물 첨가구와 대조구 사이의 유의적 (p<0.05) 차이가 없었다. 배양 12시간 총 가스 발생량은 대조구에서 높았고, 예덕나무 첨가구에서 낮았다. 메탄 발생량은 방아풀 첨가구에서 낮았고, 뽕나무 첨가구에서 높았다. 메탄 발생량은 뽕나무 첨가구를 제외한 다른 첨가구에서 대조구와 비교하였을 때 발생량이 줄어들었다. 이산화탄소 발생량은 뽕나무 첨가구에서 높았고, 오동나무 첨가구에서 낮았다. 대조구와 첨가구 사이에 유의적 (p<0.05) 차이는 없었다. 본 시험의 결과에서 항염에 효과가 있는 식물 추출물을 in vitro 반추위 배양액에 첨가하였을 때, 반추위 발효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메탄 발생량은 뽕나무 첨가구를 제외한 다른 첨가구에서 대조구에 비해 메탄 저감 효과가 있었다.
본 실험은 은행잎 추출물을 첨가수준별로 첨가하여 in vitro 반추위 발효와 미생물 성장 및 메탄 발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반추위액과 McDougall buffer를 1:2의 비율로 혼합한 배양액을 0.3 g timothy와 식물 추출물(기질의 1%, 3%, 5%, 7% 및 9%)이 담긴 50 mL serum bottle에 혐기상태로 15 mL를 분주하였다. Serum bottle은 39℃, 150 rpm 으로 24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pH는 6.87~6.95사이로 control에 비해 모든 첨가구가 유의적 (p<0.05)으로 낮았으나, in vitro pH의 정상 범위였고, 건물 소화율은 첨가 수준별로 유의적 (p<0.05) 차이가 없었다. 미생물 성장량은 5% 첨가구에서 유의적 (p<0.05)으로 높게 나타났다. 총 휘발성 지방산과 acetate, propionate는 유의적 (p<0.05) 차이가 없었으나, butyrate는 7% 첨가구에서 증가하였고, A/P ratio는 유의적 (p<0.05) 차이가 없었다. 총 가스와 이산화탄소 발생량은 control에 비해 5% 첨가구에서 유의적 (p<0.05)으로 낮았으며, 메탄 발생량은 5%, 7% 및 9% 첨가구에서 유의적 (p<0.05)으로 낮았다. 발효성상과 가스 발생량에는 이상이 없었으나 메탄발생량은 5%, 7%, 9% 첨가구에서 유의적(p<0.05)으로 낮았다. 또한 섬유소박테리아(Ruminococcus albus, Fibrobacter succinogenes, Ruminococcus flavefaciens)와 Methanogen archaea, Ciliate associated methanogen 또한 5%, 7%, 9% 첨가구에서 control에 비해 발현율이 낮은 것으로 보아 5%, 7%, 9% 첨가구에서 메탄저감 효과가 있었다. 결과적으로 본 실험에 사용한 은행잎 추출물은 5%, 7%, 9% 첨가구에서 반추위 발효성상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고 메탄발생을 저감하는 것으로 생각된다.본 시험은 항염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식물 추출물의 첨가가 반추위 발효와 메탄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in vitro 실험을 수행하였다. 항염과 항산화 효과가 있는 산뽕나무(Morus bombycis), 뽕나무(Morus alba), 예덕나무(Mallotus japonicus), 오동나무(Paulownia coreana), 방아풀과(Isodon japonicus) 은행나무(Ginkgo biloba) 6종을 선발하였다. 반추위액과 McDougall buffer 혼합액 15 mL과 티모시 0.3 g, 각각의 추출물을 기질의 5%로 넣고 39℃에서 120 rpm으로 배양하였다. 12시간 배양 후, pH는 대조구와 비교하여 유의적 (p<0.05) 차이가 없었다. 건물 소화율은 은행나무 첨가구에서 낮았고, 대조구와 다른 첨가구 사이에는 유의적 (p<0.05) 차이가 없었다. 암모니아 함량과 단백질 함량은 대조구와 유의적(p<0.05) 차이가 없었다. 미생물 성장량은 대조구에 비해 뽕나무 첨가구에서 높았다. 배양 12시간대 총 휘발지방산은 뽕나무 첨가구에서 높았고, 방아풀 첨가구에서 낮았다. Acetate acid는 뽕나무 첨가구에서 높았고, 오동나무 첨가구에서 낮았다. Propionate acid는 뽕나무 첨가구에서 높았고, 은행나무 첨가구에서 낮았다. 그러나 식물추출물 첨가구와 대조구 사이의 유의적 (p<0.05) 차이가 없었다. 배양 12시간 총 가스 발생량은 대조구에서 높았고, 예덕나무 첨가구에서 낮았다. 메탄 발생량은 방아풀 첨가구에서 낮았고, 뽕나무 첨가구에서 높았다. 메탄 발생량은 뽕나무 첨가구를 제외한 다른 첨가구에서 대조구와 비교하였을 때 발생량이 줄어들었다. 이산화탄소 발생량은 뽕나무 첨가구에서 높았고, 오동나무 첨가구에서 낮았다. 대조구와 첨가구 사이에 유의적 (p<0.05) 차이는 없었다. 본 시험의 결과에서 항염에 효과가 있는 식물 추출물을 in vitro 반추위 배양액에 첨가하였을 때, 반추위 발효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메탄 발생량은 뽕나무 첨가구를 제외한 다른 첨가구에서 대조구에 비해 메탄 저감 효과가 있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nti-inflammatory plant extracts on the in vitro rumen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and methane emission. Anti-inflammatory plant extracts from Bombycis mulberry (Morus bombycis Koidz), Japanese mallotus (Mallotus japonicus L.), White mulberry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nti-inflammatory plant extracts on the in vitro rumen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and methane emission. Anti-inflammatory plant extracts from Bombycis mulberry (Morus bombycis Koidz), Japanese mallotus (Mallotus japonicus L.), White mulberry (Morus alba L.), Korean paulownia (Paulownia coreana Uyeki), Amethystanthus japonicus (Isodon japonicus Hara), Ginkgo (Ginkgo biloba) were used in the study. The ruminal fluid (5 mL), McDougall buffer (10 mL), timothy as a substrate (0.3 g) and each anti-inflammatory plant extract (5% of substrate) were dispensed anaerobically into 50 mL serum bottle. The mixtures were incubated for 3, 6, 9, 12, 24, 48 and 72h h at 39℃ without shaking. The pH value was not different between treatments. The digestibility of dry matter was significantly (p<0.05) lower in the amethystanthus japonicus. The concentrations of ammonia and true protein were not different among treatments. The VFA concentration was significantly (p<0.05) higher in the white mulberry. The concentrations of acetate and propionate were significantly (p<0.05) higher in the white mulberry than the other treatments. The concentration of propionate was not different in all treatments. The microbial growth rate was the highest in the Mallotus japonicus and the lowest in the ginkgo (p<0.05). The total gas production was the highest in the control. Carbon dioxide and methane emissions were the highest (p<0.05) in the white mulberry. In conclusion, supplementation of the anti-inflammatory plant extracts did not affect on rumen fermentation and methane emissio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levels of ginkgo leaf extract on in vitro rumen fermentation, microbial growth and methane emission. The 15 mL of mixture containing McDougall’s buffer and rumen fluid in the ratio of 2:1, was dispensed anaerobically into 50 mL serum bottles. The plant extract was added at the level of 1, 3, 5, 7 and 9% against 300 mg of timothy as a substrate (v/w). The serum bottles were incubated for 24 h with triplicate. pH ranged between 6.87 and 6.95, was significantly (p<0.05) lower in all treatments than that of control, but all values were in the normal range for ruminal fermentation. Dry matter digestibility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all treatments. The rumen microbial growth rate was significantly (p<0.05) higher in 5% treatment than in control. Total VFA, acetate and propionat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all treatments. Butyrate was significantly (p<0.05) higher in 7% treatment than that of control, and A/P ratio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all treatments. Total gas and carbon dioxide productions were significantly (p<0.05) lower in 5% treatments than those of control, and methane emission was significantly (p<0.05) lower in 5, 7 and 9% treatment than that of control. The rumen microbial population was measured by the real-time PCR assay at 24-h incubation time. The microbial population of cellulolytic bacteria (Ruminococcus albus, Fibrobacter succinogenes, Ruminococcus flavefaciens), Methanogen archaea and ciliate associated methanogen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5, 7 and 9% treatments. In conclusion, the ginkgo leaf plant extracts were shown to decreased methane emission and without adversely affecting ruminal fermentation at 5, 7, and 9% treatment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nti-inflammatory plant extracts on the in vitro rumen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and methane emission. Anti-inflammatory plant extracts from Bombycis mulberry (Morus bombycis Koidz), Japanese mallotus (Mallotus japonicus L.), White mulberry (Morus alba L.), Korean paulownia (Paulownia coreana Uyeki), Amethystanthus japonicus (Isodon japonicus Hara), Ginkgo (Ginkgo biloba) were used in the study. The ruminal fluid (5 mL), McDougall buffer (10 mL), timothy as a substrate (0.3 g) and each anti-inflammatory plant extract (5% of substrate) were dispensed anaerobically into 50 mL serum bottle. The mixtures were incubated for 3, 6, 9, 12, 24, 48 and 72h h at 39℃ without shaking. The pH value was not different between treatments. The digestibility of dry matter was significantly (p<0.05) lower in the amethystanthus japonicus. The concentrations of ammonia and true protein were not different among treatments. The VFA concentration was significantly (p<0.05) higher in the white mulberry. The concentrations of acetate and propionate were significantly (p<0.05) higher in the white mulberry than the other treatments. The concentration of propionate was not different in all treatments. The microbial growth rate was the highest in the Mallotus japonicus and the lowest in the ginkgo (p<0.05). The total gas production was the highest in the control. Carbon dioxide and methane emissions were the highest (p<0.05) in the white mulberry. In conclusion, supplementation of the anti-inflammatory plant extracts did not affect on rumen fermentation and methane emissio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levels of ginkgo leaf extract on in vitro rumen fermentation, microbial growth and methane emission. The 15 mL of mixture containing McDougall’s buffer and rumen fluid in the ratio of 2:1, was dispensed anaerobically into 50 mL serum bottles. The plant extract was added at the level of 1, 3, 5, 7 and 9% against 300 mg of timothy as a substrate (v/w). The serum bottles were incubated for 24 h with triplicate. pH ranged between 6.87 and 6.95, was significantly (p<0.05) lower in all treatments than that of control, but all values were in the normal range for ruminal fermentation. Dry matter digestibility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all treatments. The rumen microbial growth rate was significantly (p<0.05) higher in 5% treatment than in control. Total VFA, acetate and propionat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all treatments. Butyrate was significantly (p<0.05) higher in 7% treatment than that of control, and A/P ratio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all treatments. Total gas and carbon dioxide productions were significantly (p<0.05) lower in 5% treatments than those of control, and methane emission was significantly (p<0.05) lower in 5, 7 and 9% treatment than that of control. The rumen microbial population was measured by the real-time PCR assay at 24-h incubation time. The microbial population of cellulolytic bacteria (Ruminococcus albus, Fibrobacter succinogenes, Ruminococcus flavefaciens), Methanogen archaea and ciliate associated methanogen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5, 7 and 9% treatments. In conclusion, the ginkgo leaf plant extracts were shown to decreased methane emission and without adversely affecting ruminal fermentation at 5, 7, and 9% treatments.
Keyword
#Dry matter digestibility Methane emission Plant extracts Total gas production Rumen microbial population
학위논문 정보
저자
손창준
학위수여기관
경상대학교 대학원
학위구분
국내박사
학과
응용생명과학부 반추동물영양학
지도교수
이성실
발행연도
2016
총페이지
xi, 89 p.
키워드
Dry matter digestibility Methane emission Plant extracts Total gas production Rumen microbial population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