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6학년 담임기피현상과 관련하여 6학년 담임교사가 지각한 업무 부담이 교사 효능감과 직무 만족을 매개로 조직 몰입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를 분석하여 기피현상에 대한 해결 방향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초등학교 6학년 담임교사의 배경변인별(성별, 교직경력, 최종학력, 직위, 학교규모, 학생 수)에 따라 각 변인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알아본 후, 각 변인들의 관계에 대해 분석을 실시하였다. 위의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울특별시교육청 공립 초등학교에서 2015학년도 6학년 담임교사로 근무하고 있는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282명이 응답한 자료를 양적연구 분석에 사용하였다. 양적연구를 위해 ...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6학년 담임기피현상과 관련하여 6학년 담임교사가 지각한 업무 부담이 교사 효능감과 직무 만족을 매개로 조직 몰입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를 분석하여 기피현상에 대한 해결 방향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초등학교 6학년 담임교사의 배경변인별(성별, 교직경력, 최종학력, 직위, 학교규모, 학생 수)에 따라 각 변인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알아본 후, 각 변인들의 관계에 대해 분석을 실시하였다. 위의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울특별시교육청 공립 초등학교에서 2015학년도 6학년 담임교사로 근무하고 있는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282명이 응답한 자료를 양적연구 분석에 사용하였다. 양적연구를 위해 빈도분석과 기술 통계분석, t-검증(t-test)과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 상관관계분석(Pearson’s Correlation) 및 단순회귀분석, 중다회귀분석, 매개분석(Boot-strap)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6학년 담임교사의 업무 부담이 교사 효능감과 직무만족,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6학년 담임교사들은 업무 부담을 평균보다 높게 인식함에도 불구하고 교사 효능감, 직무 만족도, 조직 몰입에 대해 모두 평균보다 인식하고 있었다. 이 연구결과는 부장교사가 일반교사보다 업무 부담을 높게 인식함에도 불구하고 교사 효능감, 직무만족, 조직몰입을 모두 일반교사보다 높게 인식한 결과와도 일치하며, 이는 교사의 업무 부담을 단순히 교육의 질을 떨어뜨리는 변인으로 연구하기 보다는 교사에게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변인에 대한 연구가 필요함을 나타내며, 교사 집단에서 교사들이 업무 부담과 관계없이 교사 효능감, 직무만족, 조직몰입을 평균보다 높게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교사 효능감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유의미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이는 교사 효능감이 높을수록 직무만족도 역시 높게 인식하며, 이것이 조직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교사 효능감이 높은 교사의 행동이 학생의 학업, 동기 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교사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이 학생들에 대한 교육활동과 이어지기 때문에 이를 높이기 위한 적극적인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셋째, 경력과 학력이 높을수록 교사 효능감과 직무만족도를 높게 인식한다. 경력과 관련하여 살펴보면, 교사 효능감과 직무만족도가 상승하는 것을 통해 상대적으로 경력이 낮은 교사에 대한 지원이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다. 학력과 관련하여 살펴보았을 때, 교사가 스스로 노력하는 경우 효능감과 직무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전문성을 높이고 학업을 이어나갈 수 있도록 하는 교육방안과 정책적인 지원이 뒷받침 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6학년 담임교사의 기피현상에 대한 해결 방안을 제시하면 서울시 교육청 차원의 업무 줄이기, 부담임제 같은 공통적인 해결 방법 구축, 6학년 학생들의 학교폭력 문제 예방 및 상담 활성화로 정리할 수 있다. 그리고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으로 전국적인 차원에서 담임기피현상에 대한 해결방안에 대한 연구 필요, 6학년 기피현상에 대한 공통적인 원인 분석을 통한 업무 부담이 교사 효능감, 직무만족,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분석, 1-5학년과 6학년 담임교사와의 비교연구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6학년 담임기피현상과 관련하여 6학년 담임교사가 지각한 업무 부담이 교사 효능감과 직무 만족을 매개로 조직 몰입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를 분석하여 기피현상에 대한 해결 방향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초등학교 6학년 담임교사의 배경변인별(성별, 교직경력, 최종학력, 직위, 학교규모, 학생 수)에 따라 각 변인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알아본 후, 각 변인들의 관계에 대해 분석을 실시하였다. 위의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울특별시교육청 공립 초등학교에서 2015학년도 6학년 담임교사로 근무하고 있는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282명이 응답한 자료를 양적연구 분석에 사용하였다. 양적연구를 위해 빈도분석과 기술 통계분석, t-검증(t-test)과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 상관관계분석(Pearson’s Correlation) 및 단순회귀분석, 중다회귀분석, 매개분석(Boot-strap)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6학년 담임교사의 업무 부담이 교사 효능감과 직무만족,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6학년 담임교사들은 업무 부담을 평균보다 높게 인식함에도 불구하고 교사 효능감, 직무 만족도, 조직 몰입에 대해 모두 평균보다 인식하고 있었다. 이 연구결과는 부장교사가 일반교사보다 업무 부담을 높게 인식함에도 불구하고 교사 효능감, 직무만족, 조직몰입을 모두 일반교사보다 높게 인식한 결과와도 일치하며, 이는 교사의 업무 부담을 단순히 교육의 질을 떨어뜨리는 변인으로 연구하기 보다는 교사에게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변인에 대한 연구가 필요함을 나타내며, 교사 집단에서 교사들이 업무 부담과 관계없이 교사 효능감, 직무만족, 조직몰입을 평균보다 높게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교사 효능감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유의미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이는 교사 효능감이 높을수록 직무만족도 역시 높게 인식하며, 이것이 조직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교사 효능감이 높은 교사의 행동이 학생의 학업, 동기 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교사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이 학생들에 대한 교육활동과 이어지기 때문에 이를 높이기 위한 적극적인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셋째, 경력과 학력이 높을수록 교사 효능감과 직무만족도를 높게 인식한다. 경력과 관련하여 살펴보면, 교사 효능감과 직무만족도가 상승하는 것을 통해 상대적으로 경력이 낮은 교사에 대한 지원이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다. 