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Chemoprevention for Control of Breast Cancer Progression: Amygdalin Regulates Apoptosis and Adhesion in Hs578T Triple-negative Breast Cancer Cells
...
Ⅰ. Chemoprevention for Control of Breast Cancer Progression: Amygdalin Regulates Apoptosis and Adhesion in Hs578T Triple-negative Breast Cancer Cells 아미그달린은 장미과 식물의 씨로부터 분리된 성분으로 청산 글리코사이드 방향족 그룹에 속한다. 아미그달린의 항암 효과는 점점 증명되고 있다. 그러나 유방암에서 아미그달린의 항암효과는 확실하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인간 유방암 세포의 증식에서 아미그달린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먼저, ER-positive MCF7 세포와 MDA-MB-231 그리고 Hs578T 삼중 음성 유방암세포에서 아미그달린의 세포 독성 활성을 보았다. 아미그달린이 Hs578T 삼중 음성 유방암세포에서 Bax의 발현 증가, Bcl-2의 발현 감소, caspase-3와 PARP의 단백질 가수분해 활성을 통해 세포사멸을 유도함을 확인하였다. 아미그달린의 처리는 Hs578T 세포에서 상당한 세포부착 억제 효과를 가져오며 이는 integrin α5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하여, 유방암세포에서 아미그달린의 세포사멸 유도와 세포부착 억제를 증명하였다. 이 결과는 유방암 특히, 삼중 음성 유방암의 진행을 막거나 완화하는 화학적 암예방 효과 물질로 아미그달린의 응용 가능성 제시한다.
Ⅱ. Biomarker Identification for Control of Breast Cancer Progression : Biomarker Candidates for MCF10A Breast Epithelial Cells Co-cultured with Tumor-Associated Macrophages (TAMs) by Proteomic Analysis
유방암은 여성에서 가장 흔히 진단되며 사망률이 높은 암으로 예측된다. 염증성 미세환경은 유방암의 악성 진행에 관한 것으로 새롭게 제시되었다. 암 관련 대식세포는 염증과 암 사이의 연결에 중요한 세포이다. 암 관련 대식세포는 성장 및 혈관 신생 인자, 또한 세포 외 기질을 분해하는 단백질 분해 효소를 생산한다. 따라서 암 관련 대식세포는 종양 세포의 증식을 자극하며 혈관 신생과 침윤 그리고 전이를 촉진할 수 있다. 프로테오믹스는 개개인의 질환 과정의 연구와 치료에 혁명을 가져올 것이다. 기능 프로테오믹스는 암에 대한 바이오마커 및 새로운 표적 치료의 합리적인 식별을 위한 유망한 기술이다. 본 연구에서는 2DE, 정량적 이미지 분석 그리고 MALDI-TOF-MS 분석의 조합을 사용하여 단독 배양한 MCF10A와 암 관련 대식세포와 공동 배양한 MCF10A로부터 얻은 세포 전체 용해물의 완전한 프로테옴프로파일을 얻었다. 우리는 단독 배양한 MCF10A와 비교하였을 때 암 관련 대식세포와 공동 배양한 MCF10A에서 증가한 단백질과 감소한 단백질의 12개 단백질 목록을 확인하였다. 12개의 단백질 중 하나를 유방암 바이오마커 후보로 선택하여 후속 실험을 진행할 예정이다.
Ⅰ. Chemoprevention for Control of Breast Cancer Progression: Amygdalin Regulates Apoptosis and Adhesion in Hs578T Triple-negative Breast Cancer Cells
아미그달린은 장미과 식물의 씨로부터 분리된 성분으로 청산 글리코사이드 방향족 그룹에 속한다. 아미그달린의 항암 효과는 점점 증명되고 있다. 그러나 유방암에서 아미그달린의 항암효과는 확실하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인간 유방암 세포의 증식에서 아미그달린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먼저, ER-positive MCF7 세포와 MDA-MB-231 그리고 Hs578T 삼중 음성 유방암세포에서 아미그달린의 세포 독성 활성을 보았다. 아미그달린이 Hs578T 삼중 음성 유방암세포에서 Bax의 발현 증가, Bcl-2의 발현 감소, caspase-3와 PARP의 단백질 가수분해 활성을 통해 세포사멸을 유도함을 확인하였다. 아미그달린의 처리는 Hs578T 세포에서 상당한 세포부착 억제 효과를 가져오며 이는 integrin α5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하여, 유방암세포에서 아미그달린의 세포사멸 유도와 세포부착 억제를 증명하였다. 이 결과는 유방암 특히, 삼중 음성 유방암의 진행을 막거나 완화하는 화학적 암예방 효과 물질로 아미그달린의 응용 가능성 제시한다.
