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아동권리 및 아동학대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을 조사하여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아동학대예방교육이 체계적이고 효과적으로 루어질 수 있도록 아동학대예방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 자료 및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른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아동권리에 대한 인식은 유아교사의 개인 변인(연령, 경력, 근무기 관 유형, 최종학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2. 아동학대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2-1. 아동학대 행위에 대한 인식은 유아교사의 개인 변인(연령, 경력, 근무기관 유형, 최종학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2-2. 아동학대 신고제도에 대한 인식은 유아교사의 개인 변인(연령, 경 력, 근무기관 유형, 최종학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2-3. 아동학대예방교육에 대한 인식은 유아교사의 개인 변인(연령, 경 력, 근무기관 유형, 최종학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과 경기도 유아교육기관에 근무하고 있는 유아교사 292명(어린이집 교사 165부, 유치원 교사 127부)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아동권리 및 아동학대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을 조사하여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아동학대예방교육이 체계적이고 효과적으로 루어질 수 있도록 아동학대예방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 자료 및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른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아동권리에 대한 인식은 유아교사의 개인 변인(연령, 경력, 근무기 관 유형, 최종학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2. 아동학대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2-1. 아동학대 행위에 대한 인식은 유아교사의 개인 변인(연령, 경력, 근무기관 유형, 최종학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2-2. 아동학대 신고제도에 대한 인식은 유아교사의 개인 변인(연령, 경 력, 근무기관 유형, 최종학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2-3. 아동학대예방교육에 대한 인식은 유아교사의 개인 변인(연령, 경 력, 근무기관 유형, 최종학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과 경기도 유아교육기관에 근무하고 있는 유아교사 292명(어린이집 교사 165부, 유치원 교사 127부)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개인 변인에 따라 아동권리에 대한 인식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 근무기관유형, 최종학력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연령, 경력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근무하는 기관 유형은 유치원 교사보다 어린이집 교사가 아동권리에 대한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최종학력에서는 학력이 높을수록 아동권리에 대한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동학대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은 다음과 같다. 유아교사의 개인 변인에 따라 아동학대 행위에 대한 인식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 연령, 경력, 근무기관 유형, 최종학력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연령에서는 30-35세 미만과 25세 미만 교사 간에 아동학대 행위에 대한 인식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교육경력에서는 7~18년과 3년 이하 교사 간에 아동학대 행위에 대한 인식에 유의한 인식의 차이가 있었다. 근무기관유형에서는 어린이집 교사가 유치원 교사에 비해 아동학대 행위에 대한 인식이 더욱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최종학력에서는 학력이 높을수록 아동학대 행위에 대한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학대 신고제도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을 살펴본 결과, ‘아동학대예방교육 및 연수’를 통해서 아동학대 신고제도를 대부분의 유아교사들이 인지하고 있었으며, ‘더 이상의 아동학대가 일어나지 않도록 예방하기 위한 적절한 대책 마련을 위해서’ 아동학대 신고제도가 필요하다는 인식이 높았다. 또한 아동학대 신고제도를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은 근무기관유형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신고 시 아동을 보호할 수 있는 보호체계 마련’이 필요하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유치원 교사가 이를 더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아동학대예방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을 살펴본 결과, 유아교사들의 아동학대예방교육 참여 경험은 매우 높았으며, 아동학대예방교육을 통해 아동학대에 대한 인식이 향상되었다는 긍정적인 반응도 높게 나타났다. 유아교사들의 아동학대예방교육 요구도는 ‘아동학대예방을 위한 효율적인 지도방법’ 교육에 대한 요구도가 가장 높았고, ‘전문가의 강의를 통한 집단 교육’이 아동학대예방교육에 있어 가장 효과적이라는 인식이 있었다. 아동학대예방 개선책은 근무기관 유형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어린이집 교사는 ‘직무 스트레스 해소’를 가장 많이 지적한 반면, 유치원 교사는 아동 학대에 대한 명확한 아동보호 정책 수립’을 가장 많이 지적하여 어린이집교사의 직무 환경 개선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아동권리 및 아동학대에 대한 지속적인 아동학대예방교육이 필요하며, 특히 유아교육기관 내 일상생활 속에서 무의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는 아동 권리 침해 및 아동학대 행위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을 높일 수 있도록 실제적인 사례를 통한 체계적인 아동학대예방교육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아동권리 및 아동학대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을 조사하여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아동학대예방교육이 체계적이고 효과적으로 루어질 수 있도록 아동학대예방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 자료 및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른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아동권리에 대한 인식은 유아교사의 개인 변인(연령, 경력, 근무기 관 유형, 최종학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2. 