학력과 관련하여 살펴보았을 때, 교사가 스스로 노력하는 경우 효능감과 직무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전문성을 높이고 학업을 이어나갈 수 있도록 하는 교육방안과 정책적인 지원이 뒷받침 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6학년 담임교사의 기피현상에 대한 해결 방안을 제시하면 서울시 교육청 차원의 업무 줄이기, 부담임제 같은 공통적인 해결 방법 구축, 6학년 학생들의 학교폭력 문제 예방 및 상담 활성화로 정리할 수 있다. 그리고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으로 전국적인 차원에서 담임기피현상에 대한 해결방안에 대한 연구 필요, 6학년 기피현상에 대한 공통적인 원인 분석을 통한 업무 부담이 교사 효능감, 직무만족,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분석, 1-5학년과 6학년 담임교사와의 비교연구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was initiated to find the solutions for avoidance of 6th grade homeroom teacher position by analyzing the influence of job pressure over teacher's 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which effects teacher's commitment to the organization. Accordingly, analysis on the different perceptions on ea...
This study was initiated to find the solutions for avoidance of 6th grade homeroom teacher position by analyzing the influence of job pressure over teacher's 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which effects teacher's commitment to the organization. Accordingly, analysis on the different perceptions on each variables of 6th grade homeroom teacher's personal information (gender, teaching career, educational attainment, position, school size, the number of student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variables were conducted. To accomplish the research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on teachers who worked as the homeroom teacher of 6th graders in 2015 of public elementary schools affiliated to the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282 responds were found to be applicable for the analysis. The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simple regress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oot-strap were conducted. The results drawn from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below: One, job pressure of the 6th grade homeroom teacher was found to have no influence over teacher's 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 commitment . Although 6th grade homeroom teachers perceived its work load to be bigger than average, they still displayed higher teacher's efficacy, job satisfaction and commitment to the organization than average. This coincides with the finding that the head teacher who perceives its job pressure higher than other teachers still had higher teacher's efficacy, job satisfaction and commitment to the organization level than other teachers. Therefore, teacher's job pressure should not just be understood as a variable that degrades the quality of education, but it rather requires a research on multiple variables that affect teachers. At the same time, teachers showed high level of teacher's efficacy, job satisfaction and commitment to the organization nonetheless of their job pressure among their group of teachers. Two, teacher's efficacy displayed positive correlation with job satisfaction and commitment to organization. Higher level of teacher's efficacy leads to higher level of job satisfaction, which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level of commitment to the organization. Teachers with high level of efficacy had a positive effect on teacher's academic achievement and motivation, and since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commitment to the organization influences teacher's academic programs, a solution is needed to increase job satisfaction. Third, the research discovered that teachers with more education and more teaching experience had higher level of teacher's efficacy and higher level of job satisfaction. In the analysis regarding work experience, teachers with more teaching experience had higher level of teacher's 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so more support is needed for teachers with less teaching experience. In regards to the degree of education of the teacher, teacher's level of efficacy and level of job satisfaction increased when the teacher self-motivated to excel. Based on these findings, support on teacher's continuing education through government policy should be provided to increase professionalism and continue further education. Based on the results, solutions such as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taking lead to reduce work load, establishing a sub-homeroom teacher policy, preventing 6th graders' school violence and stimulating counseling can be suggested to resolve the problem of teachers avoiding 6th grade homeroom teacher position. Additionally, a national study on the avoidance of homeroom teacher position, an analysis on the effects of job pressure on teacher's 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through analysis on the reasons of job pressure, a comparative research on 6th grade homeroom teachers and other grade teachers are suggested to be conducted further.