Ⅱ. Biomarker Identification for Control of Breast Cancer Progression : Biomarker Candidates for MCF10A Breast Epithelial Cells Co-cultured with Tumor-Associated Macrophages (TAMs) by Proteomic Analysis
유방암은 여성에서 가장 흔히 진단되며 사망률이 높은 암으로 예측된다. 염증성 미세환경은 유방암의 악성 진행에 관한 것으로 새롭게 제시되었다. 암 관련 대식세포는 염증과 암 사이의 연결에 중요한 세포이다. 암 관련 대식세포는 성장 및 혈관 신생 인자, 또한 세포 외 기질을 분해하는 단백질 분해 효소를 생산한다. 따라서 암 관련 대식세포는 종양 세포의 증식을 자극하며 혈관 신생과 침윤 그리고 전이를 촉진할 수 있다. 프로테오믹스는 개개인의 질환 과정의 연구와 치료에 혁명을 가져올 것이다. 기능 프로테오믹스는 암에 대한 바이오마커 및 새로운 표적 치료의 합리적인 식별을 위한 유망한 기술이다. 본 연구에서는 2DE, 정량적 이미지 분석 그리고 MALDI-TOF-MS 분석의 조합을 사용하여 단독 배양한 MCF10A와 암 관련 대식세포와 공동 배양한 MCF10A로부터 얻은 세포 전체 용해물의 완전한 프로테옴 프로파일을 얻었다. 우리는 단독 배양한 MCF10A와 비교하였을 때 암 관련 대식세포와 공동 배양한 MCF10A에서 증가한 단백질과 감소한 단백질의 12개 단백질 목록을 확인하였다. 12개의 단백질 중 하나를 유방암 바이오마커 후보로 선택하여 후속 실험을 진행할 예정이다.
Ⅰ. Chemoprevention for Control of Breast Cancer Progression: Amygdalin Regulates Apoptosis and Adhesion in Hs578T Triple-negative Breast Cancer Cells
Amygdalin, D-mandelonitrile-β-D-glucoside-6-β-glucoside, belongs to aromatic cyanogenic glycoside group derived from rosaceous plant seed. Mountin...
Ⅰ. Chemoprevention for Control of Breast Cancer Progression: Amygdalin Regulates Apoptosis and Adhesion in Hs578T Triple-negative Breast Cancer Cells
Amygdalin, D-mandelonitrile-β-D-glucoside-6-β-glucoside, belongs to aromatic cyanogenic glycoside group derived from rosaceous plant seed. Mounting demonstration has supported the anti-cancer effects of amygdalin. However, whether amygdalin certainly acts as an anti-tumor agent against breast cancer cells is not clear. The present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 of amygdalin on the proliferation of human breast cancer cells. Here, we indicate that amygdalin used cytotoxic activities on estrogen receptors (ER)-positive MCF7 cells, and MDA-MB-231 and Hs578T triple-negative breast cancer (TNBC) cells. Amygdalin downregulated B-cell lymphoma 2 (Bcl-2), upregulated Bcl-2-associated X protein (Bax), activated of caspase-3 and cleaved poly ADP-ribose polymerase (PARP). Amygdalin activated a pro-apoptotic signaling molecule p38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s (p38 MAPK) in Hs578T cells. Treatment of amygdalin considerably inhibited the adhesion of Hs578T cells, in which integrin α5 may be concerned. Taken together, this study proves that amygdalin leads apoptosis and hinders adhesion of breast cancer cells. The results propose a potential application of amygdalin as a chemopreventive agent to prevent or relieve progression of breast cancer, notably TNBC.