아동학대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2-1. 아동학대 행위에 대한 인식은 유아교사의 개인 변인(연령, 경력, 근무기관 유형, 최종학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2-2. 아동학대 신고제도에 대한 인식은 유아교사의 개인 변인(연령, 경 력, 근무기관 유형, 최종학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2-3. 아동학대예방교육에 대한 인식은 유아교사의 개인 변인(연령, 경 력, 근무기관 유형, 최종학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과 경기도 유아교육기관에 근무하고 있는 유아교사 292명(어린이집 교사 165부, 유치원 교사 127부)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개인 변인에 따라 아동권리에 대한 인식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 근무기관유형, 최종학력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연령, 경력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근무하는 기관 유형은 유치원 교사보다 어린이집 교사가 아동권리에 대한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최종학력에서는 학력이 높을수록 아동권리에 대한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동학대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은 다음과 같다. 유아교사의 개인 변인에 따라 아동학대 행위에 대한 인식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 연령, 경력, 근무기관 유형, 최종학력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연령에서는 30-35세 미만과 25세 미만 교사 간에 아동학대 행위에 대한 인식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교육경력에서는 7~18년과 3년 이하 교사 간에 아동학대 행위에 대한 인식에 유의한 인식의 차이가 있었다. 근무기관유형에서는 어린이집 교사가 유치원 교사에 비해 아동학대 행위에 대한 인식이 더욱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최종학력에서는 학력이 높을수록 아동학대 행위에 대한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학대 신고제도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을 살펴본 결과, ‘아동학대예방교육 및 연수’를 통해서 아동학대 신고제도를 대부분의 유아교사들이 인지하고 있었으며, ‘더 이상의 아동학대가 일어나지 않도록 예방하기 위한 적절한 대책 마련을 위해서’ 아동학대 신고제도가 필요하다는 인식이 높았다. 또한 아동학대 신고제도를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은 근무기관유형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신고 시 아동을 보호할 수 있는 보호체계 마련’이 필요하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유치원 교사가 이를 더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아동학대예방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을 살펴본 결과, 유아교사들의 아동학대예방교육 참여 경험은 매우 높았으며, 아동학대예방교육을 통해 아동학대에 대한 인식이 향상되었다는 긍정적인 반응도 높게 나타났다. 유아교사들의 아동학대예방교육 요구도는 ‘아동학대예방을 위한 효율적인 지도방법’ 교육에 대한 요구도가 가장 높았고, ‘전문가의 강의를 통한 집단 교육’이 아동학대예방교육에 있어 가장 효과적이라는 인식이 있었다. 아동학대예방 개선책은 근무기관 유형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어린이집 교사는 ‘직무 스트레스 해소’를 가장 많이 지적한 반면, 유치원 교사는 아동 학대에 대한 명확한 아동보호 정책 수립’을 가장 많이 지적하여 어린이집교사의 직무 환경 개선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아동권리 및 아동학대에 대한 지속적인 아동학대예방교육이 필요하며, 특히 유아교육기관 내 일상생활 속에서 무의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는 아동 권리 침해 및 아동학대 행위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을 높일 수 있도록 실제적인 사례를 통한 체계적인 아동학대예방교육이 중요하다.
This research aimed to investigate the awarenes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regarding the rights of the children and child abuse in children education institutions, in order to propose the base data and direction of the child abuse prevention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so that the child abuse p...
This research aimed to investigate the awarenes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regarding the rights of the children and child abuse in children education institutions, in order to propose the base data and direction of the child abuse prevention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so that the child abuse prevention education can take place systematically and effectively at child education institutions.
Accordingly, concrete research problems are as follows.
1. Is there a difference in the awareness on the rights of children depending on individual factor (age, career, type of working institution, the highest level of education) 2. How are the awarenes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on child abuse? 2-1. Is there a difference in the awareness on the actions of child abuse depending on individual factor (age, career, type of working institution, the highest level of education) of an early childhood teacher? 2-2. Is there a difference in the awareness on the report system for child abuse depending on individual factor (age, career, type of working institution, the highest level of education) of an early childhood teacher? 2-3. Is there a difference in the awareness on the prevention education of child abuse depending on individual factor (age, career, type of working institution, the highest level of education) of an early childhood teacher?