This study was initiated to find the solutions for avoidance of 6th grade homeroom teacher position by analyzing the influence of job pressure over teacher's 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which effects teacher's commitment to the organization. Accordingly, analysis on the different perceptions on each variables of 6th grade homeroom teacher's personal information (gender, teaching career, educational attainment, position, school size, the number of student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variables were conducted. To accomplish the research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on teachers who worked as the homeroom teacher of 6th graders in 2015 of public elementary schools affiliated to the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282 responds were found to be applicable for the analysis. The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simple regress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oot-strap were conducted. The results drawn from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below: One, job pressure of the 6th grade homeroom teacher was found to have no influence over teacher's 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 commitment . Although 6th grade homeroom teachers perceived its work load to be bigger than average, they still displayed higher teacher's efficacy, job satisfaction and commitment to the organization than average. This coincides with the finding that the head teacher who perceives its job pressure higher than other teachers still had higher teacher's efficacy, job satisfaction and commitment to the organization level than other teachers. Therefore, teacher's job pressure should not just be understood as a variable that degrades the quality of education, but it rather requires a research on multiple variables that affect teachers. At the same time, teachers showed high level of teacher's efficacy, job satisfaction and commitment to the organization nonetheless of their job pressure among their group of teachers. Two, teacher's efficacy displayed positive correlation with job satisfaction and commitment to organization. Higher level of teacher's efficacy leads to higher level of job satisfaction, which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level of commitment to the organization. Teachers with high level of efficacy had a positive effect on teacher's academic achievement and motivation, and since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commitment to the organization influences teacher's academic programs, a solution is needed to increase job satisfaction. Third, the research discovered that teachers with more education and more teaching experience had higher level of teacher's efficacy and higher level of job satisfaction. In the analysis regarding work experience, teachers with more teaching experience had higher level of teacher's 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so more support is needed for teachers with less teaching experience. In regards to the degree of education of the teacher, teacher's level of efficacy and level of job satisfaction increased when the teacher self-motivated to excel. Based on these findings, support on teacher's continuing education through government policy should be provided to increase professionalism and continue further education. Based on the results, solutions such as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taking lead to reduce work load, establishing a sub-homeroom teacher policy, preventing 6th graders' school violence and stimulating counseling can be suggested to resolve the problem of teachers avoiding 6th grade homeroom teacher position. Additionally, a national study on the avoidance of homeroom teacher position, an analysis on the effects of job pressure on teacher's 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through analysis on the reasons of job pressure, a comparative research on 6th grade homeroom teachers and other grade teachers are suggested to be conducted further.
Keyword
#6학년 기피현상 업무 부담 교사 효능감 직무만족 조직몰입 회귀분석 매개분석 avoidance of 6th grade homeroom teacher position job pressure teacher's efficacy job satisfaction commitment to the organization regression analysis boot-strap
학위논문 정보
저자
박진하
학위수여기관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학위구분
국내석사
학과
교육행정전공
지도교수
김은주
발행연도
2016
총페이지
ix, 167 p.
키워드
6학년 기피현상 업무 부담 교사 효능감 직무만족 조직몰입 회귀분석 매개분석 avoidance of 6th grade homeroom teacher position job pressure teacher's efficacy job satisfaction commitment to the organization regression analysis boot-strap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