Ⅱ. Biomarker Identification for Control of Breast Cancer Progression: Biomarker Candidates for MCF10A Breast Epithelial Cells Co-cultured with Tumor-Associated Macrophages (TAMs) by Proteomic Analysis
Breast cancer has been predicted as one of most usually diagnosed cancers and cancer death in women. An inflammatory microenvironment has been newly suggested to be concerned in the malignant progression of breast cancer. Tumor-associated macrophages (TAMs) are significant players in the connection between inflammation and cancer. TAMs manufacture growth and angiogenic factors, besides, protease enzymes which degrade the extracellular matrix. Hence, TAMs can irritate tumor cell proliferation, accelerate angiogenesis, and invasion and metastasis. Proteomics based comes promise to revolutionize the study and treatment of discrete disease processes. Functional proteomics is a promising technique for the sensible identification of biomarkers and new therapeutic targets for cancers. In the present study, using a combination of 2DE, quantitative image analysis, and MALDI-TOF-MS analysis, a complete proteome profile of the whole cell lysates from mono-cultured MCF10A and MCF10A co-cultured with TAMs were obtained. We identified a list of 12 proteins, increased and decreased of MCF10A co-cultured with TAMs compared to mono-cultured MCF10A. One of the 12 proteins selects to candidates for breast cancer biomarker and we will conduct a follow-up experiment.
Ⅰ. Chemoprevention for Control of Breast Cancer Progression: Amygdalin Regulates Apoptosis and Adhesion in Hs578T Triple-negative Breast Cancer Cells
Amygdalin, D-mandelonitrile-β-D-glucoside-6-β-glucoside, belongs to aromatic cyanogenic glycoside group derived from rosaceous plant seed. Mounting demonstration has supported the anti-cancer effects of amygdalin. However, whether amygdalin certainly acts as an anti-tumor agent against breast cancer cells is not clear. The present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 of amygdalin on the proliferation of human breast cancer cells. Here, we indicate that amygdalin used cytotoxic activities on estrogen receptors (ER)-positive MCF7 cells, and MDA-MB-231 and Hs578T triple-negative breast cancer (TNBC) cells. Amygdalin downregulated B-cell lymphoma 2 (Bcl-2), upregulated Bcl-2-associated X protein (Bax), activated of caspase-3 and cleaved poly ADP-ribose polymerase (PARP). Amygdalin activated a pro-apoptotic signaling molecule p38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s (p38 MAPK) in Hs578T cells. Treatment of amygdalin considerably inhibited the adhesion of Hs578T cells, in which integrin α5 may be concerned. Taken together, this study proves that amygdalin leads apoptosis and hinders adhesion of breast cancer cells. The results propose a potential application of amygdalin as a chemopreventive agent to prevent or relieve progression of breast cancer, notably TNBC.
Ⅱ. Biomarker Identification for Control of Breast Cancer Progression: Biomarker Candidates for MCF10A Breast Epithelial Cells Co-cultured with Tumor-Associated Macrophages (TAMs) by Proteomic Analysis
Breast cancer has been predicted as one of most usually diagnosed cancers and cancer death in women. An inflammatory microenvironment has been newly suggested to be concerned in the malignant progression of breast cancer. Tumor-associated macrophages (TAMs) are significant players in the connection between inflammation and cancer. TAMs manufacture growth and angiogenic factors, besides, protease enzymes which degrade the extracellular matrix. Hence, TAMs can irritate tumor cell proliferation, accelerate angiogenesis, and invasion and metastasis. Proteomics based comes promise to revolutionize the study and treatment of discrete disease processes. Functional proteomics is a promising technique for the sensible identification of biomarkers and new therapeutic targets for cancers. In the present study, using a combination of 2DE, quantitative image analysis, and MALDI-TOF-MS analysis, a complete proteome profile of the whole cell lysates from mono-cultured MCF10A and MCF10A co-cultured with TAMs were obtained. We identified a list of 12 proteins, increased and decreased of MCF10A co-cultured with TAMs compared to mono-cultured MCF10A. One of the 12 proteins selects to candidates for breast cancer biomarker and we will conduct a follow-up experiment.
Keyword
#Amygdalin
#Apoptosis
#Adhesion
#Breast cancer
#Proteomics
#Co-culture
#Tumor-associated macrophages
학위논문 정보
저자
이혜민
학위수여기관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학위구분
국내석사
학과
약학과 생명약학전공
지도교수
문애리
발행연도
2016
총페이지
42
키워드
Amygdalin,
Apoptosis,
Adhesion,
Breast cancer,
Proteomics,
Co-culture,
Tumor-associated macrophages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