Objects of this research were 292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at children education institutions in Seoul and Gyeonggi-do Province (165 teachers of day care centers and 127 kindergarten teacher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re statistically processed using SPSS 21.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ly, as a result of examining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awareness on the rights of children, a significant difference appeared for the type of working institution and the highest level of education, wherea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for the age and career. For the type of working institution, teachers of day care centers appeared to have higher awareness on the rights of children than kindergarten teachers, and for the highest level of education, teachers with higher final level of education appeared to have higher awareness on the rights of children. Secondly, the awarenes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on child abuse is as follows. As a result of examining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awareness on the actions of child abuse, a significant difference appeared for the age, career, type of working institution and the highest level of education. For the ag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wareness on the actions of child abuse between teachers aged 30 to 35 and teachers aged under 25. For the education care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wareness on the actions of child abuse between teachers with 7 to 18 years of experience and teachers with under 3 years of experience. For the type of working institution, teachers of day care centers appeared to have higher awareness on the actions of child abuse compared to kindergarten teachers, and for the highest level of education, teachers with higher final level of education appeared to have higher awareness on the actions of child abuse.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report system for child abuse, most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aware of the report system for child abuse from the child abuse prevention education and training, and they mostly thought that the report system for child abuse was necessary ‘for preparation of a suitable measure to prevent child abuse from happening any more’. Furthermor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the type of working institution for suggesting ways of vitalizing the child abuse report system. The most common suggestion was ‘preparing a protection system to protect the abused child when reported’, and kindergarten teachers were more aware of how important this was.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awarenes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on the child abuse prevention educatio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had a lot of experiences of participating in the child abuse prevention education and many of them positively responded that their awareness towards child abuse had increased through child abuse prevention education. For demand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for child abuse prevention education, the demand for education on the ‘efficient teaching method to prevent child abuse’ was the highest, and the teachers tended to think that ‘a group education through a lecture with a professional’ was the most effective for child abuse prevention educat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form measures of child abuse prevention depending on the type of working institution. Teachers of day care centers mostly pointed out ‘solving work stress’, whereas kindergarten teachers mostly pointed out ‘establishing a definite child protection policy against child abuse’, hence it was clear that improvement of work environment for the day care center teachers was necessary.
The implication through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s. Constant child abuse prevention education on the rights of children and child abuse is necessary at children education institutions. In particular, a systematic child abuse prevention education with actual examples is important to increase the awarenes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on violation of children’s rights and actions of child abuse that can occur in everyday life of children education institutions.
This research aimed to investigate the awarenes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regarding the rights of the children and child abuse in children education institutions, in order to propose the base data and direction of the child abuse prevention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so that the child abuse prevention education can take place systematically and effectively at child education institutions.
Accordingly, concrete research problems are as follows.
1. Is there a difference in the awareness on the rights of children depending on individual factor (age, career, type of working institution, the highest level of education) 2. How are the awarenes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on child abuse? 2-1. Is there a difference in the awareness on the actions of child abuse depending on individual factor (age, career, type of working institution, the highest level of education) of an early childhood teacher? 2-2. Is there a difference in the awareness on the report system for child abuse depending on individual factor (age, career, type of working institution, the highest level of education) of an early childhood teacher? 2-3. Is there a difference in the awareness on the prevention education of child abuse depending on individual factor (age, career, type of working institution, the highest level of education) of an early childhood teacher?
Objects of this research were 292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at children education institutions in Seoul and Gyeonggi-do Province (165 teachers of day care centers and 127 kindergarten teacher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re statistically processed using SPSS 21.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ly, as a result of examining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awareness on the rights of children, a significant difference appeared for the type of working institution and the highest level of education, wherea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for the age and career. For the type of working institution, teachers of day care centers appeared to have higher awareness on the rights of children than kindergarten teachers, and for the highest level of education, teachers with higher final level of education appeared to have higher awareness on the rights of children. Secondly, the awarenes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on child abuse is as follows. As a result of examining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awareness on the actions of child abuse, a significant difference appeared for the age, career, type of working institution and the highest level of education. For the ag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wareness on the actions of child abuse between teachers aged 30 to 35 and teachers aged under 25. For the education care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wareness on the actions of child abuse between teachers with 7 to 18 years of experience and teachers with under 3 years of experience. For the type of working institution, teachers of day care centers appeared to have higher awareness on the actions of child abuse compared to kindergarten teachers, and for the highest level of education, teachers with higher final level of education appeared to have higher awareness on the actions of child abuse.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report system for child abuse, most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aware of the report system for child abuse from the child abuse prevention education and training, and they mostly thought that the report system for child abuse was necessary ‘for preparation of a suitable measure to prevent child abuse from happening any more’. Furthermor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the type of working institution for suggesting ways of vitalizing the child abuse report system. The most common suggestion was ‘preparing a protection system to protect the abused child when reported’, and kindergarten teachers were more aware of how important this was.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awarenes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on the child abuse prevention educatio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had a lot of experiences of participating in the child abuse prevention education and many of them positively responded that their awareness towards child abuse had increased through child abuse prevention education. For demand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for child abuse prevention education, the demand for education on the ‘efficient teaching method to prevent child abuse’ was the highest, and the teachers tended to think that ‘a group education through a lecture with a professional’ was the most effective for child abuse prevention educat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form measures of child abuse prevention depending on the type of working institution. Teachers of day care centers mostly pointed out ‘solving work stress’, whereas kindergarten teachers mostly pointed out ‘establishing a definite child protection policy against child abuse’, hence it was clear that improvement of work environment for the day care center teachers was necessary.
The implication through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s. Constant child abuse prevention education on the rights of children and child abuse is necessary at children education institutions. In particular, a systematic child abuse prevention education with actual examples is important to increase the awarenes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on violation of children’s rights and actions of child abuse that can occur in everyday life of children education institutions.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